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Hydrological Impact for Long-Term Land Cover Change Using the WMS HEC-1 Model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Pyeongtaek Gauging Station of Anseong-cheon

WMS HEC-1을 이용한 안성천 평택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의 수문 경년변화 분석

  • 김성준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박근애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정인균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권형중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ydrological impact due to temporal land cover change by gradual urbanization of upstream watershed of Pyeongtaek gauging station of Anseong -cheon. WMS HEC-1 was adopted, and DEM with 200$\times$200m resolution and hydrologic soil group from 1:50,000 soil map were prepared. Land covers of 1986, 1990, 1994 and 1999 Landsat TM images were classified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watershed showed a trend that forest & paddy areas decreased and urban/residential area gradually increased for the period of 14 years. The model was calibrated at 2 locations (Pyeongtaek and Gongdo) by comparing observed with simulated discharge results for 5 summer storm events from 1998 to 2001. The watershed average CN values varied from 61.7 to 62.3 for the 4 selected years. To identify the impact of streamflow by temporal area change of a target land use, a simple evaluation method that the CN values of areas except the target land use are unified as one representative CN value was suggested. By applying the method, watershed average CN value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paddy, forest and urban/residential, respectively.

본 연구는 안성천의 평택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점진적인 도시화로 인한 토지피복변화가 수문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WMS HEC-1모형을 사용하였고, 격자크기 200$\times$200m DEM과 1:50,000토양도로부터의 수문학적 토양군을 이용하였다. 1986, 1990, 1994, 1999년 Landsat TM 영상을 최우도법에 의해 피복분류를 실시한 결과, 이 기간동안 유역내에 산림과 논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왔고, 도시/주거지 면적은 꾸준하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8년에서 2001년까지 5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여 평택과 공도 두 지점에 대하여 모형을 보정하였다. 4개년의 유역평균 CN값은 61.7-62.3의 범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토지 이용의 면적변화가 하천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특정토지이용을 제외한 타 토지이용의 CN을 대표 CN으로 변환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논, 산림, 도시/주거지의 동일면적변화에 대하여 논, 산림, 도시/주거지의 순으로 유역평균 CN값에 영향을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형중, 김성준, 고덕구 (2001). 'Landsat TM과 KOMSAT-1 EOC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및 SCS-CN직접유출량 산정.' 한국관개배수, 제 7권, 제2호, pp.66-74
  2. 김경탁(1998). GIS적용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3. 남형욱, 박경윤, 조성익 (1989). '원격탐사기법에 의한 소유역의 홍수수문곡선 결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5권, 제1호, pp.13-27 https://doi.org/10.7780/kjrs.1989.5.1.13
  4. 안성시 (1987, 1991, 1995, 2000). 안성시 통계연보
  5. 이범희, 이길성 (1999). '수질오염 모의모형의 입력자료 생성방안을 개선하기 위한 원격탐사 정보와 지리정보 체계의 응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9권, 제II-2호, pp. 125-137
  6. 이준우 (2002). WWS HEC-1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경년 수문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7. 임상준, 박승우 (1997). '논의 유출곡선번호 추정.' 한국 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4호, pp. 379-387
  8. 한국수자원공사 (1993). GIS를 이용한 수자원관리 및 계획에 관한 연구
  9. Bhaskar, .R., James, W.P., and Devulapalli, R.S.(1995). 'Hydrologic parameter estima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Water Resource Plannig and Management, ASCE, Vol.118, No.5, pp.492-512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2)118:5(492)
  10. Garbrecht, J., Martz, L.W. and Goodrich, D.C. (1996). 'Subcatchment parameterization for surface runoff modeling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s.' I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Hydraulics Conference North American Water and Environment Congress '96 CD-ROM publication Session C-126, GIS Distributed Models: Data, Parameterization and Scale, 6 pages, Anaheim, California
  11. Garbrecht, J. and Martz, L.W. (1997). 'TOPAZ: An automated digital landscape analysis tool for topographic evaluation , drainage identification watershed segmentation and subcatchment parameterization; TOPAZ overview.'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ch Service, Grezinglands Reseach Laboratory, El Reno, Oklahoma, USA, ARS Publication No. GRL 97-2, pp.21
  12. Mayer, S.P., Salem, T.H., and Labadie, J.W.(1993).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urban storm water manage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119, No.2, pp.206-39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3)119:2(206)
  13.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10, pp.283-290
  14. Watershed Modeling system (1999). Brigham Young University Environmental Modeling Research Labora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