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in TIMSS-R

우리 나라 중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및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의 국제 성취도 분석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chievement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 (TIMSS-R), which was performed in 1999 with 38 nations participating. Korean 8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was compared to that of other countries and other content areas in science. Average percent correct of items in each subcategory - Scientific Method, Experimental Design, Scientific Measurements, Describing and Interpreting Data - was also analysed. Although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topics were not included in intended curriculum in Korea, Korean students' average scale score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ternational average and, in comparison with other science content areas, achievement of that area was relatively high. The reasons could be that the most students studied topic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implemented curriculum and that the Korean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quiry. According to the results to analyze subcategories, the average percent correct of Korea were higher than 50% except the 'Scientific Measurements' subcategory. However, the international average percent correct were lower than 50%. Especially, the average percent correct of Korea was the highest in 'Describing and Interpreting Data' subcategory despite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were confused at observation, hypothesis and conclusion.

본 연구는 1999년 38개국을 대상으로 시행된, 제3차 수학 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반복연구(TIMSS-R) 중 '과학적 탐구 및 과학의 본성' 영역 성취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과학적 탐구 및 과학의 본성' 영역의 성취도를 외국 및 다른 과학 영역과 비교하고, 소영역별로 각 문항의 정답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의 경우, 교육과정에서 독립된 내용 영역으로 다루어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영역의 평균 점수가 국제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다른 영역의 성취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 원인으로는 실행된 교육과정을 통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습하였다는 것과 과학 탐구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 나라 교사들의 인식이 높은 것을 들 수 있다. 과학적 방법, 실험 설계, 과학적 측정, 자료의 기술과 해석 4개의 소영역별 분석 결과, 국제 평균 정답률은 모두 50% 미만이었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과학적 측정'을 제외하고는 모두 50% 이상이었다. 특히 '자료의 기술과 해석' 소영역의 평균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나, 관찰과 가설, 결론 을 혼동하는 학생들이 매우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숙, 유준희, 서동엽, 이춘식, 임찬빈(1999a).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북 연구 국내 평가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E- 99-7-2
  2. 김성숙, 유준희, 서동엽, 이춘식, 임찬빈(1999b). 제 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북 연구 국내 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E- 99-7-1
  3. 명전옥, 유준희(2000). 제 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한국 중학 2년생들의 지구과학 평가 결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4(1), 19-32
  4. 박윤배(1998).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9-34
  5. 박정, 홍미영, 김성숙(2000). 제 3차 수학 .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 국내 평가 결과 분석 연구 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E-2000-7
  6. 배성열, 박윤배(2000).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과 목표의 영역별 중요도와 장애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72-581
  7. 유준희. 김성숙, 서동엽, 이춘식. 임찬빈(2000).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 중 국내 결과에 대한 과학 성취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4(1). 51-68
  8. 홍미영, 박정, 김성숙(2001). 제3차 수학 .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과학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328-341
  9. IEA(2000). TIMSS 1999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Chestnut Hill, MA: Boston College
  10. Schumidt. W. H., McKnight, C. C.. Cogan, L. S., Jakwerth , P. M.. & Houang, R. T. (1999). Facing the consequences: Using TIMSS, for a closer look at U.S.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