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bandoned Salt field in Gasado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is ecological study investigated the vegetation changes of abandoned salt field, 21 plots(1${\times}$lm, 1${\times}$2m) set up by the methods of Braun-Blanquet and Elenberg in a coastal island, Gasado, Jindogun, from July to September,2002. The vascular plants of abandoned salt field in the surveyed site identified 17 families and 48 species. Of these species, halophytes and mesophytes were 20(42%) and 28(58%) species. In addition, the disturbance to this habitat led to the change of halophytes in abandoned sald field, exotic plants was distributed 23 species, which included Dactylis glomerata, Conyza canadensis, Oenothera odorata, Cosmos bipinnatus, etc., in the group of, mesophytes were 20(71%) species, vegetation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3 community types, i.e. the halophyte grassland community(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Spergularia marina community), the wetland grassland community(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Carex scabrifolia community, Phaceturus latifolius var. angustifolius community), and the mesophyte grassland community(Erigeron bonariensis community, Daucus littoralis var. koreana community). Each communities was described the structual,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vegetation in the abandoned salt field, the vegetation table and actual vegetation map were prepared.

본 조사는 2002년 7월부터 9월까지 진도군 가사도에서 도서연안 폐염전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Braun-Blanquet and Elenberg의 방법에 따라 21개의 방형구(1${\times}$1m, 1${\times}$2m)를 설치하여 생태학적 조사하였다. 조사된 폐염전의 관속식물은 17과 48종이며, 이중에서 염생식물은 20종(42%), 중성식물은 28종 (58%)이 나타났다. 또한 폐염전에서 서식지의 교란은 염생식물의 교란으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에서 귀화식물은 오리새, 달맞이꽃, 망초, 코스모스 등의 23종이 분포하고, 이중에서 중성식물이 20종(71%) 분포하고 있었다. 식생군락은 염생식물 초지군락은 갯질경군락, 갯개미자리군락, 칠면초군락, 습지 초지군락은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가는잎모새달군락, 중성 초지군락은 실망초군락과 갯당근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락들의 폐염전에서 식생의 구조, 분포,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고, 식생표와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준민, 김철수,박봉규(1987) 식생조사법 -식물사회학적 연구법- 일신사, 서울. 170 쪽
  2. 김준호, 김훈수, 이인규,김종원. 문형태, 서계홍,김원, 김도원,유순애,서영배,김영상 (1981) 낙동강 하구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 자연대 논문집. 7: 121-163
  3. 김준호,민병미 (1983) 해변 염생식물 군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III) . 한국식물학회지 26: 53-59
  4. 김철수(1971) 간척지 식물군락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14: 163-169
  5. 김철수 (1975) 갈대군락의 현존량과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18: 129-134
  6. 김철수, 송태곤(1983)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6: 167-176
  7. 김철수,송태곤(1985) 금호도와 산이반도의 식생연구.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2: 1-22
  8. 김철수,임병선(1988) 한국서해안 간석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1: 175-192
  9. 김철수, 장윤석 , 오장근(1987) 우이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연안생물연구 4: 1-56
  10. 문병채 (2001) 가사도의 자연 및 인문경관자원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13: 9-30
  11. 민병미(1985) 한국 서해안 간척지의 토양과 식생변화.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44쪽
  12.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도감. 일조각, 서울, 371쪽
  13. 오경환, 임병선(1983) 섬진강 하구 염습지 갈대군락의 생산성과 토양양분의 계절적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6: 90-97
  14. 이우철. 김상근. 김준민 (1982)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보고서. 6-13쪽
  15. 이점숙(1989)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염습지의 조위 균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정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3쪽
  16. 이창복(199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쪽
  17. 임병선, 이점숙(1986) 염습지 환경변화에 따른 퉁퉁마디와 칠면초의 적응. 환경생물지 4: 15-25
  18. 임병선(1987) 해안 간사지 토양환경에 따른 식물의 분포와 생장. 목포대학교 연안환경연구 4: 71-79
  19. 임병선(1989) 토양의 수분포텐셜과 식물의 삼투조정 능에 의한 해안식물군락의 분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6쪽
  20. 임병선, 이점숙, 김하송, 곽애경, 임현빈(1995) 만경강과 동진강의 염생식물 분포. 목포대학교 연안환경연구 12: 11-28
  21. 임병선, 이점숙, 김하송, 김종욱, 이승호 (1999) 영덕연안의 사구 염생식물 분포와 현존량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연안환경연구 16: 15-22
  22. 환경부(1998) 서남해안 갯벌 생태계 조사보고서. 221쪽
  23. 환경부(2001)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 129쪽
  24. 사기유길(寺崎留吉)(1977) 사기일본식물도증(寺崎日本植物圖譄). 평범사(平凡社). 일본(日本),1181쪽
  25. 목야부태랑(牧野富太郞)(1979) 신일본식물도감(新日本植物圖鑑). 북육관(北陸館). 1137쪽
  26. 정태현 한국식물도감(목 . 초본류). 삼화출판사. 서울. 1824쪽
  27. Armstrong, W., E.J. Wright, S. Lythe and T.J. Gaynard.(1985) Plant zonation and the effect of the spring-neap tidal cyc1e on soil aeration ina Lumber salt marsh. J. Ecol. 73: 323-339 https://doi.org/10.2307/2259786
  28.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29. Chalmers, A.G. (1982) Soil dynamics and the productivity of spartina alterniflora. In;Estuarine comparisons. Kennedy, U.S.(ed.), Academic press, New York, 28: 118-152
  30. Cooper, A.C(1982) The effects of standing water and drainage potential on the Spartina alterniflora-substrate complex in a North Carolina marsh. Estua. Coast. Mar. Sci. 11: 41-52
  31. Ellenberg, H(1956)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p
  32. Ihm, B.S. and Lee, J.S.(1998)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col. 21: 321-328
  33. Gerritsen, j. and H.S.Greening.(1989) Marsh seed banks of the Okefenokee Swamp ; Effects of hydrologic reime and nutrients. Ecology 70: 750-763 https://doi.org/10.2307/1940225
  34. Ohwi Jisaburo(1984) Flora of Japan. 1066pp
  35. Ranwell, D.S(1972) Ecology of salt marsh sand dune. Chapman and Hall, London, 25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