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cience Textbooks

과학 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cience textbook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3 science teachers and 715 students from junior high schools in Daegu and Kyungpook area. As statistical method, one-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check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by school location and class size, while students had different perceptions by school location, co-ed, class size, and grade level.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ving the relativistic viewpoint on textbook knowledge regarded the knowledge as relativistic one, and preferred the student-centered textbooks. Teachers liked textbooks written by the student-centered view more than students did. Teachers had the more absolutistic viewpoint on textbook knowledge and on teaching, while students liked the electronic textbooks more than teachers did.

본 연구는 과학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먼저, 교사 및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 학생의 교수 학습관에 따른 교과서관의 관계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대구 경북지역의 중학교 과학교사 113명과 중학생 7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주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학급규모이었고, 교사의 연령, 성에 따라서는 별 차이가 없었다. 중학교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남녀공학여부, 학급규모, 학년이었고, 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상대주의적 교수관을 가진 교사나 상대주의적 학습관을 가진 학생이 교과서의 지식을 상대적으로 보았으며, 학생중심의 교과서를 선호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보다 더 학생 중심으로 서술된 교과서를 선호하였고, 절대주의적인 지식관과 교수 학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은 교사들보다 더 전자교과서를 선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리라(1998). 중학교 가정 교과서 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 가정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 권치순(1985). 과학교과서와 그에 관련된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2), 81-89
  3. 김만곤(2000). 한 선구자의 교과서관. 교과서 연구, 34호
  4. 김재복(2000). 교과서관의 변화. 교과서연구, 35호
  5. 김희백, 이선경(1997). 과학교사의 과학 및 학교 과학에 대한 신념과 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501-510
  6. 박윤배(2000). 중등과학교사들의 과학관과 학습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44-249
  7. 소원주, 김범기, 우종옥(1998).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21-231
  8. 손영옥(2001). 과학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양미경(2000).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른 교과서의 성격과 기능의 재조명. 교과서 연구, 34호
  10. 조정우(1999). 전자교과서, 어디까지 왔나. 교과서 연구. 32호
  11. 조희형, 이문원, 조영신, 한인숙(1991). 강원도 중등 과학교육 실태조사 및 중학교 과학 2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49-65
  12.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 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13. 한승희(1999). 지식혁명시대를 향한 교과서의 모습. 교과서 연구, 32호
  14. 한지숙, 정영란(1997).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0), 119-125
  15. Lantz, O., & Kass, H.(1987). Chemistry teachers functional paradigms. Science Education, 71, 117-134 https://doi.org/10.1002/sce.37307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