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Native and Hybrid Pork in Korea

재래종과 개량종 돼지고기의 영양성분 비교 연구

  • 한재숙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 한경필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 소궤신행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 여정수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동물생명과학과) ;
  • 이승언 (일본경도부립대학 인간환경학부 식보건학과) ;
  • 일본명 (일본경도부립대학 인간환경학부 식보건학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native and hybrid pork in Korea. Three different parts (ham, loin and belly) of both native and hybrid pork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isture content from Korean native pork was about 60.28%, while that from the loin of hybrid one was 69% and decreased in the order of him, loin, and belly The highest protein content of 19.71% was found in Korean native pork loin, and Korean native pork ham had a significant amount of protein of 17.80% and hybrid one had 13.14% (p< .05). The highest crude lipid, 34.44%, was found in hybrid pork belly, Korean native pork ham had a significant amount of 5.43% and hybrid pork had 2.33% (p< .05). The highest carbohydrate content of 13.28% was found in the Korean native pork belly. The amount of ash was in the order of loin, ham and belly in Korean native pork. Among the minerals, K was found the most in Korean native pork ham (654.82mg) and hybrid one (747. 35mg) (p< .05). Fe was higher in the Korean native pork ham (23.03mg), loin (15.86mg) and belly (10.80mg) compared to the hybrid pork ham (19.04mg), loin (11.63mg) and belly (7.61mg). That was significant ham, loin(p< .01) and belly(p< .05). The main free amino acids of the native and the hybrid pork in Korea were alanine, aspartic acid and lysine. While the cholesterol content was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ham, belly, and loin in the Korean native pork, in the order of belly, fresh ham and loin in the hybrid pork. The cholesterol contents in ha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Korean native pork(789.32$\mu\textrm{g}$) and the hybrid pork (538.84$\mu\textrm{g}$) (p< .01).

재래종 돼지고기는 우리 고유의 돈육으로서 보존의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고기의 육질과 맛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재래종과 개량종 돼지고기의 등, 배, 다리의 세 부분을 시료로 하여 몇 가지의 영양성분 함량을 조사하여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 중 수분 함량은 60.82%~72.08%로서 재래종에 비하여 개량종에서 많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재래종의 등 부위에서 19.71%로서 가장 많았고, 개량종의 다리부위에서 13.14%로서 가장 적었다. 조 지방 함량은 개량종의 배 부위에서 34.44%로 가장 많았고, 개량종의 다리부위에서는 2.33%로서 가장 적었으며, 탄수화물함량은 재래종의 배 부위가 13.28%로 가장 많았고, 회분함량은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많았다. 2. 무기성분 중 Mg, Fe의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많았으며 특히 Fe이 현저하였다. K과Na은 그다지 차이가 적었으나 P은 재래종 다리부위에서 개량종보다 많았다. 3.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부위별로는 다리부위가 많았고 재래종(12.27mg)이 개량종(11.22mg)에서보다 많았다. 유리아미노산 조성 중 감칠맛 성분 함량은 재래종의 다리부위에서 개량종보다 약 1.8배 이상 많았으며, 단맛 성분도 재래종의 등 부위에서 가장 많았다. 4 콜레스테롤 함량은 재래종의 등, 배 부위에서 개량종보다 적었으나 다리부위는 재래종(789.32$\mu\textrm{g}$)이 개량종 (538.84$\mu\textrm{g}$)보다 많았다(p< .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