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Ship-yard Workers

일개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인자

Kim, Jong-Eun;Kang, Dong-Mug;Shin, Yong-Chul;Son, Mi-A;Kim, Jung-Won;Ahn, Jin-Hong;Kim, Young-Ki;Moon, Deog-Hwan
김종은;강동묵;신용철;손미아;김정원;안진홍;김영기;문덕환

  • Published : 20031200

Abstract

O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the primitive data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among ship-yard workers in order to set up manage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risk factors for WMSD symptoms. Methods: We carried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7,237 blue-collar workers during October 2001, in a ship-yard of Kyungsangnam Province. We collected 2,223 questionnaires and analysed 1,985. The questionnaires included demographic data, quick exposure check (QEC) for ergonomic risk factors, and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s (JCQ) for job stress. WMSDs were evalu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surveillance criteria. Resul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From the results, significant variables were age, maximum weight of manual handling material, frequency of the back movement during manual handling tasks, deviation or bending of the wrists/hands position, excessively bent or twisted head/neck, job dissatisfaction, and high job demand.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ship-yard workers, it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frequency of back movement during manual handling tasks, wrists/hand deviation or bending, and neck bending or twisting. In addition, devoted effort is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job demand.

목적: 조선업종은 근골격계 질환이 다발하며 작업 특성상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 인자에 노출되어 있으나,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 인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조선업 근로자의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인자를 파악하여 질환관리와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경남에 소재하는 1개 조선업 생산직 근로자 7,237명을 대상으로, 2001년 10월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각 부서 대의원을 통하여 배부하여 최종적으로 1,985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총 6부분으로 일반적 특성, 작업관련 특성, 근골격계 관련 증상유무, 인간공학적 평가를 위한 작업조건 평가, 직무스트레스, 노동 강도에 대한 평가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증상 호소율은 NIOSH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 기준을 사용하였다. 결과: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나이가 증가할수록, 중량물 무게가 무거울수록, 작업 시 허리운동을 자주할수록, 손이나 목을 구부릴수록,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낮고, 직무요구도가 높을수록 비차비가 높았다. 결론: 근골격계 질환관리를 위해 중량물 취급과 작업시 허리의 움직임, 손과 목의 구부림에 대한 대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더불어 직무요구도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호장, 하미나, 윤덕로, 조수헌, 강대희 등. VDT 작업자에서 업무로 인한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가근골격계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570-7.
  2. 고상백, 김형식, 최홍렬, 김지희, 송인혁 등. 일부 조선업 근로자의 직업성 요통 발생 실태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1-11.
  3. 노동부. 노동백서 2002년판. 서울: 노동부. 2002.
  4. 박정일, 조경환, 이승한. 여성 국제 전화 교환원 들에 있어서의 경견완 장애. I 자각적 증상. 대한산업의학회지 1989;1(2):141-50.
  5. 손미아. 대우자동차 신 경영전략에 따른 신노무정책과 노동조합의 대응. 대우자동차노동조합/한국 노동이론정책연구소. 1996.
  6. 송동빈. 누적외상성질환의 발생실태와 발생특성 파악 및 의학적 평가방법 개발. 직업병 예방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1997
  7. 송재철, 이원영, 권영준, 기모란, 이수진 등. VDT 작업여성 근로자 근골격계 자각 증상과 다면적인성검사( M M P I )의 임상 척도들과의관계.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599-609.
  8.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1992;25(1):26-33.
  9. 임상혁, 이윤근, 조정진, 손정일, 송재철. 은행 창구작업자 ( V D T작업자)의 경견완장애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1997;9(1):85-98.
  10. 임현술, 김수근, 김덕수, 김두희, 이종민 등. 철강업체와 용접봉 제조업체에서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의 직업성요통 유병률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1):52-65.
  11.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 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39-48.
  12. 주영수, 최홍렬, 김미경, 손 홍, 전순자 등. 조선소 근로자에서의 국소 진동 장해 진단방법에 대한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413-27.
  13. 차봉석, 고상백, 장세진, 박창식. VDT 취급근로자의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사회적안녕상태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403-13..
  14. 최재욱, 염용태, 송동빈, 박종태, 장성훈 등. 반복작업 근로자들에서의 경견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2):301-19.
  15. 한상환, 백남종, 박동현, 장기언, 이명학 등. 조선업 근로자의 누적외상성 질환 실태와 누적외상성 질환 범용 작업 비차비 평가도구를 이용한 작업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4):579-88.
  16. 하미나, 장세진, 조정진, 주영수, 정진주 등.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와 건강 영향에 관한 기획 연구. 직업병 예방 연구용역 보고서 2001.
  17. 홍윤철, 하은희, 박혜숙. 조선업 생산직 근로자의 요통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29(1):91-102.
  18. Bongers PM, de Winter CR, Kompier MA, Hildebrandf VH.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3;19(5):297-312. https://doi.org/10.5271/sjweh.1470
  19. Brady W, Bass J, Royce M, Anstadt G, Loeppke RR, et al. Defining total corporate health and safety costs-significance and impact. J Occup Med 1997;39:224-31. https://doi.org/10.1097/00043764-199703000-00012
  20. Carayon P, Yang C, Lim 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sign and worker strain over time in a sample of office workers. Ergonomics 1995;38(1):199-211.
  21. Ekberg K, Karlsson M, Axelson O, Malm P. Cross-sectional study of risk factors for symptoms in the neck and shoulder area. Ergonomics 1995;38(5):971-80. https://doi.org/10.1080/00140139508925163
  22. Engels JA, van der Gulden JW, Senden TF, Kolk JJ, Binkhorst RA. Work related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the nursing profession: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Occup Environ Med 1996:53(9):636-41.
  23. Frese M.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work stressors and psychological dysfunction; a longitudinal study with objective measures. J Occup Health Psychol 1999; 4(3):179-92. https://doi.org/10.1037/1076-8998.4.3.179
  24. Frone MR, Russell M, Cooper ML. Job stressors, job involvement and employee health: a test of identity theory. J Occup Psychol 1995;68:1-11.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5.tb00684.x
  25. Holmstrom EB, Lindell J, Moritz U. Low back and neck/shoulder pain in construction workers: occupational workload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Part2: Relationships to neck and shoulder pain. Spine 1992;17(6):672-7.
  26. Karasek R.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 for job redesign. Am Sci Q 1979;24:285-308.
  27. Kosmider K. Niezgoda A. Dadej R. Myslak M. Analysis of upper extremity injuries in the Szczecin shipyard S.A. in the years 1989-1993. Medycyna Pracy 1998;49(1):35-43.
  28. Li G, Buckel P. A practical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risks Quick Exposure Check(QEC). In the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42nd Annual Meeting,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1998;1351-5.
  29. Lowe BD. Wurzelbacher SJ. Shulman SA, Hudock SD. Electromyographic and discomfort analysis of confined-space shipyard welding processes. Applied Ergonomics 2001;32(3):255-69.
  30. Nauwald G. Incidence of occupational knee joint diseases in elderly pipe-fitters in the shibu- ilding industry. Beitrage zur Orthopadie und Traumatologie 1986;33(3):124-8.
  31. NIOSH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Health hazard evaluation. Eagle Convex Glass Co. HETA 89-137-2005. Cincinnati, OH 1989.
  32. Toomingas A, Theorell T, Michelsen H, Nordeman R. Associations between self-rated psychosocial work conditions and musculoskeletalsymptoms and sign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7;23(2):130-9. https://doi.org/10.5271/sjweh.190
  33.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by industry.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