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Seasonal and Vertical Water Quality in Soyang and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 Korea

소양호와 팔당호 수질의 수직 및 계절적 변화

  • Kim, Jong-Min (Department of Life Science, Hanyang Uni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Park, Jun-Da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Noh, Hye-R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an, Myung-Soo (Department of Life Science, Hanyang Univ)
  • 김종민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국립환경연구원) ;
  • 박준대 (국립환경연구원) ;
  • 노혜란 (국립환경연구원) ;
  • 한명수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Changes of seasonal and vertical water quality was analyzed with physico-chemical data from Soyang and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 in Korea during the 1996 to 1998. In Soyang river-reservoir system, the water column was well stratified, which narrow epilimnion layer of 5 to 10 m depth in spring to summer enlarged gradually about 40 m depth in fall as going to times. In contrast, metalimnion layer tended to be narrow during the same period. Water temperature of hypolimnion was maintained about $5^{\circ}C$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DO of the epilimnion layer was supersaturated from spring to summer, however, it was decreased to 75% at the epilimnion layer and $45{\sim}50%$ at the hypolimnion layer at the late fall. The lowest conductivity of below $50\;{\mu}S/cm$ was observed at the metalimnion layer during thesummer to fall. In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 the water column wag well mixed layer throughout the year, although water temperature was changed seasonally from $5^{\circ}C$ in February to $28^{\circ}C$ in July. Water temperature between upper and lower layer was different about $5^{\circ}C$ from late spring (May) to early fall (September). DO was over and less saturated in upper and lower layer during the early summer to early fall, respectively. Conductivity was decreased to $90\;{\mu}S/cm$ in lower layer of below $4{\sim}5\;m$ depth during the late spring to early fall and that of upper layer of above 10 m depth decreased to about $100\;{\mu}S/cm$ during the late fall (November) and early spring (March). Retention time of Soyang river-reservoir system was much longer than that of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 Chlorophyll a, T-N and T-P concentration in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 were higher than that of Soyang river-reservoir system by a factor of 2.7, 1.2 and 2.6, respectively. Algal blooming was deeply affected by the nutrients than the retention time.

소양호와 팔당호에 대한 한강수질검사소(1996${\sim}$1998)와 환경부(1990${\sim}$1997), 그리고 건설교통부(1996${\sim}$1998)자료를 인용하여 수문학적 특성에 따른 소양호와 팔당호의 수질특성 및 계절적 변화양상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소양호에서는 수온차에 의한 뚜렷한 성층현상이 관찰되었다. 춘계와 하계에 관찰된 좁은 폭의 표층은 추계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 반면 중층의 폭은 좁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심층은 연중 수온이 $5^{\circ}C$내외로 거의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춘계와 하계에는 표층에서 용존산소의과포화가 관찰되었고, 추계로 들어가면서 표층과 중층의 용존산소 포화도는 약 75%까지, 심층은 45${\sim}$55%까지 감소하였으며 빈산소 수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심층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우기동안에는 중층에서 약 $50\;{\mu}S/cm$의 가장 낮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수괴가 분포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팔당호에서 수심별 수은의 분포는 연도별, 계절별 구분 없이 비교적 잘 혼합된 수괴의 특성이 관찰되었으나$5{\sim}9$월에는 상${\cdot}$하층이 약 $5^{\circ}C$내외의 수온차이를 나타냈다. 용존산소포화도는 연중 90% 이상으로 소양호에 비해 높은 산소포화도가 관찰되었다. 초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표층에서는 과포화가, 심층에서는 60%정도까지 낮은 포화도가 관찰되었다. 늦은 봄부터 초가을 (우기)의전기전도도는 수심 $4{\sim}5\;m$ 이하의 수층에서 $90\;{\mu}S/cm$정도까지 감소하여 표층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늦은 가을부터 초봄까지의 전기전도도는 약 $10^{\circ}Cm$깊이까지 표층이 심층보다 낮게 관찰되었다. 소양호의 체류시간은 평균 245일로, 팔당호의 평균 5.1일과 큰 차이를 보였으나, 팔당호는 소양호보다 클로로필 3농도는 약 2.7배, 총 질소 농도는 약 1.2배 그리고 총 인 농도는 약 2.6배 높았다. 따라서 영양염류 농도가 체류시간보다 조류증식에 더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