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Parent Rocks

한국 山林土壤의 母岩별 理化學的 特性

Jeong, Jin-Heon;Kim, Choon-Sig;Goo, Kyo-Sang;Lee, Choong-Hwa;Won, Heong-Gyu;Byun, Je-Geong
정진현;김춘식;구교상;이충화;원형규;변재경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parent rock types (Igneous, Metamorphic, Sedimentary rocks) sampled from 915 soil profiles (A horizon : 810, B horizon : 915) between 1984 and 1990. The variables of soil physiochemical were properties significantly correlated among each rock type (P$^+$, Na$^+$, Ca$^2^+$, Mg$^2^+$) in A horizon. Soil chemical properties of B horizon showed similar correlation trends except for metamorphic rocks. Dominant soil texture of two soil horizons (A B) was loam except for silt loam of A horizon in sedimentary rocks. Soil bulk density in A horizon was 0.84g/cm³in metamorphic rocks, 0.91g/cm³in igneous rocks and 0.97g/cm³ in sedimentary rocks. Soil particle dens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parent rock types (2.52~2.54g/cm³ in A horizon and 2.60~2.62g/cm³ in B horizon). Soil pH in A horizon was pH 5.94 in sedimentary rocks, followed by pH 5.50 in igneous rocks and pH 5.34 in metamorphic rocks. The lowest value in organic matter content was 3.12% in sedimentary rocks, followed by 4.55% in igneous rocks and 4.74% in metamorphic rocks. Available phosphorus was significantly lower in sedimentary rocks (13.2mg/kg) than in metamorphic rocks (27.4mg/kg) and in igneous rocks (28.7mg/kg).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as 10. 34cmo$l_c$/kg in sedimentary rocks, followed by 12.44cmo$l_c$/kg in metamorphic rocks and 13.24cmo$l_c$/kg in igneous rocks. Exchangeable cations in A horizon were higher in sedimentary rocks than in igneous or metamorphic rocks. The Korea forest soils by parent rock types showed similar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but soil properties of sedimentary roc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oil particle size distribution, soil bulk density,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CEC, Na$^+$, Ca$^2^+$, Mg$^2^+$, total base, and base saturation compared with both igneous and metamorphic rock types.

본 연구는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전국의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조사된 915개(A층: 810, B층 : 915)의 토양단면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모암별(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산림토양에 대해 모암별로 A층과 B층간의 이화학적 성질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A층의 경 우 고상율은 모래함량과 유의적인 정의상관(r=.1384-03247)이 있었으나, 토양입자밀도의 경우 토성이나 토양 내 삼상조성 같은 토양물리적 특성과는 뚜렷한 관계가나타나지 않았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중 토양 pH는 치환성양이온함량(K$^+$, Na$^+$, Ca$^2^+$, Mg$^2^+$)과 고도의 유의적인 정의 상관(r=0.2283-0.8307)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층의 경우 A층과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변성암을 모재로하는 토양 PH는 칼륨, 총염기함량, 염기포화도를 제외하고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A층 토양의 물리적 성질 중 토성은 화성암, 변성암모재 토양은 양토, 퇴적암모재 토양은 미사질양토로 나타났다. 토양의 용적밀도는 변성암모재 토양이 0.84g/cm$^3$로 타 모재 토양에 비해 낮으며 화성암 0.91g/cm$^3$, 퇴적암 0.97g/cm$^3$순이었다. 토양 내 입자밀도의 경우 A층은 2.52~2.54g/cm$^3$,B층은 2.60~2.62g/cm$^3$로 두 층위 모두 모재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 pH는 A층의경우 퇴적암 모재 토양이 pH 5.94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화성압 모재 토양 pH 5.50, 변성암모재 토양 pH 5.34 순이었다. 토양내 유기물 함량은 A층의 경우 화성암 4.55%, 변성암 4.74%, 퇴적암 3.12%로서 퇴적암 모재에서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유효인산의 경우 화성암 28.7mg/kg, 변성암 27.4mg/kg, 퇴적암 13.2mg/kg 순이었다. 양이온치환용량은 화성암 13.24cmo$l_c$/kg, 변성암 12.44 cmo$l_c$/kg, 퇴적암 10.34cmo$l_c$/kg로서 퇴적암 모재 토양에서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치환성 양이온함량중 칼슘과 마그네슘함량은 퇴적암이 타 모암에 비해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의면 화설암, 변성암 모재로부터 유래되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퇴적암 모재의 경우 토양 입경분포, 토양용적밀도, 토양 pH, 유기물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 나트릅, 칼슘, 마그네슘, 총염기함량, 염기포화도 등이 화성암, 변성암모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 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훈 ·정진현 ·구교상 ·김규헌 · 차순형 · 김준섭 ·이충화 ·구창덕. 1988. 산림토양분류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37 : 19-34
  2. 김태훈 · 정진현 · 이충화 ·구교상 · 이원규 · 강인애 ·김사일. 1991. 토양형별 주요수종의 생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2 : 91-106
  3. 안병영 · 김정환 ·김태훈. 1993. 석회암지역의입지특성-단양, 정선, 평창, 영월, 삼척지역-임연연보 48 : 36-46
  4. 이수욱. 1981. 한국의 삼림토양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54 : 25-35
  5. 이천용. 2000.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350pp
  6. 임상규 ·허봉구 ·정석재 ·현근수. 1997. 밭유형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0 : 67-71
  7. 장용선 ·정필균 ·김선관 ·조인상. 2001. 한국암쇄토의 화학조성과 풍화도.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4 : 373-379
  8. 정병간 · 최정원 · 윤을수 · 윤정희 · 김유학.2001. 우리나라 밭 토양의 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4 : 326-342
  9. 정석재 · 김태순 · 문준 · 엄기태. 1989. 석회암토양의 지형적 특성과 생성 ·분류.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2 : 265-270
  10. 정석재 · 현근수 · 문용택 · 조영길. 1994. 조립질화강암토양의 특성과 생성 ·분류.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7 : 3-9
  11. 정영관 ·홍병화 ·김종만. 1980. 토양의 화학적성질과 임목생장과의 관계. 한국임학회지 46 : 10-20
  12. 정인구. 1982.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성질과 곰솔외 3수종에 대한 적지특성에 관한 연구. 임시 연보 22 : 263-365
  13.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 : 694-700
  14. 조성진 · 박천서 · 엄대익. 2001. 4정 토양학. 향문사. 396pp
  15. 진현오 · 이명종 · 신영오 ·김정제 ·전상근. 1994. 삼림토양학. 향문사. 325pp
  16. 허봉구 · 임상규 ·김유학 ·이주엽. 1997. 우리나라 논토양 유형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0 : 62-66
  17. SAS Institute Inc. 1989. SAS/STAT user's euide. version 4, 4th ed. Volume 2. Cary, NC. 84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