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o-temporal Soil Water Changes in Fairy-ring CoIonyof Tricholoma matsutake

송이 菌環內 土壤水分의 疇空間的 變化

Koo, Chang-Duck;Kim, Je-Su;Lee, Sang-Hee;Park, Jae-In;Ahn, kwang-Tae
구창덕;김재수;이상희;박재인;안광태

  • Published : 20030000

Abstract

Water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richoloma matsutakeI Tm) growth because it is the major componentof the mushroom by over 90%. The mushroom absorbs water through the below ground hyphal colony.Therefore, the objectives of our study were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water changes in Tm colonies.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m fruiting sites in Sogni Mt National Park, where the below-groundfairy-ring colonies have been irrigated. To identify spatial water status within the Tm soil colony soilmoisture and ergosterol content were measured at six positions including a mushroom fruiting position onthe line of the colony radius. To investigate temporal soil moisture changes in the soil colony, Time Domain Reflectometry(TDR) sensors were established at the non-colony and colony front edge, and waterdata were recorded with CR10X data logger from late August to late October.Before irrigation, whereas it was 12.8% at non-colony, the soil water content within Tm colony was8.0% at 0~5cm from the colony front edge, 6.2% at 10~15cm and 6.5-7.5% at 20~40cm. And thecontent was 12.1% at 80cm distance from the colony edge, which is similar to that at the non-colony.In contrast, ergosterol content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live hyphal biomass was only OAue/f, freshsoil at the uncolonized soil, while 4.9 yg/g fresh soil at the front edge where the hyphae actively grow,and 3.8 w/g fresh soil at the fruiting position, 1.1

송이는 약 90%가 수분이고, 이 수분을 땅속 균환으로부터 흡수한다. 이 연구는 송이균환내부에서 토양수분의 시간-공간적 변화상태를 구명할 목적으로 송이철에 관수를 하는 괴산군 칠성면 쌍곡리 속리산국립공원내 쌍곡계곡의 송이산지에서 수행하였다. 송이균찬내부의 수분상태를 알기 위하여 송이자실체발생지점을 포함하여 균환의 지름방항으로 6개 지점에서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균사의 활력을 나타내는 에르고스테를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송이균환내 토양수분의 시간적인 변화상태를 알기 위하여Time Domain Reflectometry(TDR) 수분센서를 송이균사활력이 왕성한 균환선단과 송이균이 없는 균환선단외부에 설치하고, 2000-2002년에 8월부터 10월가지 토양의 수분함량의 변화를 CR10X 데이터로거에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송이산에 관수를 하기 전에 토양수분함량은 송이균이 없는 균환외부에서 12.8%, 선단으로부터 0~5cm범위에서 8.0%, 선단으로닥터 10~15cm 범위(당년도 송이자실체 예상발생부위)에서 6.2%로, 균환내부가 균찬외부보다 4.8-6.4% 낮았다. 그리고 균환선단으로녁터 20~40cm 후방지점에서는 6.5-7.5%,80cm 지 점 에서는 균환외부과 비슷한 12.1%였다. 에르고스테롤 함량은 토양수분함량과는 반대의 경향으로, 송이균이 없는 균환외닥에서 토양생중량당 OAw◎ 미만으로 가장 낮았고, 균환 선단부 0~5cm 범위에서 4.9//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선단에서 10~15cm 부위인 송이발생예상지점에서는 3.8/Wg, 20cm지점에서 1.1 fie이었고, 40cm 이후 지점은 0.4Ug로 균찬외부와 비슷하였다. 그리고 송이균환내 수분함량의 변동은 관수를 하는 8월부터 10월 사이에 13.5-23.0%로 비균환부위의 14.5-26.0%에 비하여1.0-3.0%가 낮았다. 이 결과는 농이균환위가 비균환부위보다 수분을 많이 소비하며, 균환내부에서도선단~30cm 범위가 수분소비에 특히 주요한 곳임을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훈 . 김태옥 . 이창근 . 차순형 . 구창덕 .채지석 . 유정환 . 김동엽 . 변재경 . 가강현 ·김진한 . 양병국. 1994. 환경오염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처 . 161pp
  2. 이수욱 ·민일식. 1989. 大氣汚染 및 酸性雨가森林生態系의 土壤酸度 및 養料分布에 미치는影響. 韓國林學會誌 78 : 11-25
  3. 이충화 . 유정환 . 김영걸 . 변재경 . 김춘식 . 이승우 . 이봉수. 1999. 토양산성화가 소나무 묘복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산림과학논문집 61 :90-96
  4. 전영신 . 조하만 . 권원태. 1994.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관측된 1992-1993년 산성비의 특성과 공기 이동 경로 분석 . 대기보전학회지 10:175-182
  5. 정용문. 1988. 인공산성우가 소나무 및 개나리분식묘 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대기보전학회지 4(1) : 33-44
  6. 진현오 . 정덕영 . 이충화. 1999. 잣나무 임분에있어서 강우수질의 이동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 : 110-118
  7. 橋本武.1992.酸性土業と作物生育.養賢堂.pp.40-51
  8. 吉田稔.川畑洋子. 1988. 酸性雨の土壤による中和機構. 日本土壤肥料學雜誌 59:413-415
  9. 李忠和.伊豆田猛 .靑木正敏.戶塚績.加蕂秀正.1998. 硫酸添加によリ酸性化させた褐色森林土で育成したアカマシ苗の成長および光合成活性.日本土壤肥料學雜誌69: 53-61
  10. Abrahamsen, G. 1984. Effects of acidic deposi-tion on forest soil and vegetation. Philosophical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305 : 369-382 https://doi.org/10.1098/rstb.1984.0064
  11. Brodin, Y-W. and J. C. I. Kuylenstiema.1992. Acidification and critical loads in Nordiccountries : A background. AMBIO 21 : 332-338
  12. Cronan, C. S. and D. F. Grigal. 1995. Useof calcium/aluminum ratio as indicators ofstress in forest ecosystem. Joumal ofEnvironmental Quality 24 : 209-226
  13. Goransson, A. and T. D. Eldhuset. 1991.Effects of aluminum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small PIcea abies and Pinus sytvestrisplants. Trees 5 : 136-142
  14. Hutchinson, T. C. 1980. Effects of acidleaching on cation loss from soil. Page 481-497in Hutchinson, T. C. and M. Havas(eds.),Effects of acid precipitation on terrestrialecosystems. Plenum Press
  15. Hunt, R. 1978. Plant Growth Analysis.Edward Amold Publishers Ltd. pp. 8-25
  16. Kim, G. T. 1986. Effect of simulated acidrai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and on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SeoulNational University Ph. D. Paper. pp. 46
  17. Lee, C. H., S. W. Lee, Y. K. Kim and J.H. Cho. 2003. Atmospheric quality, soil acidification and tree decline in three Koreanred pine forest. Korean Joumal of Ecology26(2): 87-89 https://doi.org/10.5141/JEFB.2003.26.2.087
  18. Mohnen, V. A. 1988. The challenge of acidrain. Scientific America 259 : 14-22
  19. Rengel, Z. 1992. Role of calcium in aluminumtoxicity. New Phytologist 121 : 499-513 https://doi.org/10.1111/j.1469-8137.1992.tb01120.x
  20. Sverdrup, H., P. Warfvinge, and B. Nihlgard.1994. Assessment of soil acidification on forestgrowth in Sweden. Water, Air and SoilPollution 78 : 1-36
  21. Ulrich, B., R. Mayer, and P. K. Khanna.1980. Chemical changes due to acid precipitationin a Loess-derived soil in Central Europe. SoilScience 130 : 193-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