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and Family Relational Variabl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청소년의 개인변인과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변인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정자 (동아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general trends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and problem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examine possible changes in such trends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 variables of adolescent, and then find out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e subject were 1374 adolescents of middle school in Busan(male 698, female 676).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General trends in the degree of parental monitoring showed that girls had more high than boys, and in the degree of family discord, boys showed more high than girls. In the degree of opennes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showed that girls had more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than boys. Such trends in problem behaviors indicated that adolescents had the attention problem most. According to gender, girls had more problems in withdrawal, somatic complain, anxiety/depression, thought problems, attention problems, destructivity/identity,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in comparison to boys. Boys did delinquent behaviors more than girls. (2) For boys, the monthly income of their family, family discord, and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Besides mother's employment and the type of family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behavior problem. For girls, mother's employment, parental monitoring, family discord,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s. Mother's employment, family discor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Bisides mother's employment, grade, the type of family, dating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behavior problem. (3) The variables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arental monitoring showed as the monthly income of their family, dating, mother's employment, the type of family, the family discord showed as mother's employment o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howed as the type of family. (4) Family discord was the most powerful predicator of problem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아(1997). 부모의 자녀학대와 청소년의 부적응,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현미 (1999).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커뮤니케이션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계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상미 (2000).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고성혜(1994). 청소년기 가족문제-청소년이 겪고 있는 가족내 문제의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5. 권혜진, 윤종희(1992). 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4(1), 167-177
  6. 권권혜 (1993 ). 모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기광도 (2001). 사회계층과 범죄행위간의 관계 : 자녀양육 및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경화(1989 ).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검두섭, 민수홍(1996). 개인의 자기통제력이 범죄 억제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0. 김두식 (2000). 비행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비행성향 및 자살충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명자, 이정우, 계선자, 박미석, 박수선(2000). 새밀레니엄에서의 청소년 문화창조를 위한 생태학적 지원체계(II) 청소년 자녀와 부모가 인지한 가족의 심리적 환경 비교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9), 41 -55.
  12. 김선미(1995). 가족관계와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순옥(1995). 10대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의사소통행위 분석-부모교육과 관련하여- 대한가정학회지, 33(6), 1-10
  14.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의 관계. 서울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연수(2000).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과 개선방안. 동국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김오남(1994).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의사소통유형과 가족 스트레스.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오남, 김경신(1994).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의사소통유형 지각과 가족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32(3), 105-119
  18. 김윤정 (1999 ). 우울성향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 김인희(1993). 성격변인이 추적과제 수행에 미치는영향: 충동성과 신경증적 경향성을 중심으로.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정미 (1998).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검정희 (1987). 어머니와 자녀간의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자녀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주분 (1994). 어머니-자녀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김준호, 김은경 (1995). 여자청소년의 비행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김진숙 (1984). 어머니와 청소년기 자녀와의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자녀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진희 (1989 ). 부모-청소년 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혜영 (2000).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남현미 (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노숙영 (1998). 중학생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정서 및문제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문영송 (1991). 가정환경과 소년비행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민혜영 (1990). Circurnplex M여el과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청소년 자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박은주 (1994). 어머니와 청소년기 자녀의 의사소통유형과 가족 응집력 및 적응성.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성수(1991). 가정교육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심층적면접에 의한 분석.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3. 박용규 (2000 )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박임규(1998 ). 청소년 비행과 가정환경 요인의 관계연구.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진경, 도현심 (2001) 어머니의 감독 (monitoring ) 및감독방법이 청소년의 외현화. 내변화 행동에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12), 129-140
  36. 방문희 (1991).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백연화(1998). 가족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서선주 (1999). 아등의 역량지각과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20(3), 97-106
  39. 송광섭 (1998). 범죄학과 형사정책 서울: 유스티니아누스
  40. 신수정 (1994).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신효식, 이경주(1990). 청소년기 자녀의 아버지와의커뮤니케이션과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42. 양정화(1996).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학생, 교사,부모의 의견 차이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오미경 (1997).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위험행동간의 관계. 이동학회지, 18(1), 109-123
  44. 오연옥 (1988). 사춘기 자녀와 어머니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옥선화 (1985). 자녀문제와 대책-청소년 자녀와 부모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박금순 편저.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 보이스사
  46. 우대식 (1992).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지각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윤덕중 (1984). 범죄 사회학. 서울. 박영사
  48. 이결남 (1989). 어머니와 여고생간의 커뮤니케이션형태 및 대화내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미애 (2001). 우리나라 보육시설 아동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50. 이경주 (1989). 어머니의 청년기 자녀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자녀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이 금 (1993).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의사소통 만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이상수 (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수준, 반발심 및 문제행동의 관계.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은아(2000). 청소년의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심리적 행동적 부적응.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이현순 (1983 )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공격성에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장호선 (1987). 부모-자녀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청소년기 자녀를 중심으로- 성심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정유미 (1997).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조아미, 권두승 (1998). 자아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5(3)
  58. 최영화(2003),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유형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홍경자(1995).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유형 및 성별이 중학생의 갈등표출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홍연표 (1998). 청소년비행 문제해결을 위한 학교 교육 재정립 방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홍연표(1998). 청소년비행 문제해결을 위한 학교 교육 재정립 방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2. Achenbach, T.M. (1991b).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Univ.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63. Achenbach, T., & Edelbrock, C.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Thomas Achenbach
  64. Barber, B. K. (1992). Family, Personality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1), 69-79 https://doi.org/10.2307/353276
  65. Barnes, L.H & Olson, D.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Olson, D.H., McCubbin, H.I., Barnes, H., Larson, A., Muxen, M.& Wilson, M.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M.N.: Univ. of Minnesota
  66. Belson, W.A. (1975). Juvenile Theft: The Causal Factor. London: Harper & Row
  67. Bolger, N., Delongis, A., Kessler, R. C., & Wethington, E. (1989). The Contagion of Stress Across Multiple Ro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175-183 https://doi.org/10.2307/352378
  68. Cernkovich, S.A. & Giordano, R.C. (1987). Family Relationship and Delinquency. Criminology, 25, 295-321 https://doi.org/10.1111/j.1745-9125.1987.tb00799.x
  69. Clark, J. P. & E. P. Werminger (1964). Socio-economic Class and Area as Correlates of Behavior among Juvenil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7, 826-834 https://doi.org/10.2307/2090410
  70. Crouter, A. C., Helms-Erikson, H., Updegraff, K., & McHale, S. M. (1999). Conditions Underlying Parents' Knowledge about Children's Daily Lives in Middle Childhood: Between- and within- Family Comparisons. Child Development, 70, 246-259 https://doi.org/10.1111/1467-8624.00018
  71. Galvin, K.M. & Brommel, B.J. (1986). Family Communication-Cohesion and Change. 2nd ed. illinois: Scott, Foresman & Company
  72. Gibbs, J. J., D. Giever, and J. S. Martin. (1998). Parental Management and Self-Control: An Emporical Test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5, 40-70 https://doi.org/10.1177/0022427898035001002
  73. Gold. (1963). Status Forces in Delinquent Boys. Ann Arbor: Univ. of Michigan Press
  74. Grotevant, H.D. & Cooper, C.R. (1986). Individuation on Family Relationships. Human Development, 29, 82-10 https://doi.org/10.1159/000273025
  75. Hetherington, E.M. & Parke, R.D. (1986). Child Psychology: A Contemporary Viewpoint. 3rd ed. N.Y.: McGraw-Hill
  76. Hirschi, Travis. (1969). Causes of Delinquency. Univ. of California Press
  77. Hovland, N.H. (1953).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Univ. of Yale Press
  78. Jensen, G.P. (1972). Parents, Peers and Delinquent Action: A Test of the Differential Association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562-575 https://doi.org/10.1086/225364
  79. Kerr, M. & Stattin, H. (2000). What Parents Know, How They Know It, and Several Forms of Adolescent Adjustment: Further Support for a Reinterpretation of Monitor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6(3), 366-380 https://doi.org/10.1037/0012-1649.36.3.366
  80. Loeber, R. & Stouthamer-Loeber, M. (1986). Family Factors as Correlates and Predictor of Juvenile Conduct Problems and Delinquency. In M. Tonry and M. Morris(ed). Crime and Justice: An Annual Review of Research, 7, 29-149
  81. McCord, Joan. (1979). Some Child-Rearing Antecedents of Criminal Behavior in Adult 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477-1486 https://doi.org/10.1037/0022-3514.37.9.1477
  82. McCord, J. (1991). Famo;y Relationships, Juvenile Delinquency, and Adult Criminality. Criminology, 29, 397-417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1.tb01072.x
  83. Olweus, D. (1977). Aggression and peer in adolescent boys: Two short-term Longitudinal studies of ratings. Child Development, 48, 13001-1313
  84. Parke, R.D. & Slaby, R.G (1984). The Development of Agression. In E.M. Hetheringto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ization, Personalrity and Social Development, 4, N.Y.: Wiley
  85. Patterson, G.R. (1982). Coercive Family Process: A Social Learning Approach: Eugene: Castalia Publishing Company
  86. Patterson, G.R and T.J. Dishion (1992). Contributions of Families and Peers to Delinquency. Criminology 23: 63-79 https://doi.org/10.1111/j.1745-9125.1985.tb00326.x
  87. Polakowski, M. (1994). Linking self- and Social Control with Deviance: Illuminating the Structure Underlying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its Relation to Deviant Activity. Journal ofQuantitative Criminology, 10, 41-78 https://doi.org/10.1007/BF02221008
  88. Pulkinen, L. (1981). Search for Alternatives to Aggression in Finland. In H.C. Quay(ed), Juvenile Delinquency: 36-99. Princeton, New Jersey: D. Van Nostrand Co. Inc
  89. Quay, H. C. (1972). Psychopathological disorders of childhoo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90. Repetti, R .(1989). Daily Job Stress and Father-Child Interaction.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Kansas City, MO
  91. Richardson, R. A., Abramowitz,R. H., Elliott Asp, C., & Petersen, A (1986).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Early Adolescence : Effects of Family Structure. Journal ofMmriage and the Family, 48(4), 805-811 https://doi.org/10.2307/352573
  92. Smith, D.A. & Paternoster. (1987). The Gender Gap in Theories of Deviance: Issues and Evidence. Th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24,140-172 https://doi.org/10.1177/0022427887024002004
  93. Weintraub, K.J. & Gold, M. (1991). Monitoring and Delinquency. Criminal Behavior and Mental Health, 1, 268-281 https://doi.org/10.1002/cbm.1991.1.3.268
  94. Wells, L. E., and J. H. Rankin. (1988). Direct Parental Controls and Delinquency. Criminology, 2, 263-285 https://doi.org/10.1111/j.1745-9125.1988.tb00841.x
  95. Williams, Frank P. and McShane, Marilyn D. (1994). 박승위 역, 사회문제론, 민영사
  96. Wilson, H .(1980). Parental supervision: A Neglected Aspect of Delinquency.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20, 203-235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bjc.a047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