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 Center(Jaryokwan) in Korea

한국 자료관 제도의 역할과 특징에 관한 연구

  • 방효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haracteristics of Jaryokwan m Korea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for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process for Record Center(Jaryokwan) regulated in the Law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the Law). According tn the Law, Jaryokwan is supposed to cover the areas of the management of semi-current records, government publications, books, and other records. The analysis of the Law shows that Korean Jaryokwan has the characteristics of divisional management of the semi-current records of governments, pursuing the integrated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s, tightening the control function from the current-records stage, emphasizing the protection of evidences and security, contribution to the decentralizing storage of archives and simplifying the access to semi-current records for promoting it's usag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Jaryokwan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e imminent needs of the development of ideal model for Korean Jaryokwan, the legal enforcement of posting an Archivist the more detailed regulation, procedures and methods of work, the close collaboration wit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pursuit of developing as a regional information center,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establishing Jaryokwan.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법에 규정된 자료관의 업무분석을 통해 한국 자료관의 특징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료관의 업무는 기본적인 기록물관리 영역, 일반 간행물 및 도서관리 영역, 기타 각종 관리 영역의 업무가 포함된다. 업무영역 분석 결과, 한국의 자료관은 기록물의 계통별 관리, 통합된 기록물관리시스템의 지향, 생산단계로부터의 조정$\cdot$감독기능의 강화, 증거성 및 안정성 보호의 중시, 기록물의 분산보존, 기록물 이용촉진 등에 기여하였다. 자료관의 발전 방향으로 자료관 업무 내용$\cdot$절차$\cdot$방법의 상세화, 전문요원 배치의 보장, 이상적인 자료관 모델의 수립, 문헌정보학계와의 협력 강화, 지역정보센터로의 발전모색, 융통성 있는 자료관 설치, 공공기관의 법규이행에 대한 의지 고양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公共機關의記綠管理에관한法律
  2.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3.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규칙
  4.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규칙(안)
  5. 기록보존 v.14 자료관 현황과 발전전략 곽건흥
  6. 기록보존 v.14 자료관 업무표준안검토 김형국
  7. 자료관의 기록관리 미카엘 쿡(저);오항녕(역)
  8. 기록보존 v.13 자료관 설치 어떻게 할 것인가 박지태
  9. 한국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 이원규
  10. 중국의 기록관리 정부기록보존소
  11. 기록보존 v.13 자료관 기록물관리기관의 보존시설 및 장비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지찬호
  12. 外國現代 案管理敎和 韓玉梅
  13. A Modern Archives Reader; Basic Readings on Archival Theory and Practice Archival Janus; the Record Center Angel, Herbert E.;Maygene F.Daniel;Timothy Walch
  14. Managing Archives and Archival Institution Brasdher,J.G.
  15. Canadian Archival Studies and the Rediscovery of Provenance The Origins of the Public Archives Records Center Atherton, Jay;Nesmith, Tom
  16. A Manual of Archive Administration Jenkinson, Hilary
  17. NARA Records Centers NARA
  18. Records Management for Central Government PRO
  19. 현대기록학개론: modern Archives; Principles and Techniques Schellnberg, Theodore R.;이원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