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Job Stress and Coping Strategy on Job Satisfaction in a Hospital Works

일개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Nam, Mi-Hee;Lee, Se-Hoon
남미희;이세훈

  • Published : 2003030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y of hospital workers on job satisfaction. Methods: 468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120 doctors, 194 nurses, 45 pharmacists and 109 administrators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ity types, degree of social support, job stresses, coping strategies, and job satisfaction were all assessed from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 analysis of job stress, according to occupation,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jobrelated stress-inducing factors were: for doctors, role overload, and poor advancement opportunity; for nurses, role overload, and career development and wages; for pharmacists, role overload and lack of recognition from other health professionals; and for administrators, career development and wages, and organizational inefficienc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rol strateg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ambiguity, career development and wages, personal relationship, role overload, and symptom management strategy.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ntrol strategy, occupation, role ambiguity, person with an‘ A’type personality and gender, fro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for hospital workers, they need to be encouraged to use control strategies; create a supportive hospital atmospheres for social supports; re-evaluation, structuring and a new job design are all required to reduce role ambiguity.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학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병원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병원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일개 대학병원 종사자 4 6 8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의사 1 2 0명, 간호사 1 7 6명, 약사 4 5명, 행정직원 1 0 9명이 응답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성격유형, 사회적 지원의 정도, 직무스트레스, 대처 전략,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결과: 직종별 스트레스요인은 의사는 역할과다, 새로운 기술 습득 기회의 부족, 간호사는 역할과다, 경력개발과 임금, 약사는 역할과다와 다른 의료인으로부터의 인식부족, 행정직은 경력개발과 임금, 조직의 비능률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통제 전략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역할모호, 경력개발과 임금, 대인관계, 역할과다, 증상관리전략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귀분석 결과 통제전략, 직종, 역할모호, A형 성격, 성별로 나타났다. 결론: 병원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처 전략 중 통제 전략의 사용과 사회적 지원을 위한 병원 분위기 조성이 제시되고, 역할모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직무내용에 대한 재평가, 구조화, 및 재설계 방안의 모색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석.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모형 설정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0.
  2. 김선숙.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음주 행태에 관한 연구-대처기술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석사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6.
  3. 김충삼. 서울시 일부지역 치과의사의 직무만족도와 역할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4. 배무환. 직무스트레스의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8.
  5. 배종면. 흡연량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6. 양진환. 사회적 지지와 성격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1.
  7. 엄승섭. 병원인력의 직무만족에 대한 실증적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8. 이봉섭.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9. 이선규.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 대처전략과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7.
  10. 이성은. 병원직원의 건강관리. 대한간호 1992; 31: 22-5.
  11. 이우천. 병원종사자의 직업성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12. 이은주. 이공계 연구원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13. 조현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지각요인과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부산: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1.
  14. 탁진국. 대처양식, 개인특성, 스트레스유발사건, 그리고 건강간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997 ; 2: 157-67.
  15. 한광현.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여성근로자들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2.
  16. 한영민. 행정직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대학교와 기업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서강대학교 대학, 1999.
  17. Dalton M. Human Relation. South-Western Publication. 1992: 408.
  18. Hiscott R, Connop P. The Health and Wellbeing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Can J Pub Heal 1990; 81: 422-6.
  19. Karasck R, Therell T. Healthy Work. NY. Basic Books Inc. 1990.
  20. Latack JC. Coping with job stress: Measures and future directions for scale development. J App Psy 1986; 71: 377-85. https://doi.org/10.1037/0021-9010.71.3.377
  21. Matteson M, Ivancevich J. Stress and the Medical Technologist. Am J Med Techno 1982; 48: 163-8 .
  22. Muldray T. Burnout and Health Professionals: Manifestational and Management. Norwalk CT: Appleton Century Crofts, 1983.
  23. NIOSH. A Proposed National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Work Related Psychological Disorders. Cincinnati, OH. 1988.
  24. Robbins S. Management Prentice-Hall, 4th. 1994.
  25. Sarason I, Johnson J. Life stress, organiz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Report 1979; 44: 75-9. https://doi.org/10.2466/pr0.1979.44.1.75
  26. Schnake M. Human Relation. Merrill Publication. 1990: 290.
  27. Vicker C. Job Stress, Ego Activity, Strai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University of Michigan, 1976.
  28. William J, Laurice B. A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Program For Hospital-Based Health Care Personnel. Health and Social Work 1993; 182: 149-56.
  29. Wolfgang A. Job Stress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tudy of physicians, nurses, and pharmacists. Behavioral Medicine 1988; 14: 43-7. https://doi.org/10.1080/08964289.1988.9935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