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of Students'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tudents'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Important factors of career choice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Perception of career related to science',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science-related activity' were three main factors of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Students' responses to the three main factor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ir career choice, grade and gender using ANOVA.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to find out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three main factors. The subjects were 947 grade 6, 9 and 11 students in Seoul. Numbers of boys and girls in each grade was almost sam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know the factors of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fter preliminary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The ratio of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was not high (26%). Students' responses to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hree main factors differed with the grade and gender. From the results, making students have preference for science and giving them more opportunities of science-related activity is more important than making them have positive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It is required to make a material for science career education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age and gender using this study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조사하여 학년별, 성별 및 과학 관련 분야별로 그 비율을 파악한 다음, 요인분석으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여 이들 요인들에 대한 응답의 집단별 차이를 비교하고 요인들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의 학년별 변화 과정과 성별 차이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3, 4개의 하위요인들을 가졌다. 이들 세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일원 변량 분석으로 진로 희망의 과학 관련 유무와 학년 및 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등 전체 947명인데, 학년별, 남녀별, 비율이 거의 같도록 구성되었다. 문헌연구 및 예비검사를 통하여 개발한 지필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이 설문지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과 배경 자료 수집을 위한 부분과,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 전체 학생 중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26%로 높지 않았으며, 학년별 비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학생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비율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 < 0.001).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가진 학생 239명의 구체적인 과학 관련 희망 분야를 조사한 결과, 정보전산 과학자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의사, 순수과학자, 그리고 공학자임을 볼 수가 있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순수과학자를 희망하는 비율은 줄어들었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세 가지 주요 요인을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 참여 등으로 선정하였을 때, 이들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및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학년별,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갖게 하려면,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고, 다양한 과학 관련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받을 수 있다. 학년별로 성별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에서 차이가 나는 점들을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을 도울 수 있는 과학 관련 진로 교육의 자료를 구성할 것이 요청된다. 더 나아가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서 나타난 남녀 학생들 간의 차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초중고 각 단계별로 바람직한 과학 관련 진로교육의 자료를 구성하고 실제로 학생들에게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2. 명전옥(1986).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63-42
  3. 송진웅, 박승재, 장경애(1992).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09-118
  4. 양병화(1998). 다변양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5. 장경애(1993). 남녀 학생의 물리 관련 경험, 태도, 희망 직업 및 성취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한국교육개발원(1983). 학습과 일의 세계.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7. Eiduson, B. T. & Beckman, L.(Ed.)(1973). Science as a Career Choic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Russell Sage Foundation: New York
  8. Farmer, H. S., Wardrop, J. L. & Rotella, S. C.(1999). Antecedent Factors Differentiating Women and Men in Science/Nonscience Career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3(4), 763-780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9.tb00396.x
  9. Hammrich, P. L., Richardson, G. M. & Livingston, B.(2000). The Sisters in Science Program: Teaching the Art of Inpuir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Science Teaching (New Orleans, LA. April 28-May 1, 2000)
  10. Hanson, S. L.(1996). Lost Talent: Women in the Sciences. Labor and Social Change Series. Temple University Press
  11. Jacobs, J. E.. Finken, L. L., Griffin, N. L. & Wright, J. D.(1998). The Career Plans of Science-Talented Rural Adolescent Gir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4). 681-704 https://doi.org/10.3102/00028312035004681
  12. Myeong, J. & Crawley F. E.(1993). Predicting and Understand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Track Choice : Testing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81-400 https://doi.org/10.1002/tea.3660300406
  13. Mason, C. L. & Kahle, J. B.(1988).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s: A Program Designed to Promote a Stimulating Gender-fre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1). 25-39 https://doi.org/10.1002/tea.3660260104
  14. Pascarella, E. T. & Staver, J. R.(1985). The Influence of On-Campus Work in Science on Science Career Choice During College: A Causal Modeling Approach. Review of Higher Education, 8(3), 229-245 https://doi.org/10.1353/rhe.1985.0019
  15. Wang, J. & Staver, J. R.(2001).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nd Student Career Aspir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4(5), 312-319 https://doi.org/10.1080/00220670109598767
  16. Woolnough, B. E.(1993). Teachers' perception of reasons students choose for, or against,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 Science Review, 75(270), 112-117
  17.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
  18. Woolnough, B. E.(1997). Motivating students or teaching pure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8(285), 6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