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Concept on Atmospheric Pressure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대기압에 관련된 개념 분석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focused on whether secondary science teachers have consistent, integrative scheme on the definition of atmospheric pressure and phenomena caused by air pressure. We had made questionnaire and let 94 science teachers answer. We sorted the responses according to their major, school and compared them with the description in textbooks.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ndings. First of all, teachers whose major is chemistry have strong tendency to understand that atmospheric pressure is caused by molecular motion though it, in textbooks, is defined as the pressure by weight of air mass. The half of respondents believed that decreasing of atmospheric pressure in high altitude is due to molecular motions, while most textbook says decrease in the weight of air mass. Secondly, many science textbooks show that air mass expands, rises, becomes less dense and the pressure of atmosphere becomes low when it receives heat. So, most of respondents explained low pressure is formed by lower density. Thirdly, they answered that they just teach the phenomena of air pressure by using the textbooks which mainly deal with the present state rather than a principle. In conclusion, the science textbooks should present the exact description and consolidated structures of those concepts to prevent students from having misconceptions on air pressure. In addition,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would be necessary to reconsider and explore the natural phenomena in various viewpoints.

이 연구에서는 대기압의 정의와 기압에 관련된 현상들에 대한 원리를 묻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H대학교 석사 과정에 있는 94명의 과학 교사들에게 투입하여 일관되고 통합된 설명 체계를 갖고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전공별로 구분하여 응답률을 비교하고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대학 교재의 서술 방식과 교과들의 응답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과서와 대학 교재의 공기의 무게에 의한 압력이란 대기압의 정의에도 불구하고 화학 전공의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 전공의 고등학교 교사는 중력과 분자 운동에 의한 압력으로, 화학 전공의 고등학교 교사는 기체의 분자 운동에 의한 압력이란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고도에 따른 대기압의 변화를 공기 기둥의 무게로 설명하는 대부분의 교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응답을 한 교사는 절반에 불과하였다. 둘째, 대다수의 중등 교과서에서 저기압의 형성에 대해 대기압의 정의인 공기의 무게 개념을 적용하지 않고 가열되면 팽창하고 상승하여 밀도가 작아져 형성된다는 정확하지 않은 서술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도 밀도 개념으로 저기압의 형성을 설명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기압과 관련된 현상들을 교육과정에 의한 학생들의 선개념을 고려하여, 원리보다 현상만을 제시한 교과서의 서술 방식대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기압의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 전개가 분자 운동, 중력, 힘의 평형, 대기압의 연계되어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설명 체계 또한 명확하여야 할 것이다. 교사들의 기압에 관련된 개념들이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은 교과서나 교재의 영향이 크며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개념 구조를 가지고 자연 현상을 통합적인 사고 과정으로 탐구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는 교사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종흠, 소선섭 편저(1986). 일반기상학. 교문사
  2. 국동식(1994). 중, 고등학생들의 대기압 개념 이해의 횡단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5(4), 231-246
  3. 국동식, 김대영(2000). 인지 갈등 수업 모형이 대기압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4), 369-379
  4. 국동식, 최동하(2001). 대기압 개념학습을 위한 CAI 프로그램 개발 및 적응. 한국지구과학회지, 22(2), 89-95
  5. 권재술, 김범기 편저(1993). 과학 오개념 편람.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6. 김유근, 서승조, 우종옥, 이용대, 최수남(1994). 대학지구과학. 형설출판사
  7. 노태희, 차정호, 김창민, 최용남(1998).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입자 수준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컴퓨터 보조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61-171
  8. 대학물리교재 편찬위원회 역(1998). 기초물리학. 범한 서적주식회사. [원전: Halliday, D., Resnik, R., & Wallker, J.(1993), Fundarmentals of Physics(4th ed.). John Wiley & Sons, Inc.]
  9.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2000). 대학물리학. 북스힐. [원저 Serway, R. A., Beichner, R. J., & Jewett, J. W.(1999).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modern physics (4th ed.). Thomson Learning.]
  10. 대한화학교재편찬희 역(2001). 일반화학. 탐구당. [원저: Jones, L., & Atkins, P.(1999). Chernistry; Molecules, Matter, and Change (4th ed.). W. H. Freeman & Co.]
  11. 물리교재편찬위원회 역(1995). 일반물리학. 청문각. [원저 Giancoli, D. C. (1992). General physics (3rd Ed). Prentice-Hall.]
  12.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1997). 일반물리학. 청문각. [원저 Bueche, F. j., & Jerde, D. A.(1996). Principles of physics (3th ed.). New York : McGraw-Hill.]
  13. 박승재, 조희형(1999). 교수-학습이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14. 박재원(2001).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입자 모델을 사용한 컴퓨터 애니메이션 자료의 교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종석, 조희형(1986). 고등학생들의 유전에 대한 오인의 확인 및 유전학 지도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35-42
  16. 소선섭, 이천우, 김맹기(2000). 대기관측법, 교문사
  17. 송주현(2002). 과학 교과서에서 기압과 대기압의 설명 방식의 차이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안운선, 박윤창(2000). 대학화학. 탐구당
  19. 이현숙, 김재환(2000). 중학생들의 대기압에 대한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 방법 개선, 한국지구학회지, 21(6), 647-654
  20. 임청환, 김항목(1994). 대기압과 달의 운동에 관한 중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5(3), 157-169
  21. 전선례(1999). 중학생의 대기와 물의 순환 개념변화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완호(1993). 고등학생들의 생물 오개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3. 한국기상학회(1999). 대기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4. 한국지구과학연구회(1998).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25. Battan, L. J.(1984). Fundamentals of meteorology, Prentice-Hall
  26. Benson, D. L., Wittrock, M. C., & Baur, M. E. (1993). Students' Preconceptions of the Nature of G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se Education, 30(6), 587-597
  27. Brasseur, G. P., Orlando, J. J., & Tyndall, G. S.(1999). Atmospheric chemistry and global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8. Eagleman, J. R.(1985). Meteorology, the atmosphere in action. Wadsworth Pub. Co.
  29. Hewitt, P. G.(1998). Conceptual physics (8th ed.). Paul G. Hewitt
  30. Lutgens, F. K., & Tarbuck, E. J.(1998). The atmosphere. Prentice Hall
  31. Meiburger, M., Edinger, J. G., Bonner, W. D. (1982). Understanding Our atmosphere environment (2nd ed.). W. H. Freeman and Company
  32. Miller, A., Thompson, J. C., Peterson, R. E., Haragan, D. R.(1983). Elements of meteorology(4th ed.). C. E. Merrill Pub. Co.
  33. Moran, J. M., & Morgan, L. W.(1994). Meteorology: the Atmosphere and the science of weather. Macmillan College Pub. Co.
  34. Oxtoby, D. W., & Nachtrieb, N. H.(1990). Principle of modern chemistry(2nd ed.). Saunders College Pub.
  35. Skinner, B. J., Porter, S. C., & Botkin, D. B. (1999). The blue planet: An introduction to earth system science (2nd ed.).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