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기본 동작의 운동강도 및 음악요법 형태가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Jo, Hun-Il
조훈일

  • Published : 20030000

Abstract

Cho H.l.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ypes on fatigue recovery rate in korean dancer. Exercise Science, 12(3): 445-454,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 recovery method of fatigue adn analyze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acid in three different recovery methods which hearing the class music, korean music and no music with resting after performing basic movement of korean dance. Twenty-one korean dancers served as subjects after signing an informed consent for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Classic music, Korean music and control group. To evaluate $VO_2max$, and HRmax, it was used graded maximal test(Bruce protocol). To examine the important factors involved recovery, lactate acid and heart rate analyses were performed at resting, immediately termination basic movement of korean dance play, 3min, 5min, 10min 20min, 30min. The experimental data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ith significance level is p<.05.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derived: %$VO_2max$ and %HRmax as exercise intensity of basics movement of korean dance were higher in classic group(79.1%VO2max, and 72.5%HRmax)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at various periods among group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ctate acid of all groups(p>.05). Lactate acid decreased in rest level at recovery 20min of Korean music group and recovery 30min of control group but higher than rest level over recovery 30min in Classic music group(p>.05).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usic therapy has not effect for recovery fatigue after performing basic movement of Korean dance.

조훈일. 한국무용기본 동작의 운동강도 및 음악요법 형태가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3호, 445-454,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창작 무용수들의 기본동작 수행후 음악요법을 통한 피로회복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1명의 한국무용 전공자들은 검사동의서에 서명을 한 후 무작위로 전통적인 국악과 서양적인 클래식음악, 그리고 음악을 듣지 않는 통제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피로요인으로 회복시기에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를 결과로 제시되었다. 피험자들은 Bruce 프로토콜을 이용한 최대 운동부하검사를 하였으며 기본동작 실시 직후, 회복기 3분, 5분, 10분, 20분, 30분에 걸쳐서 심박수 및 젖산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일원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각각의 그룹간에 기본 동작 전체에 대한 심박수의 평균은 통제군이 167.2$\pm$15.3으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HRmax와 %$VO_2max$로 제시된 기본 동작시 전체의 운동 강도의 평균은 클래식 그룹이 각각 79.1±15.3%HRmax, 72.5$\pm$16.1%$VO_2max$로 가장 높았으나 그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기본동작 수행 이후의 종료직후, 3분, 5분, 10분, 20분, 30분에 심박수의 변화 분석에서 각각의 처치 그룹간에는 모두 시기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국악그룹과 통제그룹은 회복기 10분의 심박수가 안정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클래식 그룹은 회복기 30분까지 안정시의 심박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었다(p<0.05). 각 처치 그룹간의 회복기 동안 혈중 젖산 농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회복기 전체 30분 과정 동안 클래식그룹만이 안정시 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국악그룹은 회복기 20분, 통제그룹은 회복기 30분에는 안정시 혈중 젖산 농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에서 한국 창작무용 수행 후에 가장 효과적인 회복 방법으로 국악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각각의 처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대상자가 적었고, 철저한 실험 통제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강도 높은 무용 동작 수행 후에 가장 효과적인 회복을 위하여 보다 많은 방법들과 철저한 통제가 이루어지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애(1987). 이완술 정보제공이 심도자 검사환자의 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진원외 4명(1980). 운동생리학 실험메뉴얼. 서울대학교 운동생리학 실험실편
  3. 성재형(1995). 한국무용의 숙련도 추정을 위한 형태, 생리, 심리적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4. 신상철(1986). 음악요법의 역사와 전망. 임상예술, 2
  5. 윤재상(1998). 현대무용수행후 회복운동 방법이 심박수 및 혈중 젖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윤호상(2000). 장기간 이완기법 훈련에 의한 최대운동후 회복기 심박수의 변화 양상. Korea Sports Research, 11(4)
  7. 전종귀, 김현미, 김일곤(1992). 여자고등학교 한국무용수의 춤별 운동강도.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지, 10(1): 69-78
  8. 정숭주(2000). 음악치료의 역할과 적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조남규(1998).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무용전공 여대생의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 전공자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지, 23: 370-384
  10. 조남규(1999). 조흥동류 한량무의 운동강도와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26: 300-313
  11. 최은정(2000). 한국 창작 무용 기본 동작시 동작 강도 및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 비교.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Bonbright, J.(1990). Physiological and Nutritional concerns in Dance. Joum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69(9): 35-38
  13. Costill, D. S., Winrow, E.(1970). A comparison of two middle-aged ultramarathon runners. Res. Quart
  14. Fox, E. L, Donal Mathews.(1981). The Physical basis of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5. Hermansen, L., et al.(1977). Lactate disappearanee and glycogen synthesis in human muscle after maximal exercise. Am. J. physiol., 233: E422-429
  16. Karlsson, J.(1971). Lactate and phosphagen concentrations in working muscle of man. Acta Physiol. Scan., 1: 358
  17. Sawka, M. N., Pimental, N. A., & Pandolf, K. B.(1984). Thermoregulatory response to upper-body exercise.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52(2): 230-234 https://doi.org/10.1007/BF00433398
  18. Simonson E.(1971). Physioology of Work Capacity and Fatiguem. Sprimgfield, IL, Charles C. Thomas
  19. Weichardt, W.(1904). Uber Ermudungtoxinund-Autitoxin. Muench Med Wochenschr., 51: 2121
  20. Weltman, A., Stamford, B. A., & Fulco.(1979). Recovery form Maximal Effort Exercise: Lactate disappearance and Subsequent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47: 677-682
  21. William, C. M., S. Terry & D. William.(1989). Enhancement of blood lactate clearance following maximal swimming. The he American Orthop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17: 472-277 https://doi.org/10.1177/0363546589017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