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한국(韓國)의 채소(菜蔬) 음식(飮食) 문화(文化)

  • Cho, Mi-Sook (Dept. of Food & Nutrition Baewha Women's College)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In Korean history, vegetables were the major side dishes of meals and originally korean diets were based on vegetables. But recently people prefer meat dishes rather than vegetables and traditional vegetable cooking seems to be disappeared. So it is needed to be positioning the importance of vegetables in food culture of Korean. In present study, history of vegetable eating was reviewed and recent consumption pattern were analyzed. 1. Since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and Koryo dynasty, the kinds of vegetables varied and at Chosun Dynasty people used similar kinds of vegetables as nowadays except a few things. A Garlic and mug wort had been used from the age of tribes to present and an egg, apple, cucumber, lettuce from the three Kingdom and a bamboo sprout, a taro, a burdock, a radish, a turnip, a stone-leek, a scallion, a Chinese cabbage, a marsh mallow, a spinach and a crown daisy from Koryo Dynasty and a pepper, a pumpkin, a tomato, a cabbage, a salary, a kale, a turnip and a beet from Chosun Dynasty to present. A guard, a water shield plant, a yam and wild plants would have been used before but they would not use any more. 2. Current vegetable consumptions of Korean is 232.2kg/person/yr and comparing with world mean consumption(101.9kg), Koreans still eat the largest amount of vegetables than any other countries and among Asian countries, Koreans consume more vegetables than China(203.5kg) and Japanese people(111.6kg) do. 3.The most frequently consumed vegetables were vegetables for seasonings such as a garlic or stone-leek and for kimchi such as a Chinese cabbage, radish, and carrot. But from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2001), kinds of vegetables which people had were only 72 items showing that the kinds of vegetables were limited. 4. A lot of wild plants that would have been used for famine relief are now disappeared and on the other hand, it is increasing of some new and foreign vegetables and herbs. Cooking methods and intake pattern of vegetables are changed and varied so a traditional cooking method such as namuel is less preferred than before. But vegetable wrapping and green vegetable juice, eating uncooked vegetables(sang-sik) are very popular.

이상으로 한국의 채소음식에 대한 시대적인 변화 경향과 최근의 채소 섭취량 및 섭취형태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족국가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채소의 종류는 점차 다양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거의 현재와 비슷한 채소를 이용하였다. 상고시대 이래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로는 마늘과 쑥이 있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가지, 오이, 상추가 고려시대 이후로는 죽순, 토란, 우엉, 무, 순무, 파, 부추, 미나리, 배추, 아욱, 시금치, 쑥갓 등이 조선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고추, 호박, 토마토, 캐비지, 셀러리, 케일, 순무(turnip), 근대(beet), 등이 있다. 한편, 과거에는 섭취했으나 현재는 섭취하지 않는 채소로는 박과 마, 순채 등과 각종 식용야생초들이 있다. 2. 한국인의 채소 공급량은 일인당 연간 232.2kg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은 이러한 양은 전세계의 평균 공급량인 101.9kg과 비교해서 많은 편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비교해 보면 중국(203.5kg)이나 일본(111.6kg) 보다는 많은 양이었다. 3. 채소섭취량은 1970년 이후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1990년에 201.1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 감소하여 2000년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65년 이후 큰 변화없이 110-120kg 수준을 공급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에는 1995년 이후에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채소류의 공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나라로 나타났다. 4.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마늘, 파 등의 양념류와 배추김치, 무, 양파, 당근 등으로 종류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114종 가운데 섭취한 채소의 종류는 모두 72종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 1인 1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채소는 배추김치였고, 그 다음으로 무, 양파, 파, 깍두기, 감자, 배추, 시금치, 애호박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도 남자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애호박이 다소비식품 내에 포함되지 않았다. 5. 구황식품과 부식으로 이용되었던 산나물과 야생식물의 이용은 현재 거의 사라진 반면 새로운 외래채소와 허브류의 도입은 급증하고 있으며, 채소를 섭취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나물에 대한 기호도는 낮아지는 반면 다양한 채소를 이용한 쌈싸기와 녹즙, 생식등이 상업화되었으며, 채소전문식당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채식주의도 나타나서 채식문화가 다양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채소 음식의 소비는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우리가 과거에 섭취했던 산나물들의 효능과 함께 우리나라 전통 채소 음식의 조리방법에 대한 연구 및 보급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변화하고 있는 채소의 생산과 소비 현황에 대한 보다 정확한 통계자료의 수집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성우, 東아시아 속의 古代 韓國食生活史 硏究, 316, 鄕文社, 1994
  2. 허균. 한정록. 김영진 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4-145, 160. 1984
  3. Choi, NS, The study on change of quality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Wild vegetables by cultivation, blanching and drying method, Ewha Woman's University Ph.D Thesis, 1999
  4. Cho EJ, Yang MO, No KS,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Umbelliferaecea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18(1):8-13 2002
  5. Cho EJ,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Korean J. Dietary Culture 5(1): 59-69, 2000
  6. Lee MS, Jung MS, Lee SW, A historical review on Korean vegetables, Korean J. Dietary Culture 3(4): 359-367, 1988
  7.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7
  8. Cho HJ. The Traditional Method for Preparing Korean Vegetable Dishes Especially about Na mul Seng chae Ss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14(4): 339-348, 1998
  9. 김숙희, 장문정, 조미숙, 정혜경, 오세영, 장영애, 식생활의 문화적이해, 신광출판사, 2000
  10. 윤서석, 신생활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2001
  11. Lee MS, Lee SW. A Historical Study on Horticultural Food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2): 45-53, 1986
  12. 윤서석, 한국음식, 수학사, 2002
  13. 보건복지부, 2001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보고서
  14. FAO Food Balance Sheet. 2000
  15. 농림부, 농림업주요통계연보, 2001
  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통계데이터 베이스(http://kreistats)
  17. 윤서석, 한국민속대관, 의.식.주 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8. Lee JH, Lim SS,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Hypocholesterolaemic Effect of Aster scaber and Ixeris dent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6(1): 123-130, 1997
  19. Kim MK, Kim JH,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2(5): 540-552, 1999
  20. Kim MK, Han DS, Lee HJ, Effect of Dried Powder and Juice of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4(4): 375-384, 2001
  21. Reddy BS 1996, Chemoprevention of colon cancer by minor dietary constituents and their synthetic analogues. Preventive Medicine, 25:48. https://doi.org/10.1006/pmed.1996.0017
  22. Cho SY, Han YB, Shin KH. Screen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 133-137, 2001
  23. 원색 구황식물도감, 농촌진흥청 호남 농업시험장, http://www.nhaes.go.kr
  24. 김영철, 산나물들나물, 전원문화사, 2001
  25. 권영한, 약이되는 산야초, 전원문화사, 2001
  26. Time, Sould you be an vegetarian? 2002.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