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The Relative Imprtance of Major Forest Environment Factors in Evaluation The Potential of Forest lands for Forest Functions

山林機能類型別 潛在力 評價를 위한 主要 山林立地環境因子의 相對的 重要度 分析

Kim, Hyung-Ho;Chung, Joo-Sang;Kim, Jong-Ho
김형호;정주상;김종호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in evaluating the potential of forest lands for forest functions. The forest function type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termined through forest-specialists questionnair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forest functional types were classified into such six functions as timber production, stable supply of water resources, forest hazards prevention, recreation, promotion of living-environment and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Friedman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for priority orders and the weights of evaluation factors, and then Tukey test was used for grouping among them.

본 연구는 산림관련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산지의 산림기능 발휘를 위한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한 산림환경인자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산림기능유형은 목재생산ㆍ수자원함양ㆍ산지재해방지ㆍ산림휴양ㆍ생활환경보전ㆍ자연환경보전의 6개 기능으로 구분되었다. 집단간의 산림기능유형별 우선 순위와 평가인자간의 가중치를 Friedman 검정을 통하여 집단 내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유의성이 나타난 집단에 대하여 Tukey 검정을 통하여 기능유형과 각 기능별 평가인자 순위를 그룹화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하 · 이천용 · 이원규. 1992. 유역의 입지 조건이 갈수기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임업연구원연구보고 44 : 75-86
  2. 마호섭. 1994. 산지사면붕괴위험도의 예측모델의 개발 및 실용화방안. 한국임학회지 83(2) : 175-190
  3. 산림청. 1991.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lOpp
  4. 산림청. 1997.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II) 보고서. 25pp
  5. 산림청. 2001.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p.21-23
  6. 신원섭. 1995. 통합된 산림휴양기능의 평가를 위한 사회 심리적 평가 모델의 개발과 응용. 한국임학회지 84(4) : 456-464
  7. 이경학. 1995. 산림기능잠재력평가 및 분류시스템, 산림과학논문집 52 : 124-137
  8. 이진규 · 김종호 · 서옥화. 1989. 산림기능분류 및 평가방법 연구. 임업연구사업보고서. p.21-54
  9. 이헌호. 1992. 산림이수기능의 정량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81(4) : 337-345
  10. 정영관 · 손영모 · 이광수 · 강진택 · 정수영 . 1996. GIS기법을 이용한 산림의 다목적 기능 개발. 산림경제연구 4(2) : 15-28
  11. 정주상 · 김의경 · 신원섭 · 이헌호. 1999. 산림 기능평가에 관한 연구. 산림청 용역보고서. 344pp
  12. 정주상 · 김형호 · 차재민. 2001. 공간분석모델링에 의한 산지의 토사붕괴방재기능 적합도 평가. 한국임학회지 90(4) : 535-542
  13. 최경. 박승걸. 1983. 산사태 발생 에지에 관한 연구-다변량해석법에 의한-. 임업시험장연구보고 30 : 109-129
  14. 水利科學硏究所. 1974. 森林の公益的機能計量化調査報告書(III). 316pp
  15. 林野議. 1989. 森林の社會的評慣·科學的管理 手法に廳する調査報告書. 196pp
  16. 林野廳. 1990. 森料の豫備水準·機能計量等調 査報告書(森林の整備水準の評價手法). 194pp
  17. 林野廳. 1991. 森料の機能別調査賓施要領の制 定について(林野廳長官 52林野計第532号)
  18. Sokal, R. R. and F.J. Rohlf. 1995. BiOME-TRY. 3rd edition. W. H. Freeman and com-pany. p.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