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 Dae-Yong and Engineering Education

홍대용과 공학교육

  • Rho Tae-Cheon (Technology Education, College of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노태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기술교육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e 18th century Joseon(朝鮮) science philosopher Hong Dae-Yong(洪大容, 1731-83) tried to create his own scientific system, while partially keeping the Eastern view of nature and accepting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Most of all, he confirmed that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was based on mathematical principles and accurate observation and wrote a math book, [Juhaesuyong(籌解需用)]. Therefore, we have good reason to call him a mathematician. He produced so many achievements that he can be considered a natural scientist in the late Joseon era; he accepted the Eastern view of nature critically and sometimes refused it. He also suggested new and various scientific thoughts, including an infinite universe theory, on the basis of Western scientific thought. Hong Dae-Yo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actice. He understood the principle of the Western Honcheonui(渾天儀) and manufactured an alarm clock with a craftsman's help. He was an excellent engineer and he set a personal observatory. Considering the level of scientific technology at that time, it is reasonable to regard Hong Dae-Yong as a 'scientific technologist in the 18th century Joseonera', well equipped as a mathematician, a natural scientist, and an engineer. In conclusion, it is with 'mathematical thinking, creative conception,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Hong Dae-Yong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that we can set a guide to produce excellent Korean scientific technologists and engineers in the 21st century.

홍대용은 서양의 과학기술이 수학적 원리와 정밀한 관측에 근거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주해수용(籌解需用)]이라는 수학책을 저술함으로써 수학자로 일컬을 만 하다. 그리고, 홍대용은 동양의 자연관과 우주관을 비판적으로 수용 검토하고, 서양의 과학사상에 근거하여 무한우주설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진취적 과학사상을 제시함으로써, 조선후기의 자연과학자로 인정할 수 있는 업적을 남겼다. 또한, 실천을 중요시한 홍대용은 서양식 혼천의와 자명종을 이해?수용하고 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제작하여, 자신의 개인관측소(籠水閣)에 설치할 정도로 기술자로서의 면모도 갖추었다. 홍대용의 과학자 및 기술자로서의 측면을 통하여, '수학적 사고, 창의적 구상, 실천적 활동' 등을 21세기 한국의 우수한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방향으로 설정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춘화 2000. <홍대용의 실학적 인식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문용 1996. <홍대용의 자연 이해>[실학의철학], 예문서원, 275-294쪽
  3. 김문용 2000. <홍대용 자연관의 방법론적 전환>[과학사상], 제33호, 66-81쪽
  4. 김태준 1982. [홍대용과 그의 시대], 일지사
  5. 김태준 1987. [홍대용 평전], 민음사
  6. 김태준 1998. [홍대용], 한길사
  7. 김태준$\cdot$박성순 2001. [산해관 잠긴 문을 한손으로 밀치도다], 돌베개
  8. 박성래 1978. <한국근세의 서구과학 수용>[동방학지], 20, 257-292쪽
  9. 박성래 1979. <홍대용의 우주론과 지전설>[한국과학사학회지], 제1권제1호, 83-84쪽
  10. 박성래 1981. <홍대용의 과학사상>[한국학보]23, 159-180쪽
  11. 신용하 1991. <홍대용의 사회신분관과 사회신분제도 개혁사상>[한국문화], 제12집. [조선후기 실학파의 사회사상연구](지식산업사,1997)에 재수록
  12. 원준재 1988. <담헌 홍대용의 교육사상 연구>,인하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13. 유봉학 1982. <북학사상의 형성과 그 성격>[한국사론], 8집, 183-246쪽
  14. 유봉학 1995. [연암일파 북학사상연구], 일지사
  15. 전상운 1975. <담헌홍대용의 과학사상-그의 지전설 재론>[이을호박사정년기념 실학논총]
  16. 정성철 1974.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상.하)], 사회과학출판사
  17. 천관우 1958. <홍대용의 실학사상>[문리대학보], 제11집
  18. 천관우 1965. <담헌 홍대용>[한국의 인간상], 신구문화사
  19. 천관우 1965. <홍대용 지전설의 재검토>[효성조명기박사 화갑기념 불교사학논총]
  20. 한영호 2001. <서양 기하학의 조선 전래와 홍대용의 [주해수용]>[역사학보], 제170집, 53-89쪽
  21. 한영호$\cdot$남문현 1997. <조선조 중기의 혼천의 복원연구:이민철의 혼천시계>[한국과학사학회지], 제19권 제1호(1997.6), 3-19쪽
  22. 한영호$\cdot$남문현$\cdot$이수웅 2001. <조선의 천문시계연구>[한국사연구], 113, 57-84쪽
  23. 한영호 외 1999. <홍대용의 측관의 연구>[역사학보], 제164집, 125-164쪽
  24. 홍대용(조일문 역) 1975. [임하경륜?의산문답], 건국대학교출판부
  25. 홍대용(민족문화추진회 역) 1974. [담헌(IV)](고전국역총서), 민족문화추진회
  26. 홍대용(소재영.조규익.장경남.최인황 주해) 1997. [주해 을병연행록], 태학사
  27. 홍이섭 1946. [조선과학사], 정음사
  28. Park, Seong-Rae 1979. [한국과학사학회지], 제1권 제1호, 39-49쪽
  29. 洪以燮 1944. [朝鮮科學史], 三省堂
  30. 藪內淸 1968. <李朝學者の地轉說>[朝鮮學報], 第49輯, 427-434面
  31. 小川晴久1975. <洪大容の宇宙無限論>[東京女子大學比較文化硏究所紀要], 38
  32. 小川晴久1979. <地轉說에서 宇宙無限論으로>[東方學志], 제21집, 55-9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