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geographic Feature of North Korean Ecosystem

북한 자연생태계의 생물지리적 특성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is work aims to collect a biogeographic informations on the biota, alpine ecosystem, nature reserves, forest ecosystem of North Korea, and also to accumulate a basic data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 of the natural ecosystem of North Korea for the preparation of future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he obtained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North Korean biota contains 18,013 species, and consists of 6,710 plant species, including 3,860 species of vascular plants. Secondly, urgent investigation on the biogeographically important arctic-alpine and alpine plants and ecosystem, those are known to be endangered due to environmental change and global warming, is required. Thirdly, the conservations of diverse nature in North Korea are conducted by the introduction of various systems, such as nature preservation region, reserves for plant, animal and sea bird, and natural monuments. Fourthly, out of 9.5 million hectares of forest, one million hectares have already faced forest denudation, thus caused lots of damages for forest ecosystem. Sharp decline of North Korean forest land are due mainly to the expansion of terraced dry-field farming and deforestation. Recovery of denudated forest land should be approach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n sides to solve the problem of shortage of foods and restoration of natural ecosystem of North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고경식. 1978, 특기할 북한 식물의 속, 식물분류학회지. 8(1, 2). 53-58
  2. 공우석. 1989, 한반도 생물지리구 설정과 종구성, 지리학(대한지리학회지), 40, 43-54
  3. 공우석. 1990. 한반도 생물지리구 구성종의 외관형과 분포역, 지리학총, 18. 1-15
  4. 공우석, 2001a, 북한의 자연 생태계의 이해와 보전, 북한 국토의 이해와 개발에 관한 국제 학술 세미나. 요약집, 1-34, 대한지리학회, 2001. 12. 7. 서울대학교
  5. 공우석. 2001b. 고산과 아고산 경관생태, 한국경관 생태연구회(편). 121-139. 경관생태학, 동화 기술
  6. 길봉섭, 김영식, 김창환, 유현경, 1998, 백두산 수목한계선 상부의 식생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1(5-2), 519-529
  7. 김계진, 1988, 우리 나라 륙서포유류의 분포형에 대한 연구, 과학원통보. 1988(2), 27-39
  8. 김리태, 1900, 우리 나라 민물고기상의 일반적인 특징과 동물지리적 구계에 대하여, 생물학, 1900(2). 39-45
  9. 김봉주. 1992, 북조선 산림자원의 전망, 제73회 임학대회강연집, p. 12(김운근, 1997에서 재인용)
  10. 김상욱, 박종화, 2001, 북한 도시지역의 산림파편화 변화조사, 환경영향명가, 10(1), 39-47
  11. 김성덕, 1992, 백두산 산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백두산 자연생태 종합학술조사보고서, 157-220. 충남대학교
  12. 김왈홍, 1991, 학생식물사전, 금성청년출판사
  13. 김운근, 서승진. 김정봉, 1994a, 북한의 임업과 수산업 현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 김운근, 고재모, 김영훈, 1994b, 북한의 농업 개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김운근, 1997. 북한의 농 . 임업, 공보처
  16. 김윤식, 1989, 백두산의 자연, 식물분류화회지, 19(4), 303-321
  17. 김윤식, 1990, 백두산의 식물과 자연보호, 자연보존, 69, 36-48
  18. 김윤식, 1991, 백두산의 개관, 이영노 편, 백두산의 꽃, 14-39, 한길사
  19. 김영재, 한성진, 1986, 백두산자연보호구의 산림식물군락에 대한 연구, 산림과학, 1986(l), 4-16
  20. 김종원, 1993,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현황 분석, 한국환경기술개발원
  21. 김종홍, 윤경원, 1998, 백두산과 북한의 상록활엽수. 한국생태학회지, 21(5-2), 531-539
  22. 김태정, 1993, 백두산의 우리 꽃, 현암사
  23. 도봉섭, 임록재, 1988, 식물도감, 사회과학출판사
  24. 리기준, 최태성, 리선종, 김창룡, 1988, 우주사진에 의한 축척 1 : 50만 조선산림 분포도 작성에 대한 연구, 산립과학, 1988(1), 1-7
  25. 리성대, 리금철, 1996, 북한천연기념물편람, 한국문화사
  26. 리종오, 1964, 조선고등식물 분류명집, 과학원출판사
  27. 박만규, 1942, 조선고산식물목록, 조선박물학회잡지, 9권 33호, 1-12
  28. 박재은, 류상권. l988, 동해안지방에서 마지막 빙하기 이후 산림의 력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산림과학. 1988(1), 8-13
  29. 박태훈 외, 1986, 지리상식백과,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0. 박희천, 1992, 북한의 자연사 연구 1, 북한의 분류학, 동물분류학회지, 35, 115-124
  31. 북한문제연구소, l994, 북한조감, 내외통신사
  32. 석현덕, 정정길, 유병일, 1998, 통일대비 북한 산림 관리 방안, 산림청
  33. 석현덕, 1999, 북한의 산림 및 관리 현황, 한국임학회 1999년 정기총회 및 학술연구발표회, 초록집. 27-37
  34. 송호경. 1992, 백두산의 산림생태, 백두산 자연생태종합학술조사보고서, 221-242, 충남대학교
  35. 엄상섭, 1984, 우리 나라 서북부 압록강, 비래봉지구 식물상에 대한 연구(3), 과학원통보 183, 43-46
  36. 원병오, 1993, 한반도의 자연생태계-특히 척추동물의 보호관리실태-, 한반도지역의 생태계 보호 관리 실태, 1-54, 한국자연보존협회 창립30주년기념 심포지움, 한국자연보존협회
  37. 유충걸, 심혜숙, 1993, 백두산과 연변조선족, 백산자료원
  38. 이규성, 정미령, 융정숙, 1999, 북한 지역 산림면적 변화의 규모와 특성, 한국임학회지, 83(3), 352-363
  39. 이승호, 정성학, 송장호. 1998, 원격탐사에 의한 북한의 산림자원조사, 산림과학논문집 58, 1-13
  40. 이영로. 1986, 백두산의 꽃, 한길사
  41. 이영로, 1988, 백두산의 꽃피는 식물, 식물분류학회지, 18, 325-332
  42. 이우철, 1989, 백두산 식물상의 재검토, 식물분류학회지, 19(4), 19, 241-248
  43. 이인규, 김준호, 이병훈, 박희천, 1991, 북한의 과학기술과 남북교류 심포지움: 생태계 분야, 북한의 생물상과 자연생태의 조사연구에 대한 현황 분석,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23-34
  44. 이진규, 이성연, 1992, 북한의 임업, 임업연구원
  45. 이희선, 박헌우, 임영득, 이성규, 1998, 백두산 달문주변 고산초원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1(5-2), 541-547
  46. 임록재 외, 1996-2000, 조선식물지 1-9권, 과학기술 출판사
  47. 임양재, 심재국, 1998, 백두산의 식생대에 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21(5-2), 501-518
  48. 장남기, 1980, 식생과 동물, 건설부 국립지리원(편), 한국지지 총론, 242-249
  49. 장남기, 1990a, 백두산 삼립한계의 파동성에 관한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3(4), 321-329
  50. 장남기, 1990b, 한국에 있어서 백두산의 고산툰드라와 고산 및 아고산대의 고산 툰드라 비교 한국생태학회지, 13(3)
  51. 장남기, 여성희, 이선경, 권혜련, 1991, 백두산 서북사면 삼림의 수직분포, 한국생태학회지, 14(4), 435-448
  52. 장남기, 여성희, 이선경. 1992, 백두산 분화구내 천지 주변의 식물 군락 분포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5(3), 209-220
  53. 장남기, 심계철, 이현욱, 강경미, 소금현, 1998, 식물의 경계분포 이론과 백두산 삼림한계선의 파동성, 한국생태학회지, 21(5-2), 491-499
  54. 전진표, 1999, 북한 산림자원 실태 및 산림협력방안, 북한농업연구, 6, 74-76
  55. 정영호, 1989a,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12월호, 84-89
  56. 정영호, 1989b, 우리 나라 고산식물의 분포 특성, 자연보존, 66, 29-38
  57.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대 및 적지적수론, 성대논문집, 10, 329-435
  58. 조민성, 2000, 북한의 삼림 황폐화, 교수신문 2000, 8, 28
  59. 차종환, 1992, 백두산, 장백산 그리고 금강산, 선진문화사
  60. 차종환, 1998, 백두산 식물생태, 예문당
  61. 차종환, 1999, 묘향산 식물생태, 예문당
  62. 통일원, 1991, 북한개요, 통일원
  63.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2001, 21세기 자연환경보전정책 발전방향, 환경부
  64. 홍순익, 1989, 조선자연지리, 김일성종합대학 출판부
  65. 황영현, 차윤정, wang, X.L, piao, Z.J., 1998, 유네스코 장백산 생물권보전지역의 생태관광 개발 잠재력과 관광 영향, 유네스코한국위원회
  66. 南寅鏑. 1984. 朝鮮植被槪況, 延邊農學院學報, 2(16). 15-26
  67. 中華人民共和國, 1976. 朝雖主耍銀象톨店資料. p. 13( 김운근, 1997에서 재인용)
  68. 中華人民共和國, 林業部, 1991, 北韓出張報告書, 中華人民共和團(김운근, 1997에서 재인용)
  69. 中井猛之進 1919-1939. 朝雖森林植物編. 1-7卷
  70. 中井猛之進 l927. 朝雖高山植械樞物. 科學知識
  71. 中井猛之進, 1935. 東亞植物, 岩波全書, 東京
  72. 森爲三, 1928, 濟州島所生植物分布就, 文敎朝鮮, 38. 33-60
  73. FAO 한국협회, 1987, 아태지역 식량농업 개발지표 1978-88, FAO 한국협회(김운근, 1997에서 재인용)
  74. Kolbek, J. & Kucera, M., 1989, A Brief Survey of Selected Woody Species on North Korea (D.P.R.K), Botanical Institute, Czechoslovak Academy of Sciences, Czechoslovakia
  75. Kolbek J. & M. Srutek, 1990, Structure of tree line on the SE slopes of Mt. Paektu, Abstracts, V International Congress of Ecology, p. 384
  76. Kolbek, J. & Kucera, M., 1999, A Brief Survey of Selected Woody Species on North Korea (D.P.R.K) II, Botanical Institute, Academy of Sciences of the Czech Republic, Czech
  77. Kong, W.s., 1991, present distribution of cryophilous plants and Palaeo-enviro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ary Research, 5(1), 1-14
  78. Kong, W.S., & Watts, D., 1993, The Plant Geography of Korea, 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pp. 229
  79. Kong, W.S., & Watts, D., 1999, Distribution of arboreal arctic-alpine plants and environments in NE Asia and Korea,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Vol. 72(Series B), No. 2, 122-134
  80. Mueller, F.B., 1987, Sozialistische Forstwirtschaft, 92-95: 하연(역), 1993, 북한의 임업, 숲 과 문화, 2(1), 42-49
  81. Nakai. T., 1909, Flora Koreana, Jour. Col. Sci., Tokyo Imper. Univ., 26, 1-304
  82. Nakai. T., 1911, Flora Koreana II, Jour. Col. Sci., Tokyo Imper. Univ., 31, 1-573
  83.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Tokyo
  84. UNDP/FAO, 1998, Agricultural recover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DPRK, a document (draft) prepared for the Round Table Follow-Up meeting. Palais des Nations, Geneva
  85. www.nis.go.kr
  86. www.peacefore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