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Behavior Practice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ccording to Shift Work Pattern in Subway Workers

일부 지하철 근로자들의 교대근무형태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정도와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Choi, Suk-Kyong;Lee, Kang-Sook;Lee, Joung-Woon;Koo, Jung-Wan;Park, Chung-Yill
최숙경;이강숙;이정운;구정완;박정일

  • Published : 20030300

Abstract

Objectives: To determine the health behavior practice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in shift work pattern in subway workers. Methods: Among 789 male subway workers divided into four groups, 191 day time workers, 187 station service men (3 groups, 2 turns), 204 rolling stock inspectors (3 groups, 2 turns) and 207 train operators (8 groups, 5 turns), we surveyed the health behavior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by questionnaire. Results: For obesity, blood pressure and total cholesterol, day time workers had the highest levels, while train operators had higher diseases of the liver and stomach than others. The station service men had the highest smoking rate and daily smoking amount. More than 80% of the respondents consumed alcohol, and the drinking amount was highest among the day time workers and the 8/5 shift train operators. Eighty-two percent of the station service men had irregular eating habits and 17.7% did not have any breakfast.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exercise and restriction of one's favorite(smoking or drinking) were most preferred in the four groups of respondents. The priority of needs and participation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exercise programs, followed by stress management, cancer prevention program, weight control program, anti-smoking campaign, high blood pressure control program, and abstinence/moderation in drinking. Conclusion: As the health behavior practices differed relative to shift work patterns, it was suggested that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according to shift work pattern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among subway workers.

목적: 지하철 근로자들의 교대 근무형태별 건강관련 특성과 건강행위 실천정도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하여 직장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지하철 업무에 근무하는 남자 직원 7 8 9명중 통상근무자 1 9 1명, 3조2교대 역무직 1 8 7명, 3조2교대 차량직 2 0 4명, 8조5교대 승무직 2 0 7명을 대상으로 2 0 0 2년 2월 8일부터 2월 2 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통상근무가 교대근무보다 연령이 높았으며, 3조2교대 차량직에서는 경제적 수준이 낮다고 느끼는 비율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총 교대근무년수는 8조5교대 승무직이 7년 2개월로 가장 높았다. 직장관련 특성은 근무형태에 따라 통상근무와 교대근무가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지하에서 근무하고 있는 3조2교대 역무직이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비만정도와 고혈압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통상근무자에서 높았으나, 8조5교대 승무직의 경우, 간장질환과 위장질환이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건강위험행위에서 흡연율과 1일 흡연량이 가장 높은 직종은 3조2교대 역무직이었고, 음주율은 전체적으로 80% 이상의 음주율을 보였으며, 거의 매일 술을 마신다고 응답한 비율은 3조2교대 역무직이 가장 높았다. 규칙적인 식이습관과 아침식사 여부는 3조2교대 역무직에서 8 2 %가 불규칙적이며, 17.7%가 안먹는다고 응답하였고, 운동횟수도 3조2교대 역무직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운동, 기호품 제한이 네 군 모두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근무형태별 대상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와 참여의도가 가장 높은 프로그램은 운동프로그램이었으며, 스트레스관리, 암 예방 프로그램, 체중조절 프로그램, 금연 프로그램, 당뇨관리 프로그램, 고혈압 관리 프로그램, 금주/절주 프로그램 순 이었다. 결론: 교대근무자들의 근무형태에 따라 건강행위의 특성이 달랐으며, 근무형태별 특성에 맞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접근해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경. 건강증진 행위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 학교 보건대학원, 2001.
  2. 김선미, 장인숙, 오정렬, 노용균. 흡연과 건강습관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가정의학회지, 1996;17(6):400-6.
  3. 김성숙. 서울시 일 구청직원의 건강증진 요구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4. 김영미. 산업장 교대근무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 석사학위논문, 고신 대학교 대학원, 2000.
  5. 김은주. 교대근무가 간호사들의 일반적 안녕상태, 피로도 및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6. 김은희. 위장관계 암수술환자의 자가간호역량 및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7. 김의숙, 이정렬, 권명숙. 건강증진요구에 관한 질문지, 1996.
  8. 남정자, 김혜련, 이상호 등.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9. 류승호. 지하철 근로자들의 소음성 난청에 관한 연구, 의학석사 학위논문, 한양 대학교 대학원, 1998.
  10. 박나진.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7.
  11. 박내경(1998). 일부산업장 근로자들의 피로자각증상과 일상생활요인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 10(2):214-26.
  12. 박정선. 교대근로자의 건강관리 및 산업피로의 예방. 한국산업안전공단, 1993.
  13. 변종화, 김혜련. 국민건강증진 목표와 전략,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995.
  14. 송연이.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1999.
  15. 이명선.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습관의 관련 요인 분석, 한국보건교육 학회지, 1996;12(2):48-60.
  16. 이준혁. 군 간부들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연세대 학교 대학원, 2000.
  17. 이지현. 군간부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및 영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18. 황남선. 서울시 지하철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개선을 위한 대책,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96.
  19.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연구, 예방의학회지, 2001.
  20. Alexy B.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the Blue Collar Worker. AAOHN Journal, 1990; 38(1):12-6.
  21. Bertera RL. Planning and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A Case Study of the Du Pont Company Experience. Health Education Quartry 1990;17(3):307-27 https://doi.org/10.1177/109019819001700307
  22. Bly JL, Robert C. Jean E. Richardson. Impact of Worksite Health Promotion on Health Care Costs and Utilization: Evaluation of Johnson & Johnson’s Live For Life Program. JAMA 1986; 256(23):3235-40.
  23. Connrad P. Who comes to Work-site Wellness Program? A Preliminary Review. JOM 1987; 29(4):317-20.
  24. Erfurt JC, Foote A, Heirich MA. The Cost-Effectiveness of Work-Site Wellness Programs for Hypertension Control, Weight Loss, and Smoking Cessation. JOM 1991;33(9):962-70.
  25. Gibbs JO, Mulvaney D, Henes C, Roger WR. Work-Site Health Promotion: Five-Year Trend in Employee Health Care Costs. JOM 1985; 27(11):826-30. https://doi.org/10.1097/00043764-198511000-00016
  26. Goetzel R, Sepulveda M, Knight K, Eisen M, Wade S, Wong J, Fielding J, Association of I B M’s 'A Plan for Life' Health Promotion Program with Changes in Employees’ Health Risk Status. JOM 1994;36(9):1005-9.
  27. Goetzel RZ. Program Evaluation. In: O’Donnell MP, Harris JS, editors.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2nd ed. Delmar Publishers INC 1994;118-59.
  28. Harris SS, Caspersen CJ, Defries, GH, Estes, EH. Physical Activity Counselling for Healthy Adult as a Primary Preventive Intervention in the Clinical Setting, JAMA 1989;261:3590-8.
  29. Kizer WM, The Healthy Workplace: A Blueprint for Corporate Action. John Wiley & Sons, 1987; 52-3.
  30. Parkinson R. Managing Health Promotion at the Worksite. PaloAlto, CA, Mayfield, 1982.
  31. Pauly JT, Palmer JA, Craig W, Pfeiffer GJ. The Effect of a 14-Week Emploee Fitnee Program on Selected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JOM 1982; 24(6):457-63.
  32. Sloan RP, Gruman JC. Participation in the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Contribution of Health and Organizational Factors,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 15(3):269-88.
  33. Spilman MA, Goetz A, Schultz J, Bellingham R & Johson D. Effects of a Corporate Health Promotion Program. JOM 1986; 28(4):285-9.
  34. Taylor RB, Denham JW, Ureda JR Health Promotion: Principles & Clinical Applications. Norwalk, CT: Appleton-Century-Crofts. 1982.
  35. Torbiorn A. Psych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al effect of shift work. Scan J work Environ Health 1990;16:67-73. https://doi.org/10.5271/sjweh.1819
  36. Whaley MH. Surgeon General’s Report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Newsletter for Certified Clinical and Health & Fitness Professionals, 1996;6(3):1-4.
  37.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Alcohol and Drug Abuse, WHO Technical Report Series, 1993; Vol. 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