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Chosun Period Appearing in Korean Genre Painting

조선시대 한국풍속화에 나타난 식생활문화에 관한 연구

  • Koh, Kyung-Hee (Major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고경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is present study suggests a wider view of our ancestors' food culture by examining the generality and peculiarity of the food culture of the Chosun Period by associating the culture with genre paintings made in the $18th{\sim}19th$ century in Korea. People in the Chosun Period outwardly advocated the Confucian idea reflecting the life philosophy of Chinese. However, the vitality of common people's frank and simple lifestyles saturate genre paintings and display Korean food culture and sentiments of the age. Initially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food sociology through Namjong literary artists' paintings. The meaning and philosophy of drinks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trend of declining tea culture among scholars in the mid-Chosun Period with the policy of promoting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ackground of genre paintings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examines the unique food culture of Koreans appearing in painting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abundance and variety of seasoned vegetables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our ancestors' sentiment appearing in milk-gathering painting, humanity in guest reception, food culture and view of nature in farm villages, fishing life history, food distribution culture, soybean-curd culture, etc.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용, 장경희, 강현숙, 강민기, 이숙희, 이선재, 윤희상.'한국 미술문화의 이해' 도서출판 예경, 2002, pp. 172-177
  2.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pp. 19-24
  3. 윤서석, '한국 식생활의 통사적 고찰' '한. 중. 일의 식문화', 한국식문화학회, 1993, pp. 43-58
  4. 빙허각이씨. '규합총서' 보진제, 1974
  5. 안동장씨부인. 황혜성감수. 한복려, 한복선, 한복진엮음. '다시보는 음식디미방' 사단법인궁중음식연구원, 1999, pp. 64-94
  6. 홍만선. '산림경제', 경인문화사, 1974, pp. 271-346
  7. 이덕무. '청정관전서', 서울대학교, 1996
  8. 이성우. '조선시대 조리서의 분석적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9.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3, pp. 288-289
  10. 이성우.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1994, pp. 238-266
  11. 박용숙. '한국미술사이야기' 예경, 2000, pp. 347-349
  12. 박용숙. '한국식품문화사' pp. 249-260
  13. 허 균. '우리의 옛그림' 대한교과서, 2000, pp. 89-101
  14. 동상서. '우리의 옛그림' pp. 95-101
  15. 동상서.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pp. 169
  16. 동상서. '우리의 옛그림' 대한교과서, 2000, pp. 95-101
  17. 동상서. '한국미술사이야기' pp. 354-355
  18. 동상서. '우리의 옛그림' pp. 83-88
  19. 정병모. '조선시대 후반기 풍속화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20. 정병모. '한국의풍속화' pp. 265-266
  21. 김현주. '판소리와 풍속화' 효형출판, 2000, pp. 46-47
  22.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1998, pp. 234-243
  23.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그림' 박영사, 1975, pp. 209
  24. 안휘준. '풍속화' 중앙일보 계간미술, 1993, pp. 215
  25. 안휘준. '한국의풍속화' pp. 58
  26. 안휘준. '풍속화' pp. 217
  27. 동상서. '풍속화' pp. 234
  28. 성 현. "용재총화" 솔, 1997, pp. 208
  29. 허 균. '도문대작'
  30. 김상보. '조선왕조궁중의궤음식문화' 수학사, 1995, pp. 238
  31. 유희. '물명고' 문아사, 1974, pp. 54-108
  32. 유희. '한국요리문화사' pp. 289-300
  33.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2권, 국사편찬위원회, 1968, pp. 361-419
  34. 홍만선. '산림경제', 경인문화사, 1974. pp. 288
  35. 홍만선. '규합총서' pp. 42
  36. 이성우. '한국 유문화의 역사' '유문화심포지움' 한국식문화학회, 1989, pp. 31-48
  37. 이성우. '풍속화' pp. 219
  38. 이성우. '풍속화' pp. 218
  39. 이성우. '한국식생활사' pp. 344-352
  40. 이성우. '풍속화' pp. 219
  41. 이성우. '한국의풍속화' pp. 265-266
  42. 이성우. '한국미술사이야기' pp. 403-404
  43. 이성우. '풍속화' pp. 226
  44.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1999, pp. 308-313
  45. 윤서석. '풍속화' pp. 357-366
  46. 윤서석. '규합총서' pp. 53-69
  47. 윤서석. '산림경제' pp. 295-310
  48. 윤서석. '음식디미방' pp. 84-87
  49. 김상보.'한국의 음식생활문화사' 광문사, 1997, pp. 350-362
  50. 김상보. '한국식생활사' pp. 331-338
  51. 김상보. '풍속화' pp. 226
  52. 김상보. '판소리와 풍속화' pp. 237-238
  53. 김상보. '한국 식생활의 통사적 고찰' '한.중.일의 식문화' 한국식문화학회, pp. 43-58
  54. 김상보. '판소리와 풍속화' pp. 232
  55. 조영광. '중국의 식문화에 대한 보고', '한.중.일의 식문화' 한국식문화학회, 1993, pp. 5-21
  56. 조영광. '도문대작'
  57. 조영광. '산림경제'
  58. 조영광. '상호사설'
  59. 조영광. '규합총서'
  60. 장지현. '한국전래 대두이용음식의 조리 . 가공사적연구' 수학사, 1993, pp. 52-57
  61. 조흥윤, 게르노트프르너. '기산풍속도첩(箕山風俗圖帖)' 범양사출판부, 1984, pp. 3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