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ces in Achieve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Area in PISA 2000

OECD 주관 학생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 2000) 지구 환경 과학 영역 성취도에서의 성(性) 차이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items in PISA 2000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 gender differences in scientific literacy, ii) item characteristics that favored either female or male, and iii) misconceptions that 15-years-old Korean students have in the field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verall, male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amongst high ability students, female students outperformed male students in open-constructed items. Female students tended to score higher on items that required long answers or items related to scientific processes, whereas male students outperformed female students in science knowledge or items that required data interpretati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a majority of Korean students had misconceptions in fundamental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knowledge, such as the direction of earth's axis and equator, and the causes of Greenhouse Effect.

이 연구의 목적은 만 15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평가하는 학생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인 PISA 2000의 지구 환경 과학 영역에 해당하는 13개 문항에 대한 우리 나라 여학생과 남학생의 성취도 차이, 여학생과 남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의 특징, 우리 나라 학생들이 가지는 지구 과학 관련 오개념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3개 지구 환경 과학 문항의 정답율 및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한 정답 반응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의 평균 정답율이 여학생의 평균 정답율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으나, 성취 능력이 높은 집단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성취 수준의 경향을 보였다. 특히, 문항의 유형에 따라 여학생과 남학생의 정답 반응 경향이 뚜렷하게 차이가 났는데, 성취 능력이 높은 여학생의 경우 서술형 문항에서 가장 높은 성취도 결과를 나타냈다. 여학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문항은 긴 문장의 서술이 필요하거나 과학의 과정과 관련되는 경향을 보였고, 남학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문항은 과학적 지식을 묻거나 자료 해석과 관련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우리 나라 학생들 중에는 지구의 자전축, 적도의 방향, 온실 효과의 원인 등 지구 환경 과학 관련 오개념을 지니고 있는 학생들이 매우 많다는 것도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노국향, 최승현, 신동희. 이소영(2000a). OECD의 학생 평가: 읽기 수학 과학 평가틀 및 예시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자료 ORM 2000-3
  2. 노국향, 최승현, 신동희, 이소영(2000b). 2000년 OECD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E 2000-8-1
  3. 권재술, 최병순, 권치순, 양일호, 이경호, 김지나(1999).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 수준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85-193
  4. 박 정(2000). 다분 문항 반응 이론 모형. 교육과학사
  5. 성태제 (2000). 문항 반응 이론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6. 우종옥, 이항로, 민준규(1995). 계통도를 이용한 중, 고등 학생들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유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379-393
  7. 우종옥, 김범기, 허영, 김찬종, 양일호, 최관순, 김태선(1999).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73-184
  8. 이재천, 김범기(1996). 고등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인식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학습 성취도의 구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9. 이종성 역(1990). 문항 반응 이론과 응용. 서울: 태광문화사
  10. 제귀연, 안희수(1999).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85-594
  11. Beaton, A. E., Martin, M. O., Mullis, I.V.S., Gonzales, E. J., Smith, T. A., & Kelly, D. L.(1996). Science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IEA's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Center for the Study of Testing, Evaluation, and Educational Policy, Boston College
  12. Becker, J. R.(1989). Gender and science achievement: A reanalysis of studies from two meta-analysi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 141-169 https://doi.org/10.1002/tea.3660260206
  13. Beller, M., & Gafni, N.(1996). The 1991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he gender differences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 365-377 https://doi.org/10.1037/0022-0663.88.2.365
  14. Dimitrov, D. M.(1999).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Differential effect of ability, response format, and strands of learning outcom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8), 445-45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9.tb17507.x
  15. Halpern, D. F.(1997). Sex difference i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52(10), 1091-1102 https://doi.org/10.1037/0003-066X.52.10.1091
  16. Hedges, L. V., & Nowell, A.(1995). Sex differences in mental test scores, variability, and numbers of high scoring individuals. Science, 269, 41-45 https://doi.org/10.1126/science.7604277
  17.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s, E. J., Gregory, K. D., Smith, T. A., Chrostowski, S. J., Garden, R. A., & O'Connor, K. M.(2000). TIMSS 1999: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 College Lynch School of Education
  18. McArthur, J. M., & Wellner, K. L.(1996). Reexamining spatial ability within a Piagetian Framewor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0), 1065-108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65::AID-TEA2>3.0.CO;2-Q
  19. Meece, L. M., & Jones, M. G.(1996).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Are girls rote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4), 393-406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4)33:4<393::AID-TEA3>3.0.CO;2-N
  20. Muraki, E.. & Bock, R. D.(1998). PARSCALE: IRT based test scoring and item analysis of graded open-ended exercises and performance tasks. Chicago, IL: Scientific Software
  21. Murphy, R. J. L.(1982). Sex differences in objective test performanc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2, 213-219 https://doi.org/10.1111/j.2044-8279.1982.tb00828.x
  22. Preece, P. F. W., Skinner, N. C., & Riall, R. A. H.(1999). The gender gap and discriminating power in the National Curriculum Key Stage three science assessments in England and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79-987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264
  23. Steinkamp, M. W., & Maehr, M. L.(1983). Affect, ability and science achievement: A quantitative synthesis of correlational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 369-396 https://doi.org/10.3102/00346543053003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