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s of Clearcutting of Timber Harvesting on Stream Water Quality

개벌에 의한 수확벌채가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 박재현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tile influences of clearcutting of timber harvesting on stream water quality at a natural deciduous forest catchment with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Forests in Mt. Baegun, Chunnam province during the periods of 1993 to 2001. Soil chemical ingredients and stream water qualities were monitored at 13 ha clearcutting site, non-treatment site and included in these catchment nearby. After the harvesting first and End years, the levels of total- N, and exchangeable ions ($K^+,\;Na^+,\;Ca^{2+},\;Mg^{2+}$) were decreased the values of before harvesting, and after the harvesting 111th years and eighth years, respectively. But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were not changed at all. pH of water in the harvesting area was 6.5 in stream water. Among the nutrient, Cd, Pb, Cu, and phosphate were not found, and the level of BOD reached at the level of the domestic use for drinking. Turbidity, odor, taste, $NH_4\;^+-N,\;NO_3\;^--N$, standard plate count, and coliform were also low enough to be used as the domestic use for drinking in the near villagers. Total amount of cation, total amount of anion and total amount of ion in clearcutting site, non- treatment site and included in these catchment nearby were higher than clearcutting site and non- treatment site. Bu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이 연구는 성숙활엽수림 개벌수확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내 제26임반에서 1993년부터2001년까지 계류수질에 영향하는 토양의 화학성분과 계류수질을 측정 ·분석한 결과, 벌채 후 1년, 2년이 경과되는 동안 전질소, 치환성 이온인 $K^+,\;Na^+,\;Ca^{2+},\;Mg^{2+}$등은 벌채 전보다 양적으로는 감소하였으나, 벌채 8년 후에는 벌채 전으로 점차 회복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양의 화학성분은 변화하지 않았다. 벌채 당해년도와 그 다음 해, 그리고 벌채 5년, 8년 후 벌채지 계류수의 BOD, pH등은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이었으며, Cd, Pb, Cu등 중금속과 유기인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계류수의 색도, 탁도, 냄새, 맛, $NH_4\;^+-N,\;NO_3\;^--N$,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등 8개 항목은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여 벌채지 인근지역 주민들이 음용수로 이용하는 데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계류수에 용존되어 있는 양이온총량, 음이온총량, 이온총량은 비벌채지와 벌채지가 합류하는 유역이, 비벌채지 유역과 벌채지 유역의 계류수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그 값의 차는 크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