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wangyang, Pyungchang, and Youngdong Areas

光陽, 平昌, 永同 地域 신갈나무 林分의 現存生物量 및 純生産量

Park, Gwan-Soo
박관수

  • Published : 2003000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aboveground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NPP) in an average 42-years-old Quercus mongolica stand in Kwangyang area, 52-years-old Quercus mongolica stand in Pyungchang area, and 36-years-old Quercus mongolica stand in Youngdong area. Nine sample trees were cut in each stands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 July to August, 2002. Estimation for aboveground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were made by the equation model $Wt=aD^b$ where Wt is oven 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aboveground biomass was 62.35ton/ha in Kwangyang area, 156.0ton/ha in Pyungchang area, and 110.3ton/ha in Youngdong area.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aboveground biomass was high in order of bolewood, branches, bolebark and leaves in the three forests. Aboveground total net primary production was estimated at 5.79ton/ha in Kwangyang area, 10.31ton/ha in Pyungchang area, and 11.36ton/ha in Youngdong area.

전라남도 광양, 강원도 평창, 충청북도 영동 지역에서 생육하는 평균수령 42년, 52년, 36년생 신갈나무 천연림의 지상부 현존생물량 및 연순생산량을 추정하기 위해 2002년 7-8월에 각 지역별 9주씩 총 27본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수식 $Wt=aD^b$를 사용하여 추정한 지상부 총 현존생물량은 광양 지역에서 62.35ton/ha, 평창지역에서 156.0ton/ha, 그리고 영동지역에서 110.3ton/ha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구성비는 모든 조사지역에서 수간목부, 생지부, 수피, 일의 순으로 높았다. 총 연순생산량은 광양지역 5.79ton/ha, 평창지역 10.31ton/ha, 그리괴 영동지역 11.36ton/ha으로 나타났나.

Keywords

References

  1. 박관수 . 이승우. 2002. 광양, 무주, 포항 지역졸참나무 천연림의 현존생물량 및 순생산량.한국임학회지 91(6) : 714-721
  2. 박인협 . 김갑덕. 1986. 백운산지역 천연림 생태계의 삼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학회지 6(1) : 1-45
  3. 박인협 · 김준선. 1989.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뚜천연림의 뚤질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한국입 학회 지 78(3) : 323-330
  4. 박인협 . 문광선. 1994.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창 주정식에 간한 연구.1994, 한국임학회지 83(2) : 246-253
  5. 송칠영 . 이수욱. 1996.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천연림 생태계의 현존량 밑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 443-452
  6. 이수욱. 1985. 강원도산 소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Net Primary Production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1 : 74-81
  7. 이수욱 ·박관화. 1986. 한국의 소나무 및 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유기 Energy생산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학회지 6(1) : 46-58
  8. 주린원. 1995. 속성수 조림을 확대하자. 산림임 업 협 동조합중앙회 . 160pp
  9. 최영철 · 박인협 . 1993. 전남 모후산지역 굴참나무 천연림과 현사시나무 인공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 : 188-194
  10. Lieth, H. 1972. Modelling the primary productivity of the world. Ciencia e Cultra 27 : 621-625
  11. Ovington, J. D. 1965. Organic production,turnover and mineral cycling in woodlandsBiological Review 40 : 295-336
  12. Waring, R. H. andW. H. Schlesinger. 1985.Forest Ecosystems; Concepts and Manage-ment. Academic Press, N. Y. 340pp
  13. Whittaker, R. H. and P. L. Marks. 1975.Methods of assessing terrestrial productivityin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Edited by H. Lieth and R. H. Whittaker.Springer Verlag. N.Y. 55-11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