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s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 landscape adjective list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For this purpose, four methods are used. The first method is to survey the foreign landscape adjective lists such as Feimer's EACL & LACL, VRM suggested vocabulary, and IEA and LI's aesthetic factors, which are commonly used in domestic research. The second method is to analyze vocabulary in Korean linguistic textbook the third is to investigate Korean adjective lists from 36 domestic research. The last is to survey adjectives used to express the urban landscapes. 24 landscapes from BunDdang, GwaCheon, YakSoo and ApGuJeong were presented to 40 subjects, whose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adjectives and landscape factors were processed by SJTOOL, which was programmed for Korean vocabular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reign adjective lists were mainly focused on the physical features of landscapes and they also had linguistic problems caused by the translations. Therefore, it is undesirable to use the foreign adjective list directly to analyze Korean urban landscapes. The vocabulary from the linguistic textbook has more variety, but it includes many adjectives irrelevant to the urban landscape. More types of adjectives were used in the researches(890 adjectives/295 type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response survey(1,406 adjectives/270 types). Because some adjectives were partly confusing, it is desirable to categorize the adjectives. The categorized adjectives could therefore be more useful and practical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성. 서주환(1988) 올림픽대로의 경관향상을 위한 가로공간 구성요소 물리량과 심리량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6(2) : 23-41
  2. 김광래. 안봉원. 김동찬, 서주환(1997) 옥외휴게시설의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 - 차양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5(3) : 199-209
  3. 김광래, 허준, 노재현(1993) 녹지공간의 자연성과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 : 26-38
  4. 김대현(1994) 도시가로 보행자 공간의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연구 - 대전시 도시가로 보행자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2(3) : 29-40
  5. 김대현, 구본학(1999) 경관영향평가 기법을 통한 댐건설에 대한 경관영향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7(4) : 80-86
  6. 김세천(1991) 국립공원 sequence 경관의 기호학과 계량심리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3) : 55-71
  7. 김승환. 변문기(1991)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어메니티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01-115
  8. 김용수, 김수봉, 박수미(2000) 경주시 자전거 전용도로의 경관만족요인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7(5) :1-11
  9. 김용수, 김수봉. 정계순(1998) 도시하천 유축경의 시각적 선호요소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6(2) : 101-109
  10. 김은일(1998) 녹지의 색면적에 따른 시각심리적 효과에 관한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1) : 36-43
  11. 김충식, 이인성(1999)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평가기법 연구 - 정적 및 동적 시뮬레이션 기법의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26(4) : 1-13
  12. 나성숙(1993) 슈퍼그래픽의 이미지와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시각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0(4) :54-75
  13. 노정실. 김유일(1998) 실내공간에서의 시각적선호도. 예측에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 : 269-282
  14. 노정실, 김유일(1999) 정보적 접근방법에 의한 실내공간에서의 시각적 선호도 - 예측변수들의 물리적 속성과 선호도와의관계. 한국조경학회지 27(1) : 11-18
  15. 박찬용. 이영대(1997) 도시경관 평가에 있어서 녹지의 역할과계획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5(1) : 18-35
  16. 서주환(1987) 산림경관에 대한 계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5(1) : 39-67
  17. 서주환(1995) 자연경관지 내에서 정자의 시각적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 17-28
  18. 서주환. 성미성(2001a) 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소리의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3) : 10-18
  19. 서주환. 성미성(2OOlb) 청각적 정보의 유형이 경관선호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5) : 28-36
  20. 서주환, 이철민. 맹상빈(2001) 경관의 선호도 결정인자 모형- 골프장을 배경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9(1) :1-10
  21. 서주환, 최현상, 김상범, 이철민(2000) 형태지수를 이용한 도로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설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4) : 87-93
  22. 양병이(1990) 경관선호도의 인지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7(3) : 9-20
  23. 유병림(1984) 전달매개론에 의한 도시경관의 해석이론 및 기법. 한국조경학회지 12(2) : 15-29
  24. 윤진옥. 김유일 정기호(1995) 도시 및 농촌거주자의 농촌경관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 93-103
  25. 이남현. 방광자(1996) 실내조경에 있어서 식물의 시각량이 시각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4(2) : 13-24
  26. 이상엽. 오휘영, 조세환(2002) 도시교량경관의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 서울한강 교량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9(6): 11-20
  27. 이선화. 김유일 서주환(1998) 도시환경의 이미지 및 시각적선호도에 관한 연구 - 도시 업무용 건물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 134-142
  28. 이영경. 민창기(1998) 경관경험의 향상을 위한 문화·역사지역의 경관계회 및 관리에 관한 연구 - 경주시 문화재와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2) : 155-165
  29. 임승빈(1987) 시각적 질의 계량적 측정기법에 관한 연구 -SBE 기법의 일반화. 한국조경학회지 15(2) : 91-100
  30.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1. 임지룡(1992)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32. 정대영. 심상렬. 문석기(1996) 도로경관의 시각적 특성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청주시 주진입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4(1) : 15-31
  33. 정성관. 이정(1994) 담장의 시각적 선호도 및 이미지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2(3) : 65-78
  34. 조시현, 진양교(1997) 시뮬레이션기법을 이용한 남대문 및 주변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3): 12-24
  35. 주신하, 임승빈(1998) 경관 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현장음과 동화상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312-320
  36. 최경옥. 방광자, 허준(1997) 실내조경 시물치 이미지 평가에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3) :101-110
  37. 최형석(1999)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8. 허준(2001) 인터넷과 슬라이드를 이용한 경관평가기법의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29(5) : 20-27
  39. 황인주. 임승빈(1990) 인간적 척도와 시각적 선호의 관계성에관한 연구 -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8(1) : 69-79
  40.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1995) Visual resource management manual 8431.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 http://www.blm.gov/nstc/VRM
  41. Feimer. N. R.(1979) Personality and environment perce-ption : Alternative predictive systems and implications for evaluative judgemen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42. Hagerhall. C. M.(2000) Clustering predictors of landscape preference in the traditional swedish culturing landscaPe : prospect-refuge, mystery, age and manag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00) 20 : 83-90 https://doi.org/10.1006/jevp.1999.0150
  43. Hanyu. K.(2000) Visual properties and affective appraisals in residential areas in daylight. Joum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00) 20 : 273-284 https://doi.org/10.1006/jevp.1999.0163
  44. Herzog. T. R.(1992) A cognitive analysis of preference for urban spaces. Joum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2 : 237-248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138-0
  45. Institut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the Landscape Institute(1995) Guidelines for landscape and visual impact assessment. E&FN SOPN
  46. Kaplan, R. and S. Kap1an(1989) The Expehence of Nature: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Kaplan, S. and R. Kap1an(1982) Cognition and Environ merit : Functioning in an uncertain world. New York : Praeger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