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Mental Health between the Laid-Off and the Employed Worker in the Similar Industry

동종산업 종사 근로자와 정리해고자의 정신건강상태 비교연구

Cho, Sung-Ae;Jung, Jin-Joo;Koo, Jung-Wan
조성애;정진주;구정완

  • Published : 2003120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laid off by comparing the unemployed with the employed.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laidoff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employed.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47 laid-off people formerly employed in A auto factory and 167 employees working in B auto factory. Results: The proportion exercising regularly was 20.2% for the laid-off and 34.8% for the employed and the proportion having regular meals was 10.9% and 50.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requency and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of the laid-off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Among the laid-off, 69.4% responded that they spent less time in talking to their spouse, and 65.4% also reported reduced sexual activities with their spouse. Because of unemployment, 41.8% of the laid-off experienced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and 53.5% also perceived that they were stigmatized and treated badly by their neighbors, friends and relatives. Mean IFR in the laid-off was 22.9,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15.3 recorded in the employed. The mean PWI-SF was 24.2 for the laid-off and 13.0 for the employed, which indicates the lowe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the laid-off than that of the employed. Age, annual salary, family relationship, regular exercise, regular diets, possibility to return to work and perception of the future were related to mental health status for the laid-of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mental health status for the laid-off was family relationship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mental health of the laid-off is worse than that of the employed. Based on this study, a follow-up study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reemployed to the same factor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direct mental health effect on the laid-off.

목적: 본 연구는 실업노동자와 현직노동자를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가족관계의 원활함을 보는 IFR (Index of Family Relations)과 정신건강척도를 보는 SF-PWI(Short Form-Psychosocial Wellbeing Index)등을 비교함으로 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2001년 8월 20-23일까지 A회사 정리해고자 중 현재 복직요구중인 247명과 동종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B 회사의 현직노동자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수거 하였으며 실업이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항목은 사회적 요인(연령, 부양가족, 근무 개월, 총수령액, 결혼여부, 교육과 종교)과 생활습관(규칙적 운동과 식사 여부, 흡연여부와 흡연량, 음주여부와 음주량), 일반적 가족관계, 가족관계의 원활함, SF-PWI을 사용하여 정신건강 척도에 대한 문항을 알아보았다. 결과: 정리해고는 정리해고노동자의 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쳤으며,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은 해고자의 경우 20.2%, 현직자는 34.8%이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경우는 해고자 10.9%, 현직자 50.6%로 현직자의 생활은 규칙적인데 비해 해고자의 생활은 불규칙했다. 또한, 흡연•음주의 양과 횟수도 해고자가 현직자보다 높게 나타나 해고노동자의 생활습관이 더 나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리해고가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해고 후 부부간 대화가 69.4% 줄었고, 싸움은 72.6%가 늘었고, 성생활이 줄었다가 65.4%로 부부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녀와의 갈등이 증가한 경우도 41.8%로 나타났고, 정리해고자의 가정이라는 사실로 인하여 이웃, 친척, 친구들로부터 냉대를 받은 경험은 53.5%이었다. 가족관계의 원활함을 알아보는 IFR은 해고자에서 22.9로 현직자의 15.3보다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척도를 알아보는 SF-PWI는 해고자에서 24.2 현직자에서 1 .0으로 해고자의 정신건강이 현직자에 비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해고자의 정신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회귀분석에서 연령, 총수령액, 가족관계의 원활함(IFR), 규칙적인 운동여부, 규칙적인 식사여부, 복직가능성, 미래에 대한 인식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단계별 회귀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가족관계의 원활함이 SF-PWI에 가장 큰 영향 (SSR 0.688)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정리해고노동자의 정신건강이 현직노동자보다 나쁜 것을 보았으며, 이후 정리해고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면밀히 검토하기 위하여 해고노동자들이 복직되어 작업장으로 돌아간 후 추적연구를 진행하여 정리해고가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금재호, 조준모. 실업구조의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0.
  2. 김승권. 실업가정의 생활변화와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3. 김영두. 실업과 노동자 보호. 노동사회.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1.
  4. 이상록. 사회보장론. 나남출판사, 2000.
  5. 이훈구, 김인경, 박윤창.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 해고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인간행동연구소, 2000.
  6. 임상혁. 삼미특수강 해고노동자의 종합 검진결과. 원진노동환경건강연구소, 2000.
  7. 장세진. 건강통계 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계측문화사, 2000: 92-143
  8. 장혜경, 김영란. 실업에 따른 가족생활과 여성의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9.
  9. 정진주, 김신범. 삼미특수강 해고노동자의 삶의 질 변화와 건강평가. 원진노동환경건강연구소, 2000.
  10. 차봉석, 고상백, 왕승준, 장세진. 국가경제침체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1998; 10(4): 484-92.
  11. Chang HK.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ccupation, and employment sector on conjugal power relations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immigrant married wome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95.
  12. European Commission. Framework for the project on unemployment and mental health. 2000.
  13. Ferrie J et al. Health effects of anticipation of job change and non-employment: longitudinal data from the Whitehall Ⅱstudy. BMJ 1995; 311: 1264-9 https://doi.org/10.1136/bmj.311.7015.1264
  14. Frese M, Mohr G. Prolonged unemployment and depression in older workers: a longitudinal study of intervening variables. Social Science & medicine 1987; 25: 173-8. https://doi.org/10.1016/0277-9536(87)90385-6
  15. Linn M, Sandifer R, Stein S. Effects of unemployment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5; 75: 502-6. https://doi.org/10.2105/AJPH.75.5.502
  16. Mattiassonh I, Lindgarde F, Nilsson JA, Theorell T. Threats of unemployment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longitudinal study of quality of sleep and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men threatened with redundancy. BMJ 1990; 301: 461-6. https://doi.org/10.1136/bmj.301.6750.461
  17. Morris JK, Cook DG, Shaler AG. Nonemployment and changes in smoking, drinking and body weight. BMJ 1992; 304: 536-41. https://doi.org/10.1136/bmj.304.6826.536
  18. Moser KA, Goldblatt PO, Fox AJ, Jones DR. Unemployment and mortality: comparison of the 1971 and 1981 longitudinal study census samples. BMJ 1987; 291: 86-90. https://doi.org/10.1136/bmj.291.6487.86
  19. Nuris, PS, Hudson, WW. Human Services Practice, Evaluation, and Computers: A Practical Guide for Today and Beyond. Broks Cole,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