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ptimum Conditions for Screening of Salt Resistant Lines Through Embryo Culture in Panax ginseng C.A. Meyer

인삼 염류내성 계통의 선발을 위한 배배양 배지조건

  • 양덕춘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
  • 이은경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
  • 권우생 (한국담배인삼공사 원료연구소)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Korean ginseng(Panax gmseng C.A. Meyer) is very difficult to obtain stable production of qualified ginseng roots because of variable stresses in soil environments. In environment stresses, soil condi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which nutrients, especially inorganic materials such as N, P, K, Ca, Mg, Fe, etc., influence greatly on the ginseng growth. However, present ginseng field soils in Korea contain so much amount of such inorganic materials that a variety of remarkable disorders were noted in many ginseng plantations, resulting in decrease of qualitative ginseng produc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earch for genetic resources and genes tolerant to salt stress for the development of ginseng cultivars. Selection of stress-tolerant ginseng lines in fields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trol properl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oil. On the contrary, it can be studied with ease to search for stress-tolerant ginseng lines through in vitro culture because of easy manipulation of stress conditions. Murashige & Skoog(MS) media with 2.5 folds of $KNO_3,\;NH_4NO_3,\;MgSO_4\;7H_2O,\;KH_2PO_4,\;and\;CaCl_2\;2H_2O$ was established for the selection of ginseng lines tolerant to salt stress under the embryo culture.

순계 분리된 인삼의 우수 계통으로부터 염류내성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배배양으로부터 유기된 인삼 개체를 염류 종류와 농도별 차이에 따라 엽병의 생장율과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N, P, K 그리고 Na와 Fe의 복합처리구에서는 10배 이상의 농도로 첨가된 처리구 모두에서 엽병의 생장과 개체의 생존율이 전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K 처리구에서만 다수의 생존개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a 10배 처리구와 Mg 20배 처리구까지는 비교적 엽병의 생장과 개체의 생존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가지 염류 모두를 복합처리한 결과에서도 1.25와 2.5배 처리구에서만 약간의 생장을 보였을 뿐 5배 이상 처리한 고농도에서는 생장과 생존을 모두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인삼의 염류내성 계통을 선발하기 위한 종합염류 농도는 2.5배 수준으로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수, 이종화, 이태수, 백남인 (1984) 인삼 생리장해 방제에 관한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p. 1-96
  2. 남기열 (1991) 토양염류 농도가 고려인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3. 목성균, 천성기, 이성식, 신동양 (1984) 인삼의 최적 환경조성 및 해가림 자재 개발연구. 한국인산연초연구소. p. 1-92
  4. 박훈, 이명구, 변정수, 이종화, 이종률 (1983) 인삼재배법 개선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p. 139
  5. 오승환, 박창석, 김영인 (1979) 적변삼 원인연구. 인산연구보고서 (재배분야). 고려인삼연구소 p. 3-15
  6. 이종화 등. (1982). 인삼의 영양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p41-52
  7. 이종화, 남기열, 김명수 (1978) 인삼의 연근별 무기성분 흡수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1(1) :58-62
  8. 이종화 (1977) 인삼의 품질과 경작상의 제문제. 인삼정보 1(1) : 17-20
  9. 宮澤洋一 (1975) '樂用にんしの 栽培技術. 農業おとひ' 園藝 50(1) : 117-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