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수급자를 위한 자활사업의 제도화 및 지역사회 노동시장과 연계방안

An, Hong-Sun
안홍순

  • Published : 20030000

Abstract

현재 정부는 조건부 수급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및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과제를 등한시하면서 자활사업 참여 의무만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판들과 괘를 같이하여 "조건부 수급자를 위한 자활사업의 제도화 및 지역사회 노동시장과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민기초생활보장의 자활사업에 대한 논의에 한정하여 수급자의 노동의 질 개선, 조건부 수급자와 지역사회를 상호 연결하는 자활후견기관의 역할, 지역사회 노동시장에서의 사회적 일자리 및 고용창출을 통한 노동수요확대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 조건부 수급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사업 프로그램 개발, 2) 수급자의 노동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자활후견기관의 제도화 그리고 3) 지역사회구조개선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등에 대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자활사업을 하나의 제도로 이해하고 공공복리를 목적으로 형성된 `규율된 협력행위`로 정의한다. 자활후견기관의 규율된 협력행위는 수급자의 `노동의 질`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급자를 지역사회 노동시장에 매개하는 역할을 할 때에 그의 생명을 유지 및 성장·발전할 수 있다. 그리고 자활후견기관의 규범을 보다 효율적, 효과적 및 민주적으로 설정하여 새로운 자활사업의 제도화를 도모하고,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통해서 사회적 일자리의 5가지 영역의 확대방안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자활사업의 성공은 조건부 수급자들의 자활의지 고취 및 근로동기유발을 위한 원칙의 수립과 조건부 수급자의 욕구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지역사회의 사회적 연대행위 및 재정가능성 등을 어떻게 제도화하는 가에 달려 있다. 여기에 정책담당자가 사회적 효용과 질적 성장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것도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식, 신은주, 성정현, (2002). '여성 수급자들의 실태와 자활의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19호. 서울:한국사회복지연구회, 23-50
  2. 강병구, 이상훈. (2002). '자활사업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3. 구인회, (2002),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이행 :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48. 서울:한국사회복지학회, 82-112
  4.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지원단. (2001). '자활사업 추진현황 통계자료', 서울: 국민기초생활보장자활지원단
  5. 김수현. (2000). '사회적 일자리의 전망과 공공근로사업'. (공공근로 단순노무사업군 조사사업자료집), 경남: 실업대책을 위한 범국민운동 경남본부
  6. 김태성, (2000). '생산적 복지 무억을 해야하나?' (사회복지연구) 제16호. 서울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5-48쪽
  7. 노대명, (2000). '지역자활지원계획수립의 현황과 과제', (부천지역자활지원계획수립을 위한 워크샾 자료집). 경기:실업극복실천시민운동본부
  8. 문진영, (1999).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의 쟁점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38호. 한국사회복지학회. 100-125
  9. 박능후. (1999).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근로연계복지정책'.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37호.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37쪽
  10. 보건복지부. (2000). '2000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1. 보건복지부(2000a). '2002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Ⅱ)-자활사업', 서울: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2000b). '저소득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 , 제공을 위한 '5대 전국 표준화 자활사업', 서울 : 보건복지부
  13. 삶의 질 향상 기획단, (1999). '새천년을 향한 생산적 복지의 길'. 서울: 퇴설당
  14. 안흥순 (1996), '사회보장제도의 효율성과 효과성', (사회정책론총) 제8집. 서울: 사단법인 한국사회정책연구원, 39-78
  15. 안흥순 (1999). '노동문제와 사회복지', 최선화외 4인 공저.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 양서원
  16. 안흥순(2002).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과정에 대한 분석 -부산광역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6집 제2호. 부산 : 한국지방정부학회
  17. 이장원, 김수현, 김영미, (1999). '저소득층 자활사업의 의의와 지원방안', (실업대책으로서의 저소득층 자활대책에 관한 정책간담회).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18. 진재문. (2001). '새로운 빈곤정책으로서의 자활사업: 가능성과 한계'. (한국사회복지의 새로운 도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대전 : 사회복지학회. 87-106
  19. 홍경준, (2001). '자활사업의 장기 발전전략 모색(안)'
  20. 황덕순. (2000). '빈곤 및 실업극복대안으로서 사회적 일자리 창출의 의미와 전망', (빈곤과 실업극복을 위한 국제포럼 자료집).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 Berger. P.L./Luckmann, Th. (1980), Die Gesellschaftliche Konstruktion der Wirklichkeit. Frankfurt
  22. Cooley. M. (1992). Arbeitnehmerorientierte Strukturpolitik am Beispiel des GLEB in London. Dortmund
  23. Engels. D. (2001). Abstand zwischen Sozialhilfe und unteren Arbeitsnehmereinkommen: Neue Ergebnisse zu einer alten Kontroverse. in: Sozieler Fortschritt 03/2001, Bonn
  24. Gehlen, A. (1956). Urmensch und Spatkultur. Wiesbaden
  25. Gerlach, E. (1992), Konsequenzen fur eine verzanhte Struktur- und Arbeitsmarktpolitik. Dortmund
  26. Gukenbiehl, H, L. (1992), Institution und Organisation. in: Korte/Schaferstl-Hrsg.).Einiiihrung in Heuptbearitte del' Soziolouie. S, 95-110
  27. Hauriou. M. (1965). Die Theorie del' Institution und andere Aufsatze. Berlin
  28. Knuth, M, (2000): Fruhverrietzung zur Vermeidung von Langzeit.arbeit.slosigkeit. Ansolie fur eine Paradigmenwechsel der Arbeitsfoderung. Eine Experties im Auftrag der BerlinerSenatsverwaltung fur Arbeit. Soziales und Frauen. Munuskript. Geselkirchen
  29. Malinowski, B. (1975), Eine wissenschaftliche Theorie del' Kultur und andere Aufsatze. Mit einer Einleitung von P. Reinwald. Frankfurt/M
  30. Peter. W. (2000). Das deutsche Sozialhilfesystem - Im Spannungsfeld zwischen sozialer Fursorge und Hilfe zur Arbeit. in: iw-trends 2/2000
  31. Schmid, G./Mosley, H./Hilbert, Ch./Schutz. H. (1999), Zur Effektivitat aktiver Arbeitsrnarkt- politik. Erfahrungen aus einer integrierten Wirkungs- und Implimentationsstudie. in: Mitteiluneen aus del' Arbeiismerkt- und Berutstorschung. 32 tlg. 4/1999. S. 547-563
  32. Schonig, W. (2002). Institutionelle Perspektiven del' Bundesanstalt fur Arbeit Mabgeschneiderte Betreuung durch das neue Steuerungsmodell. Koln. in: Sozialer Forscbritt: 2002.07. Bonn. S. 9-12
  33. Sell. S. (200]). Editional. Sozialhilfe zwischen Armutsdiskussion und Missbrauchsverdacht. Munchen. in: Sozieler Fortschritt. 2001.03. Bonn
  34. Welzer, H., Wacker, A., Heiuelt, H., (1988). Leben mit der Arbeitslosigkeit. Zur Situation einiger beteiligter Gruppen auf dem Politik und Zeitgeschichte. Bo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