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vllContents of Ligularia fischeri by the Growing Sites

生育場所에 따른 곰취(Ligularia fischeri)의 生長, 光合成率 및 葉綠素 含量 調査 硏究

Kim, Gab-Tae
김갑태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o seek for proper forest-floor cultivation methods, Ligularia fischeri were cultivated at several growingsites with different topography and vegetation type.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contents of L. fischeri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growing sites.Total mean photosynthetic rate increased to maximum value of 12.4 $\mu$mol CO$_2$ m$^-^2$s$^-^1$ with increasing the light intensity up to 1,500 PPFD $\mu$mol m$^-^2$s$^-^1$, but decreased at 2,000 PPFD $\mu$mol m$^-^2$s$^-^1$. The differencesin photosynthetic rate of L. fischeri among the sites might be caused by light acclimation during threeyears of growing period for each sites. The number of leaves, seedling height, leaf length, chlorophyll contents and photosynthetic rate of L.fischeri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wing sites. The number of leaves was the highest 4.08 at Larix kaemferi sites north facing at 1,000m elevation, followed by netted sites on campus nursery,netted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 Quercus mongolica sites, full-sunlight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and Pinus densiftora sites. The leaf length was the highest 15.12cm at L. kaemferi sites, followed bynetted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 full-sunlight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 P. densiflora sites, nettedsites on campus nursery and Q. mongolica sites. The chlorophyll contents was the highest 33.58units(SPAD) at netted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 followed by Q. mongoIica sites, full-sunlight siteson nursery in the forest, P. densiflora sites, L. kaemferi sites and netted sites on campus nursery.Photosynthetic rate was the highest 15.2 $\mu$mol CO$_2$ m$^-^2$s$^-^1$ at full-sunlight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followed by Q. mongolica sites, netted sites on campus nursery, L. kaemferi sites, netted sites on nurseryin the forest and P. densiflora sites. Leaf productivity was the highest 933cm$^2$ at L. kaemferi sites,followed by netted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 full-sunlight sites on nursery in the forest, netted siteson campus nursery, P. densiflora sites and Q. mongolica sites.Proper sites for L. fischeri cultivation on forest floor might be sunny, less groundcovers with enoughsoil moisture condition, such as thinned L. kaemferi and natural broad-leaved forest on north-faced slopeabove 900m altitude.

이 연구는 곰취의 임간재배를 위하여 곰취를 생육환경이 다른 여러 입지에서 채배하면서 생육지에 따른 광합성율, 엽록소 함량 및 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광도에 따른 곰취의 광합성율의 평균은 광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지다가 1,500 $\mu$mol m$^-^2$s$^-^1$(PPFD)에서 최대치인 12.4 $\mu$mol CO$_2$ m$^-^2$s$^-^1$를 보이고 2,000 $\mu$mol m-$^-^2$s$^-^1$에서는 낮아졌다. 개체당 엽수, 묘고, 줄기길이 ,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율은 생육지 간에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개체당 엽수에서는 낙엽송 간별지에서 4.08개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구내포장 차광구, 임간묘포 차광구, 신갈나무림, 임간묘포 전광구, 소나무림의 순으로 나타났다. 엽장은 낙엽송 간벌지에서15.12cm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임간묘포 차광구, 신갈나무림, 임간묘포 전광구, 소나무림, 구내포장차광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임간표포 차광구에서 33.58 units(SPAD)펄 최대치를 보였으며, 신갈나무림, 임간묘포 전광구, 소나무림, 낙엽송 간벌지, 구내포장 차광구의 순으로 나타났다.광합성율은 임간묘포 전광구에서 15.2 $\mu$mol CO$_2$ m$^-^2$s$^-^1$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신갈나무림, 구내포장 차광구, 낙엽송 간벌지, 임간묘포 차광구, 소나무림의 순으로 나타났다. 곰취의 엽생산성은 낙엽송 간벌지에서 933cm$^2$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임간묘포 차광구, 임간묘포 전광구, 구내포장 차광구, 소나무림, 신갈나무림의 순으로 나타났다.곰취의 임간재배적지는 광량이 풍부하고 경쟁식생의 량이 적은 적윤지 환경인 낙엽송이나 천연활엽수림의 간벌지로 해발고 900m 이상의 북사면이 좋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태. 2000a. 강인도 평창군 지역의 산채자원에 관한 연구 1. 산채채취 실태. 상지대 생명자연과학논총 7 : 39-52
  2. 김갑태. 2000b. 강원도 평창군 지역의 산채자원에 관한 연구 2.산채가격. 유통구조 및 주민 소득. 상지대 생명자연과학논총 7 : 53-60
  3. 김갑태. 2003. 생육장소예 따른 더덕(Codonop-sis lanceolala)의 생장, 광합성율 및 엽록소 함량 조사 연구. 한국임학회지 92(1): 27-32
  4. 김갑태 · 엄태원. 1997. 가리왕산의 산채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6(4) : 422-429
  5. 김갑태 · 이돈구. 1998. Wild Edible Plant Production at Mt. Joongwang Located in Kangwon-do, Korea. pp 83-90, Forest Ecosystem and Land Use in Mountain areas, Proceedings of IUFR0 Inter-Divisional Conference October 12-17. 1998Seoul. Korea
  6. 김판기 · 이은주. 2001. 광합성의 생리생태(2)-환경변화에 대한 광합성의 적응반옹. 한국농림 기상학회지 3(3); 171-176
  7. 박소홍·이용범. 1997. 관엽식물의 광합성활성에 미치는 광순화의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8(1) : 71-76
  8. 산림청. 1998. 산지자원화 계획의 성과와 반성. 456pp
  9. 정성원 · 김은정 · 황보현주 · 함숭시. 1998.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곰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Korean Jou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 (5) : 1214-1221
  10. 함숭시 · 이상영 · 오덕환 · 정성원 · 김상현 ·정차권 ·강일준. 1998. 곰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및 유전독성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4); 45-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