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dolescents' Level of School Adjustment by Their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 and Teachers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최지은 (동덕여자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신용주 (동덕여자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relationships of the adolescents with their parents, peer and the teacher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5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major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bout sixty percents of the respondents came from middle-class families who were being brought up by their parents. 2.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degrees of relationship of the respondents with their parents and peer were higher than moderate, while the degrees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was found to be moderate. 3. The adolescent' overall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found to be at a moderate level. 4. The adolescents' levels of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d by birth order, father's occupations, family structures,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grade point average and religion. 5.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yielded the results that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relationship with the peer, father's caring, birth order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On the bas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enhanc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1.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guidance and counsel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2. Parents education focused on fatherhood should be more emphasized.

Keywords

References

  1. 고남숙(1997). 초등학교 아동의 부모-자녀 관계와 자아 개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자은(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미(2000). 청소년의 또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림(2000). 사회성 증진프로그램이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소아, 청소년의 또래관계, 소외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소혜(1995). 국민학교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배기명(1983). 고등학생의 가정환경에 따른 적응문제 및 적응기제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배숙진(1998). 청소년에게 지각된 부모의 양육 태도, 자아개념, 학교 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춘(1984). 청소년 문제와 노인 문제. 서울: 정음사
  9. 이강선(1999).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학교생활 적응.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정순(1996). 학생의 가정문화와 문화습성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춘재(1988).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2. 이호선(2000). 아동의 또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혜령(2000). 고등학생의 가정환경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유진(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호성(1987). 자아개념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유진(1999). 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의 관련 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선일보, 2002. 7 . 28일자. 청소년 가정생활
  18. 주현정(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영자(1999).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폭력 비행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통계청(2001). 졸업생의 진학률
  21. Bronfenbrenner, U. & Mahoney, M. A. (1975). Influences on human development(2nd ed.). Hinsdale, III: The Dryden
  22.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 723-742 https://doi.org/10.1037/0012-1649.22.6.723
  23. Emery, R. E.& O' leary, K. D. (1984). Marital discord and behavior problems in a nonclinic sampl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0, 215-228 https://doi.org/10.1007/BF00915942
  24. Felner, R. D. & FeIner, T. Y. (1989). Primary prevention programs in the educational context: A transactional ecological framework and analysis in L. A. Bond & B. E. Compas (Eds.). Primary prevention promotion in the schools. Newbury Park, CA: Sage
  25. Hartup, W. W. (1992). Peer relations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NY: Plenum press
  26. Hurlock, E. B. (1973). Adolescence Development. NY: McCraw Hill
  27. McLoyd, V. C. (199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1, 311-346 https://doi.org/10.2307/1131096
  28. Medinnus, G. R.(ed.) (1967). Reading in the psychology of parent-ehild relations. N.Y.: John Wiley
  29. Perry, D. G. & Bussey, K. (1984). Social development. NJ: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30. Santrock, J. W. (1990). Adolescence: An international. Dubuque, Iowa:Wm. C. Brown
  31. Skeels, H. M. (1966). Adult status of children wit contrasting early life experiences: A follow up study,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erial No.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