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lain Weaved Silk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Shown in Takjijunjeol

"탁지준절"에 기록된 조선 말기 평견직물에 관한 연구

  •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 이은진 (배화여자대학 전통복식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character of Plain Weaved Silk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from Takjijunjeol(탁지준절) are as follows. 1. Plain Weaved Silks recorded in Takjijunjeol(탁지준절) are Ju(주) 22 types, Cho(초) 13 types and Gyeon(견) 3 types. This is same as previous research where Ju(주) and Cho(초) were subdivided and diversified at the end of Joseon Period, but Gyeon(견) gradually disappeared, leaving only Ju(주) and Cho(초) 2. Plain weaved silks whose character have been examined are Gajiju(개지주), Nujuju(노주주), Nobangju(노방주), Bangsaju(방사주), Simnyangju(십량주), Hapsaju(합사주), Suju(수주), Toju(토주), Sukcho(숙초), Ryeoncho(연초), Gungcho(궁초), Byeol$$\mu$goyeongcho(별문고영초), Hujigyeon(후지견), 3.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values and value scales written in Takjijunjeol(탁지준절), Ju(주) had various kinds of silks and Ju(주) are classified by qualities into two groups, the higher qualified group A or the lower qualified group B. On the contrary, Cho(초) and Gyeon(견) had only a few kinds, not as many as Ju(주), but all were high quality. Among them the most valuable plain weaved silks were Seoyang$$\mu$ju(서양문주), Hapsaju(합사주), Byeol$$\mu$goyeongcho(별문고영초). 4. According to Pobaekcheok(포백척) of Takjijunjeol(탁지준절) which shows real sizes, Ju(주) had various length and widths, but Cho(초) had one unified length and width.

Keywords

References

  1. 度支部. 度支準折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 운영위원회 編(1994). 古文書集成 12.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朝解總督府 (1915). 朝鮮彙報. 3月
  4. 박성훈 (1999). 度支準折의 借名 表記 硏究. 한자한문교육, Vol.5, p. 186
  5. 陳維稷 主編(1984). 中國紡織科學絲綢技術史. 北京: 科學出板社, pp. 91-94
  6. 조효숙 (2001).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p. 148
  7. 조효숙 (1993). 韓國絹織物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109-113
  8. 세종실록 권27. 7년 2월 11일 (신해). 使臣內官尹鳳朴實入京
  9. 세종실록 권27, 7년 2월 14일 (갑인). 尹鳳以貿易
  10. 세종실록 권27. 7년 2월 22일 (임술). 尹鳳所出
  11. 성종실록 권110, 10년 윤10월 9일 (신유). 使臣日
  12. 정조실록 권2, 즉위년 10월 27일 (을축). 賜朝鮮國王妃禮物大蟒緞二疋
  13. 정조실록 권15, 7년 2월 27일 (무자). 參宴諸臣並皆賞 賜亦及於臣等賜臣鄭存謙議錦三匹漳絨三匹小卷八絲緞五匹小卷五絲宮紬五匹
  14. 순조실록 권5, 3년 2월 27일 (임진). 詔曰皇帝勅諭朝鮮 國王
  15. 高春明 編著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p. 502
  16. 王壯穆 主編 (1996), 中國絲綢辭典. 北京: 中國科學技術出版社. pp. 148-155
  17. 중종실록 권97, 36년 12월 29일 (경진)
  18. 세종실록 권36, 9년 10월 (계미)
  19. 민족문화추진회 編 (1977). 五洲衍文長箋散稿.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2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873
  21. 서울대학교규장각 (1995),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續集 史部2. 서울: 서울대학교규장각, p. 138
  22. 度支部. 度支準折., p. 156
  23. 이은경 (1994). 韓國과 中國의 布帛尺에 關한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89
  24.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2c). 한국한자어사전 3.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940
  25. 박성훈 (1999). 度支準折의 借名 表記 硏究. 한자한문교육, Vol.5, p. 192
  26. 송시열 (1689). 宋書續拾遺 附錄 卷2
  27. 亞細亞文化社 編 (1974), 譯語類解. 서울: 亞細亞文化社, p. 151
  28. 度支部. 度支準折, p. 6
  29.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編 (1966a). 林園經濟志 1. 서올: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p. 504
  30. 이상보 주해 (1993). 春香傳. 서울. 범우사. p. 19
  31. 김영자 외 3 (1999). 19.20 世紀 出土服飾과 풍속 朝鮮時代服飾硏究. 서울: 학연문화사, p. 131
  3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 운영위원회 編(1994). 古文書集成 12.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6, 23
  33. 度支部. 度支準折, p. 6. 10-13
  34. 度支部. 度支準折, p. 3
  35. 朝鮮總督府 (1930). 朝鮮總督府中央試驗所報告. p. 5
  36. 度支部. 度支準折. p. 9
  37. 한국학문헌연구소 編 (1980). 才物讀. 서울: 亞細亞文化社, p. 622
  38.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編 (1966a). 林園經濟志 1. 서올: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p. 501
  39. 度支部. 度支準折, p. 3, 9-10
  40. 고부자 (1993), 高陽市 幸信洞 出土 陽川許氏 遺物小考. 韓國服飾. Vol.11. p. 147, 150, 152, No.7596(삼회장저고리). No.7599(누비저고리), No.7601(누비치마)
  41. 박성실 (1994). 天安出土 豊山洪氏 遺物小考. 韓國服飾. Vol.12. p.133, 142. No.7765(겹중치막), No.7766(겹중치막). No.7788(겹금)
  42. 조효숙 (2001).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p. 149
  43. 寺田商太郞 (1986). やさしい織物の解說. 東京: 織維硏究社. pp. 198-199
  44. 中村耀 (1955). 織維の實際知識. 東京: 東洋經濟新報社, p. 245
  45. 菱山衝平 (1933). 衣服材料の基礎知識. 東京: 文光社, p. 536
  46. 寺田商太郞 (1986). やさしい織物の解說. 東京: 織維硏究社., p.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