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ungi for the Excavated Clothes of the 16C,at Dae-Duk Ku in Dae-jun - Focus on the Excavated Clothes of Kang Jeol´s wife Hansan Lee and Chungjoo Park, and Song Munchang -

대전 대덕구 출토 16세기 출토복식유물에 서식하는 곰팡이에 관한 연구 -강절 부인 한산이씨, 충주박씨와 송문창 복식유물을 중심으로-

  • Lee, Sang-Jun (Dept. of Micro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Back, Young-M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
  • Lee, Gun (Dept. of Micro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a, Mi-Sun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tudies) ;
  • Kwon, Young-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상준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 이건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 차미선 (부산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
  • 권영숙 (부산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fungi found in excavated clothes dating on the 16th century. As a result of microscoping with LPCB staining, seven isolated strains were classified-Acremonium strictum, Acremonium kiliense, Fonsecaea sp., Candida sp., Trichoderma sp., Cladosporium spp., Penicillium spp.. In the process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by the sort of textile, more fungi were found in cotton, cotton batt and silk than in ramie and hemp, suggesting that hemp has antibacteri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presence of lignin. In the Comparison washed samples with unwashed ones, there were more kinds of fungi in washed samples. In the cellulase activity test, Acremonium kiliense had the highest level cellulase activity, suggesting that Acremonium killiens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damage of textiles.

Keywords

References

  1. 함옥상, 김효은 (1979). 사상균에 의한 식물성섬유의 손상도에 관한 연구. 가정학회지, 17(1). p. 8
  2. 홍지명, 유효선 (1997). 한산모시의 역학적 특성 및 태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섬유공학회. 21(8), p. 59
  3. 배상경 (1984). 대마섬유의 방매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2(1)
  4. Davise H. Larone (1995). Medical important fungi.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1995
  5. M. Mandels, R. Andreotti, and C. Roche (1976). Biotechnol Bioeng Symp. 6. pp. 21-23
  6. T. M. Wood. J. Biochem (1968). 109. 207
  7. 염색가공사전 (1999). 일본학술진흥회 섬유고분자기능가공 120 위원회 편, 조창서점. p. 6.
  8. 안회균 (1983). 지류 섬유질유물의 괴학적 보존. 고문화, 22, pp.89-97
  9. 민경희, 안희균 (1981). 지류 및 섬유질 문화재의 미생물에 관한 연구. 문화재, 14, 문화재관리국. pp. 131-141
  10. 민휴홍 등 (1968).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과기처. p. 5
  11. 이태녕 등 (1972).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에 관한 연구(I), 과기처, p. 37
  12. 문화재의 손상요인과 과학적 보존 (1982), 월간문화재 12월호, 월간문화재사, p113
  13. 한영구, 유덕환, (1970). 변사제품에 변식하는 미생물에 대한 방매제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경북공업연구소보, 4, 29
  14. Sachiko FURUTA (1973). Soiling of Clothing with Fungi (Part 1). Fungus on Fiber and How to Remove Them. Journal of Home Economics, 24(3), p.29
  15. Borr De Long & Trephehorn (1981). An introduetion to the study of insect(5th edition), Sanders college Publishing
  16. UNESCO (1968).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Paris, UNESCO
  17. 안춘순, 조한국, 검정완 (1996). 화성 구포리 출토복식의 섬유외 물질 분석에 관한 소고. 복식 14
  18. 민경회 (1984). 섬유질 문화재의 미생물에 의한 훼손. 보존과학연구, 5, 문화재관리국
  19. K. Nisizawa, J. Fermet (1974). Technol.
  20. 홍정민 (1993). 견섬유에 번식하는 Aspergillus fuunigatus와 Penicillium citrinum에 대한 방미제의 항균효과. 대한가정학회지, 31(2), p,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