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RETENTION BETWEEN DIFFERENT OPERATORS USING DIFFERENT ISOLATION TECHNIQUES

시술자와 방습법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유지에 관한 연구

  • Cho, Jae-Y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Wo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ang, Ki-Tae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hn, Se-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재용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정욱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장기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종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한세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훈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8.30

Abstract

Currently, 'National program of dental sealant' has begun in Korea, but various isolation techniques and preparation is perform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pit and fissure sealant retention rates between different operators using two different isolation techniques. Additionally, the failed surface was examined. One examiner performed the examination after one year of the initial operation. The population consisted of 119 children(mean age $8.59{\pm}0.772$) of which the total sealed number was 279 permanent first molars. Pediatric dentists sealed 131 molars using the rubber dam isolation technique (Group 1), general practitioners sealed 80 molars using the rubber dam isolation technique (Group 2), and dental hygienists sealed 69 molars using the cotton roll isolation (Group 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mplete retention rate between Group 1 (90.8%) and 2 (85.0%)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05).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t retention rates between Group 1 and Group 3(64.7%) and between Group 2 and Group 3 (p<0.05). 2. In comparing retention rates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Only Group 3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complete retention rate in mandible than maxilla (p<0.05). 3. In failed surface analysis, occlusal failed surface was 58.3%, buccal/palatal failed surface was 41.7%.

치면열구전색제의 예방효과는 전색제의 유지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시술시의 환경과 시술 방법, 개개 환자의 구강 위생이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규모로 '치아홈메우기 사업'이 진행 중에 있지만 시술 여건이나 시술자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의 방습법과 치면 세마가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제의 시술 시 소아치과의사, 일반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 시술자에 따른 유지율 차이와 러버댐과 코튼롤(cotton roll) 방습법 등 격리 방법에 따른 유지율의 차이를 알아보고 실패가 일어나는 치아의 특정 부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6세-11세인 119명의 아동(남자 64명, 여자 55명)에서 상하악 제1대구치에 시술된 279개의 치면열구전색제를 대상으로 1년 후의 유지율을 조사하였다. 이 아동들은 평균 연령이 $8.59{\pm}0.772$세였으며 각각 러버댐을 사용한 소아치과의사가 시술한 1군, 러버댐을 사용한 일반치과의사가 시술한 2군, 코튼롤(cotton roll)을 사용한 치과위생사가 시술한 3군으로 나누었다. 1년 후의 치면열구전색제의 유지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년 후의 치면열구전색제 유지율은 러버댐을 사용한 소아치과의사가 시술한 1군이 90.8%, 러버댐을 사용한 일반치과 의사가 시술한 2군은 85.0%, 코튼롤을 사용한 치과위생사가 시술한 3군은 64.7%였으며 1군과 2군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1,2군과 3군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2. 상악과 하악의 유지율 비교에서 1군과 2군은 차이가 없었으나(P>0.05) 3군은 차이가 있었다(P<0.05). 3. 실패부위 분석에서 교합면의 실패는 58.3%, 협/설면구는 41.7%를 차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