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of the test of creativity level for science field

과학 창의성 검사지 개발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We have developed a tool and solution to test creativity level for science field. This test tool was considered 7 creativity elements. In development process, it was verified for contents validity, clarity of the item etc. The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item analysis after applying for 332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s of item analysis, it showed meaningful(validity: 92%, item difficulty: $42%{\sim}73%$, reliability: 0.84, item discriminating power: $0.22{\sim}0.70$)over the level of a standard basis. This means that the test tool was useful in the test process of creativity level for science.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와 답지를 함께 개발하였다. 이 검사지에는 창의성을 이루고 있는 7 가지 창의성 요소를 반영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타당도와 문항의 명료성 등에 대한 검증을 받았다. 개발된 검사지는 332명의 중학생들에게 투입되어 타당도, 신뢰도 등 검사분석과 난이도, 변별도 등의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사분석 결과 타당도: 92%, 신뢰도: 0.84으로 문항분석 결과 난이도:$42%{\sim}73%$, 변별도: $0.22{\sim}0.70$ 를 보여 과학 창의성 수준 검사 과정에서 활용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5호(별책 9). p2
  2.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pp 288-300
  3. 김상윤 (1998). 유아의 창의성측정도구로서의 칠교판 검사 연구. 고신대학, 아동연구, 7, pp 1-11
  4.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1996). 과학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 (I). CR96-2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송인섭.이신동.이경화.최병현.박숙희(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p.219-220
  6. 이연우(1989).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지 개발, 석사학위 논문, 한국 교원 대학교
  7. 전경원 (1999).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학지사: 서울
  8. 조석희, 시기자, 지은림(1997),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 CR 97-51. 한국교육개발원
  9. 이광형(1997), 과학동아 9월호, p.134-137
  10. 이군현과 김규환(1990), 과학영재교육, p62-63
  11. 정현철 외(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 , 한국지구과학회지 23권 4호, 334-348
  12. 허경철, 김홍원, 임선하, 김명숙, 양미경. (1991),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V), 한국교육개발원
  13. Alexander, P. A., Wilson, V. L.,, White, C.S., & Fuqua, J. D. (1987). Analogical reasoning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 4, 401-408 https://doi.org/10.1037/0022-0663.79.4.401
  14. Domino, G., (1980). Chinese tangrams as a technique to assess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4, 204-213 https://doi.org/10.1002/j.2162-6057.1980.tb00244.x
  15. Gronlund, N. E.,(1985),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5th ed.,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pp 169-212
  16. Guilford, J. P.(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17. Han, K.S. and Marvin, C.,(2002), Multiple creativities?: Investigating domain-specipic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6(2), pp98-109 https://doi.org/10.1177/001698620204600203
  18. Jellen, H. , & Urban, K. (1986). The TCP-DP: An instrument tha tcan be applied to most age and ability groups. Cr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3, 138-155
  19. Lubart, T.I.,(1994), Creavity. In Sternberg. R.J., (ed),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CA, pp 169-378
  20. Mednick, S. A.(1962).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 Psychological Review, 69, pp 220-232 https://doi.org/10.1037/h0048850
  21. Torrance E. P. (1966).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echnical-norms manual (research ed.) Princeton, NJ: Personnel Press
  22. Torrance, E. P., Ball, O. E., & Safter, H. T. (1998).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and B. Bensonville, IL: STS
  23. Ward, T. B., Finke, R. A., & Smith. (1995). Creativity and the mind: Discovering the genius within. New York: Plenum Press
  24. Woolfolk, Q, E.(1995). Educational Psychology(6th ed.). Lond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