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oil loss in Forest fire area

산불발생지역에서의 토양유실량에 관한 연구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재훈 (경동대학교 건축환경공학부) ;
  • 천기선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Soil loss by the rains has effect on natural environment. B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data that is surveyed in watershed. In this paper, we choose USLE erosion model, which could be connected easily with GSIS and available generally, and extracted factors which is entered model by using GSIS spatial analysis method. Especially, As revised USLE model, It should be applied in watershed and as it calculated soil loss before Idlest fire and behind, it analysed the degree that it have an effect on soil loss. As each analyzed factors and the result of soil loss estimate consist of 22m-pixel size, we could identify soil loss by each pixel and distribution pattern.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식의 부족으로 실제 유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유실량을 측정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SIS와의 연계가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사용할 있는 USLE 모형을 선정하여 토양유실량 예측에 이용하였으며, 모형에 입력되는 인자들을 GSIS 공간분석 기능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특히 USLE 모형을 다소 수정하여 유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산불전과 후의 토양유실량을 계산하여 토지피복변화가 토양유실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격자크기를 22m로 구성하여 격자별 침식량을 확인할 수 있어 토양유실량 분포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