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oming, Fructification and Nut Characteristics of Chestnut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밤나무 裁培品種의 開花, 結實 및 果實特性

Kim, Mahn-Jo;Lee, Uk;Hwang, Myoung-Soo;Kim, Sun-Chang;Lee, Moon-Ho
김만조;이욱;황명수;김선창;이문호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hestnut breeding program and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system of chestnut cultivars using Korean prevailing chestnut cultivars, European andChinese chestnut cultivars.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ultivars in blooming time. Cultivars derived from Chinese chestnut showed later blooming patterns than Japanese chestnut cultivars. In most of cultivars, the full blooming period of pistillate flower considered to be optimum for pollination was about 4 days. In the fructification rate, 'Tsukuba' showed highest (82.1%), while 'Tono 2' was lowest(34.5%).In the optimum harvesting time, the early-maturing cultivar 'Moriwase' was earliest at 1 September, while the late-maturing cultivar 'Banseki' latest at 13 October. The harvesting period showed significantdifferences among cultivars, and 'Tanzawa', 'Otanba' and 'Hamjongyul' were shortest(8 days), while 'Riheiguri' and Tsukuba' were 1ongest(>2 weeks).Soluble solids content of nut measured immediately after harvest varied between 9.6% in 'Isseumo' to 22.2% in 'Hamjongyul'. Nearly cultivars derived from Chinese chestnut showed higher values than Japanese chestnut cultivars in soluble solids content, and nut hardness was similar to soluble solids content. With respect to percentage of polyembryonic nuts, most of cultivars were below 5%, but 'Tono2' was highest(11.2%) resulted in depreciating market values, Percentage with the pericarp split wasbelow 5% in most of cultivars, but 'Daab' was highest(32.4%) inferior to

밤나무 품종개량을 위한 육종 기초자료 및 품종식별을 위한 특성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 재배품종 및 외국에서 도입된 중국밤 및 유럽밤 품종을 대상으로 개화결실 및 과실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개화시기에 있어 중국밤 계통의 품종들이 늦게 개화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수분이 가능한 자화의 만개기간은 대부분의 품종이 4일 내외로 나타났다. 결실특성에 있어서 결과지당 자화수는 중국밤 계통의 품종이 일본밤 계통보다 많았으며, 착과율은 축파가 82.1%로 가장 높았고 동농2호가 34.5%로 가장낮았다. 성숙기에 있어서는 삼조생이 성숙최성기가 9월 1일로 가장 빨랐고 만적이 10월 13일로 가장 늦었으며, 수확기간은 단택, 대단파, 함종율이 8일로 가장 짧았고 이평과 축파가 2주 이상 소요되어 품종간에큰 차이를 보였다. 과실형질에 있어 수확직 후의 과육의 당도는 9.6(출운)~22.2%(함종율)로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는데 중국밤 계통의 품종이 일본밤 계통의 품종보다 높았으며, 과육의 경도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배율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품종이 5%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동농2호는 11.2%로 가장 높아 밤과실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과율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품종이 5% 이하로 우수하였으나 다압은 32.4%로 제일 높아 타품종과 비교하였을 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거리지수 1.0에서 3개의 그룹으로분리되었는데 이중 함종율과 평양율, 천진율은 타그룹의 품종들과는 뚜렷이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출 ·오성도 · 임열재 ·유영산 ·강성모 ·김선규 · 신용억 · 정경호. 1999. 과수 전정 생리. 서원출판사, 서울. 22p
  2. 구교상 ·김갑영 ·김경희 ·김만조 ·김선창 ·박재복 · 신상철 · 안창영 · 이문호 · 이상현 · 전현선 · 정진현 ·주린원 · 최광식 · 황명수. 2001. 밤나무 재배관리 기술. 임업연구원. 16p
  3. 김선창. 1993. 밤나무 주요 품종 및 교배조합별 격실특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p
  4. 김태욱. 1963. 전남 광양지구의 밤나무 품종별 개화기 및 과실의 숙기와 중량조사. 한국임학회지 3 : 36-42
  5. 안창영 ·황명수 ·홍성호. 1996. 밤나무 교배차대의 수확기와 과실형질 유전. 임육연보. 32:42-47
  6. 안창영 ·황명수. 1993. 밤나무 주요품종의 수확기, 과실형질에 대한 연구. 임육연보. 29: 89-95
  7. 이용수 ·강귀동 · 김학록 ·홍천유. 1977. 밤나무 주요 15개 품종의 재배적 특성조사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18(1) : 17-21
  8. 임경빈 · 권기원. 1974. 밤나무 우량품종의 형태학적 특징과 증식에 관한 硏究. 한국임학회지 22 : 49-62
  9. 査永成. 2000. 板栗豊産栽培 新技術. 浙江科 學技術出版社, 杭州. 4p
  10. 王恒明等. 2000. 板栗優良品種及其豊産優質栽 培技術. 中國林業出版社, 北京. 6p
  11. Botta, R., G. Vergano, G. Me and R. Vallania. 1995. Floral biology and embryo de-velopment in chestnut(Castanea sativa Mill.). HortScience 30(6) : 1283-1286
  12. Bounous, G., J. H. Craddock, C. Peano and P. Salarin. 1992. Phenology of blooming and fruiting habits in Euro-Japanese hybrid chest-nut, In : Chestnut Tree Breeding, Propagation and Physiology. Proc. International Chestnut Conference. Morgantown, USA. pp. 117-128
  13. Famiani, F., P. Proietti, A. Palliotti, F. Ferranti and E. Antognozzi. 2000. Effects of leaf to fruit ratios on fruit growth in chestnut. Scientia Horticulturae 85 : 145-152 https://doi.org/10.1016/S0304-4238(99)00132-6
  14. Goulao, L., T. Valdiviesso, C. Santana and C. M. Oliveira. 2001. Comparison between phenetic characterization using RAPD and ISSR markers and phenotypic data of cultivated chestnut(Castanea sativa Mill.).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48 : 329-338 https://doi.org/10.1023/A:1012053731052
  15. Nakamura, M. 1992. Elongation of styles and optimum pollination time in apanese chest-nut(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61(2) : 265-271 https://doi.org/10.2503/jjshs.61.265
  16. Nakamura, M. 2001. Pollen tube growth and fertilization in Japanese chest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70(5) : 561-566 https://doi.org/10.2503/jjshs.70.561
  17. Pereira-Lorenzo, S. and J. Femandez-Lopez. 1997. Description of 80 cultivars and 36 clonal selections of chestnut(Castanea sativa Mill.) from northwestern Spain. Fruit Varieties Journal 51(1) : 13-27
  18. Pereira-Lorenzo, S., J. Femandez-Lopez and J. Moreno-Gonzalez. 1996a. Variability and grouping of northwestern Spanish chestnut cultivars. I. Morphological trai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21 : 183-189
  19. Villani, F., M. Pigliucci, M. Lauteri and M. Cherubini. 1992. Congruence between genetic, morphometric and physiological data on differentiation of Turkish chestnut(Castanea saliva). Genome 35 : 251-256 https://doi.org/10.1139/g92-038
  20. Westwood, M. N. 1993. Temperate-zone pomology. Physiology and Culture. Timber Press, Inc. 1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