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0 - years follow up study on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in normal Korean adult male workers living in Pohang

한국 정상 성인 남자에서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 변화에 관한 최근 10년간 추적조사 -포항 지역 거주 직장인을 대상으로 -

Kim, Young-Ho;Kim, Jong-Keun;Lee, Sang-Woo;Lim, Seung-Taek;Cha, Gyung-Woo;Cho, Young-Jae;Yu, Sun-Hee;Lee, Chan-Woo;Kim, Jung-Gu
김영호;김종근;이상우;임성택;차경우;조영재;유선희;이찬우;김중구

  • Published : 20030000

Abstract

Background : The serum total cholesterol is supposed to be increased as dietary pattern is Westernized recently in our country. We studied the longitudinal change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in normal Korean adult male workers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age, weight,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lifestyle (exercise, smoking, alcohol drinking habits) on change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Methods : The 6279 healthy adult male workers were studied during recent 10 Years (1992 and 2002). Those who suffered from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ischemic heart disease, nephropathy, thyroid disease were excluded. Those who took antilipidemic drugs were al so excluded. Blood sampling for serum total cholesterol and sugar was done after overnight fasting for more than 12 hours. Data on lifestyle were obtained using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Result :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had increased by 23.2$\pm$23.60 mg/dL (2.32 mg/dL per year) between 1992 and 2002 surveys. The increment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as most prominent in twenties (3.30 mg/dL per year) during 10 years and less prominent in thirties (2.80 mg/dL per year), forties (2.19 mg/dL per year) and fifties (1.55 mg/dL per year). The change of body mass index (BMI) was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r=0.290, p=0.0001) ($r^{2}$=0.084, p=0.0001) The change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diastolic blood pressure change, fasting blood sugar change, exercise and smoking habits.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lcohol drinking habits among influencing variables. Conclusion :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increased by 23.2$\pm$23.60 mg/dL (2.32 mg/dl. per year) during recent 10 years. The increment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as most prominent in younger age group. The change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as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body mass index (BMI) among influencing variables.

목적 : 혈청 콜레스테롤치는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청장년에서 연령 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성인 남자에 있어서 동일인에 대한 연령 증 가에 따른 콜레스테롤치의 변화를 알아보고 아울러 체중, 혈압, 공복 혈당 빚 생활습관(흡연, 음주, 운동)과의 연관 성도 알아보기 위해 건강한 남자 직장인을 대상으로 최근 10년간의 정기 신체검사 자료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경북 포항 지역에서 근무하면서 최근 10년간 매년 정기 신체검사를 받은 철강 산업 관련 회사에 근무 중인 남자 직원 9,552병 중 고혈압, 당뇨병, 허혈성 심질 환, 간장 질환,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빚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복용 등 확인 가능하였던 유소견자들을 제외한 임상적으로 건강하다고 판단되며 10년간 추적관찰 가능하였던 동일인 6,279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 측정을 위한 혈액 채취는 최소한 12 시간 이상 금식 후 아침 공복 상태에서 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생활습관(흡연, 음주, 운동)은 자기 기입식 설문 조사를 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 인원 6,279명의 10년간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는 1992년도 168.1$\pm$30.10 mg/dL, 1997년도 177.9$\pm$3.017 mg/dL, 2002년도 191.3$\pm$30.46 mg/dL로서 시간 경과에 다른 유의한 증가가 있으며, 최근 10년간 23.2$\pm$23.60 mg/dL (연평균 2.32 mg/dL) 증가하였다. 연령대 별로 본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의 증가는 20대가 33.0$\pm$26.00 mg/dL (연평균 3.30 mg/dL)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증가치가 감소하여 30대가 28.0$\pm$23.87 mg/dL (연평균 2.80 mg/dL), 40대는 21.9$\pm$22.80 mg/dL (연평균 2.19 mg.dL), 50대는 15.5$\pm$23.2mg/dL (연평균 1.55 mg/dL)의 변화를 보였다. 10년 간의 총 콜레스테롤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는 체질량지수 변화가 총 콜레스테롤치 변화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290, p=0.0001) ($r^{2}$=0.084, p=0.0001) 10년간 총 콜레스테롤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그 외 인자들에는 나이($r^{2}$=0.032, p=0.0001), 이완기 혈압 변화 ($r^{2}$=0.009, p=0.0001), 공복 혈당 변화($r^{2}$=0.005, p=0.0001), 운동($r^{2}$=0.004, p=0.027),흡연($r^{2}$=0.002, p=0.010)이었으며, 수축기 혈압 변화와 음주습관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동일인 정상 성인 남자에서의 최근 10년간 총 콜레스테롤치의 변화는 23.2$\pm$23.60 mg/dL (연평균 2.32 mg/dL) 증가하였으며, 젊은 연령층 일수록 증가가 크고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치는 감소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치 변화에 주는 인자 중에서는 체질량 지수 변화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Laurenzi M, Mancini M. Plasma lipids in elderly men and women Eur HeartJ 9(Suppl D):69-74, 1988
  2. 성영호, 한재호, 송준화, 최덕호, 이상도, 전종민, 배진호, 최창필, 김중구. 한국 정상 성인에서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치에 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45: 307-321. 1993
  3. Clark D, Allen MF, Wilson FH. Longitudiral study of serum lipids: 12-year report. Am J Clin Nutr 20: 743-752, 1967
  4. Berns MA, de Vries JH, Katan MB. Increase in body fatness as a major determinant of change in serum total cholesterol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young man over a 10 year period Am J Epidemiol 130: 1109-1112, 1989
  5. 이재성, 박태규, 김희식, 하영준, 김경현, 남시현, 김종연, 김중구. 한국 정상 성인 남자에서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 변화에 관한 최근 5년간 추적검사. 대한내과학회지 56: 182-188, 1999
  6. 신헌구. 한국인의 혈청 $\alpha$, $\beta$- lipoprotein cholesterol 양에 대하여 양식 한국인 및 주한 미군의 그것과 비교. 한국의학 2: 61, 1959
  7. Weijenberg MP, Feskens EJ, Kromhout D. Age related changes in total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elderly Dutch men. Am J Public Health 86:798-803, 1996
  8. Hershcopf RJ, Elahi D, Andres R, Baldwin HL, Raizes GS, Schocken DD, Tobin JD. Longitudinal changes in serum cholesterol in man: an epidemiologic search for an etiology. J Chronic Dis 35:101-114, 1982
  9. Berns MA, de Vries JH, Katan MB. Determinants cf the increase cf serum cholesterol with age: a longitudinal study. Int J Epidemiol 17: 789-796, 1988
  10. 하영애, 천병렬, 감신, 이성국, 예민해. 성인 남성 근로자에서 비만지표의 변화와 혈청 지질치 변화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29: 439-450, 1996
  11. Gillum RF, Taylor HL, Brozek J, Anderson J, Blackburn H. Blood lipids in young men followed 32 years. J Chronic Dis 35. 635-641, 1982
  12. Ashley FW, Kannel WB. Relation of weight change to changes in atherogenic traits. J Chronic Dis 27: 103-114, 1974
  13. Sznajd J, Rywik S , Furberg B, Pajak A, Kurjata P, Williams OD, Sznajderman-Ciswicka M, Misiowiec P, Irving SH, Baczynska E. Poland and US collaborative study on cardiovascular epidemiology. Am J Epide: miol 130: 446-456, 1989
  14. Wing RR, Matthews KA, Kuller LH, Meilahn EN, Platinga P. Waist hip ratio in middle aged women: association with bebaoioro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with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rterioscler Thromb 11: 1250-1257, 1991
  15. Tran ZV, Weltman A. Differential effects of exercise on serum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seen with changes in body weight. JAMA 254: 919-924, 1985
  16. 강승완, 이봉렬, 박헌식, 김신우, 우언조, 채성철, 전재은, 박의현. 한국 정상 성인에서 생활습관과 cholesterol치와의 관계. 대한내과학회지 43: 373-383,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