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동태

  • 유종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Species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marine benthic community were studied in the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A total of 75 species of benthic marine plants including 4 Cyanophyta, 6 Chlorophyta, 17 Phaeophyta, 47 Rhodophyta and 1 Magnoliophyta are listed. The dominant marine plants were melobesioidean algae, Chondracanthus tenellus, Sargasium thunbergii, Corallina spp., and Phyllospadix japonica and Ulva pertusa was added in summer. Chthamalus challengeri and Mytilus edulis were dominant zoobenthic species in the upper and middle intertidal zone. The algal species diversity index based on coverage was 1.81; 2.25 from frequency; 2.19 from average of total frequency and coverage, and 1.80 from importance value. The algal diversity indices estimated from different sources were quite different. This means that the index value changes depending on the sources used to calculat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indicating how important it is to select the based data and tha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methodology when studying later the algal diversity index.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species identified in this study has been found to be reduced by 65% at highest,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was conducted in the coast of Busan.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종조성, 군집구조, 종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부착해산식물의 출현종수는 남조류 4종, 녹조류 6종, 갈조류 17종, 홍조류 47종, 해산종자식물 l종으로 총 75종이 관찰되었다. 부착해산식물 우점종은 melobesioidean algae, Chondracanthus tenellus, Sargassium thunbergii, Corallina spp., Phyllospadix japonica 5 종이었고, 여름에 Ulva pertusa가 추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서동물은 Chthamalus challengeri and Mytilus edulis 가 조간대 상부와 중부에 우점하는 단순한 분포를 보였다. 한편 해조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빈도, 피도, 빈도와 피도 합 그리고 중요도를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각각 1.81, 2.25, 2.19, 1.80로 나타났다. 이는 종다양성지수의 계산을 위한 기준자료에 따라 값이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후 종다양서지수를 논할 때 기본자료 선택의 중요성과 방법론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류된 해조류 종수는 부산연안에서 기 조사된 결과와 비교할 때 최고 65%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산학회지 v.26 남해의 하계 해조군집, 1.조간대 강래선;제종길;홍재상
  2.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 조간대 해조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김영환
  3. 부산수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인근해역 해조식생의 특성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김형근
  4. 한국수산학회지 v.32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 남기완;김영식
  5. 한국항해만학술지 v.26 부산지역 워터프런트의 기후 특성에 관한 연구 도근영;이한석;고성철;현범수;유종수
  6. Ocean Res. v.25 부산 연안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스크리닝 서영완;유종수 https://doi.org/10.4217/OPR.2003.25.1.129
  7.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9 해조류 내 ${Na}^+$ 챈널 차단 생리활성 물질의 측정 유종수;천병수;김남길
  8. 부산수산대학 임해연구소 연구보고 v.4 해운대 동백섬의 해조상 및 해조군락 이기완;강제원
  9.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이용필;강서영
  10. 한국조류학회지 v.1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이인규;강제원
  11. 생물자원의 보전, 연구 및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전략 한국의 생물다양성 이인규;김계중;조재명;이도원;조도순;유종수
  12.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종합연구소논문집 v.9 한국해안지역의 저서생물군집에 관한 연구.Ⅱ. 동남해안의 군집구조에 관한 정서정량적 분석 이인규;김훈수;고철환;강제원;홍성윤;부성민;김일희;강영철
  13. 한국조류학회지 v.6 남해 청산도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이인규;최도성;오윤식;김광훈;이재완;김광용;유종수
  14. 한국 생물종 문헌 조사연구 이인규;최청일;유종수;이상돈
  15.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 동해안 조간대의 해조류 군집구조와 지리적 분포 이재완
  16. Seaweed Rescoures of the World Critchley,A.T.;M.Ohno
  17. Bull. Pusan Fish. Coll. v.7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Kang,J.W.
  18. Korea, Algae v.18 An ecological study of the marine algal community at the coast of Taean Thermal Power Plant Kim,Y.H.;J.S.Yoo
  19. Cheju Univ. Jour. v.5 Observation of algal community near Dongbeaksum, Haeundae Lee,K.W.
  20. Biotechnology of Useful Seaweed Notoya,M.
  21. Bot. Mag. Tokyo v.6 On the marine algae of Fusanpo Okamura,K.
  22. Board of Trustees of Univ.Ⅲ.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hannon,C.E.;W.Weaver
  23. Algae v.18 Bio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the rocky shore of Dongbaekseom Yoo,J.S. https://doi.org/10.4490/ALGAE.2003.18.3.225
  24. Ocean Res. v.21 Seasonal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ies in intertidal zon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Yoo,J.S.
  25. Pro. Coll. Natur. Sci. SNU. v.5 A study on the algal communities in the south coast of Korea Yoo,S.A.;Lee,I.K.
  26. 藻場の海藻と造成技術 有登谷正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