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Electrical and Small-Loop EM survey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Leachate at a Waste Landfill in Jeiu Island

제주도 쓰레기매립장 침출수 조사를 위한 전기 및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적용

  • 송성호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용환호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안중기 (농업기반공사 제주도본부) ;
  • 김기표 (농업기반공사 제주도본부)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Among the various geophysical approaches to identify the leakage of leachate with conductivity variation, conventional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has been mainly used at waste landfill. We adopted small-loop electromagnetic (EM) survey using multi-frequencies in parallel with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delineate the leakage of leachate through the shallow soil layer at a waste landfill in Jeju Island, and also with self-potential monitoring to detect the streaming potential produced by the movement of leachate. There were no evidences of leakage from waste landfi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SP monitoring, and it was also true from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analysis at stream around waste landfill periodicall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one-dimensional inversion of spatially-filtered small-loop EM survey data showed the anomalous zone of low resistivity with depth both around and inner waste landfill.

쓰레기매립장의 침출수 누출 탐지를 위한 물리탐사법은 침출수의 전기전도도를 대상으로 한 전기탐사법이 주로 적용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위치한 비위생매립지를 대상으로 전기비저항 탐사와 더불어 매립장 경계부와 토양층을 통한 침출수 누출 영역을 효율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주파수를 이용한 소형루프 전자탐사를 수행하였으며, 아울러 오염지역의 천부 지하수 유동 방향을 추정하기 위하여 침출수의 유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자연전위를 모니터링 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 및 자연전위 모니터링 결과 매립지 주변을 통한 침출수의 누출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변 하천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한 수질 분석 결과와 일치된다. 또한 소형루프 전자탐사 자료에 대하여 공간 필터링 및 1차원 역산법을 적용한 결과 매립장 경계부의 위치 및 매립장 내부의 심도별 매립물에 의한 저비저항 이상대를 효과적으로 도출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병두, 오석훈, 이희순, 정현기, 1993, 제준도 기생화산의 자연 전위 이상: 한국자원공학회지, 30, 352-360
  2. 김정호, 이명종, 송윤호, 정승환, 2001,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전극배열법의 비교: 한국자원공학회, 38, 116-128
  3. 김정호, 이명종, 송윤호, 정승환, 2001,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변형된 전극배열법에 관한 연구: 물리탐사, 4, 59-69
  4. 농업진흥공사, 1971, 제주도 지하수 보고서: 1-381, 1 지질도, 4도면
  5. 설순지, 송윤호, 조성준, 손정술, 정승환, 2002,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을 이용한 매설물 탐지 및 지하 쩐기비저항 영상화: 물리탐사, 5, 309-315
  6. 송성호, 이규상, 김진호, 권병두, 2000, 방조제 누수지점 탐지를 위한 SP 및 단극배열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용: 자원환경지질, 33, 417-424
  7. 송성호, 배광옥, 2002, 지하수 오염지역에 대한 자연전위법 적용 사례: 한국지구과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 논문요약집, 59-60
  8. 송성호, 배광옥, 용환호, 박삼규, 2002, 자연전위탐사를 이용한 지하수 유동 해석: 2002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23
  9. 송성호, 용환호, 2003, 대수층 이방성 분석을 위한 자연전위 모니터링의 적용: 자원환경지질, 36, 49-58
  10. 송윤호, 정승환, 2002,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감도분석 및 가탐심도 추정: 물리탐사, 5, 299-308
  11. 송윤호, 정승환, 이상규, 김정호, 황세호, 황학수, 이성곤, 조성준, 이명종, 설순지, 박인화, 2001, 지반물리탐사연구: 1999-R-T102-P-01, 산업자원부
  12. 정현기, 최종호, 김정호, 정승환, 신인철, 1989, 자동연속기록 및 PC전송 가능한 디지털 SP측정기 개발 및 응용연구: KR-89-(B)-26,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3. 이기화, 권병두, 정호준, 1996, 난지도 매립장 전기, 전자탐사: 지하수환경, 3, 95-100
  14. 조진동, 정현기, 정승환, 김정호, 1996, 방조제 누수 부위 확인을 위한 SP/VLF 탐사법의 적용성: 자원환경지질, 29, 623-627
  15. 제주시, 2000, 제주시 매립지 기술진단 및 환경영향조사
  16. Atekwana, E. A., Sauck, W. A., and Werkema, D. D. Jr., 2000, Investigations of geoelectrical signatures at a hydrocarbon contaminated site: J. of Applied Geophysics, 44, 167-180
  17. Corwin, R. F. and D. K. Butler, 1989, Geotechnical applications of the self-potential method, report 3. Development of Self-potential interpretation techniques for seepage detection. Technical Report REMR-GT-6: US Army Corps of Engineers.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