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tials of Economic Resources in Old Age

노후생활에서의 성별 차이 - 경제적 차원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research on gender differentials of economic resources in old age. The economic resources are assessed by the presence of independent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total income. The study, based on nation-wide survey of the elderly, examines the effects of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household level ones. Also, it compares such effects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 The analysis shows that several variables have gender specific effects. Among them, particularly interesting and important are marital status and coresidence with children. The positive effect of having spouse is greater among female elderly than among male elderly. Also, while coresidence with children among male elderly has insignificant or slightly positive relation to their own economic resources, it has a negative relation among female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male elderly are dependent on their husbands and children. The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on the elderly incorporate gender differentials into models attempting to capture diversity within the elderly population.

이 논문은 노후 경제적 자원이 노인의 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려는 의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노후의 자립적 수입원 보유여부와 수입액을 중심으로 성에 따라 개인적 수준과 가족 및 가구 수준의 변수들이 어떠한 차별적 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1998)' 자료를 이용해 남녀노인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형과 남녀노인별 모형을 동시에 분석해 본 결과 노인들의 성에 따라 그 효과의 크기나 방향이 다른 변수들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두드러진 성별 차이를 보이는 변수들은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여부이다. 배우자유무의 경우. 이 변수가 경제적 자원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정도는 남성노인보다는 여성노인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동거여부는 남성노인들에서는 자신들의 경제적 자원과 무관하거나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반면, 여성노인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는 여성노인들의 배우자에 대한 의존성과 자녀에 대한 의존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들의 성에 따라 이들의 개인적 혹은 가족 및 가구적 특성이 그들의 경제적 자원상황과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노인들의 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는 기제, 혹은 주요변인들에 대한 보다 많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한경혜(2002),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인생전환점. 삶의 맥락. 적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99-126
  2. 김은경(2002), '농촌 여성노인의 문제 및 복지정책을 위한 제언: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여름호: 175-191
  3. 김익기 외(1999), <한국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서울: 미래인력연구센터
  4. 김인숙 외(2000), <여성복지론>, 서울: 나남출판
  5. 문상식. 남정자(2001),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 여성노인의 질병상태, 와병수준, 제한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1(1): 15-29
  6. 박명선(2002), '여성노인의 일과 빈곤: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6(2): 175-204
  7. 박영란. 황정임. 정재훈(2000), <외국의 여성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8. 박인덕. 박정은. 이영세. 김인순(1989), <여성노인의 복지지원을 위한 기초실태조사>,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9. 성향숙(2001), '여성노인복지의 실태와 복지정책의 과제.' <여성학연구> 11(1): 45-62
  10. 유성호(1997), '자녀수와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가 노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결혼상태에 따른 분석,' <한국노년학> 17: 37-50
  11. 이가옥. 서미경. 고경환. 박종돈(1994),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서울 :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2. 이가옥. 이현송. 김정석(2000), '노년기 삶의 질: 지표 개발과 평가,' 세계노인의 날 기념 제6회 학술세미나 발표자료
  13. 이진숙(2001), '여성노인인력의 복지자원화 방안 연구.' <민족문화논의> 24: 149-177
  14. 정경희 외(1998), <199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5. 최선화(1999),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노인의 빈곤 원인,' <한국가족복지학> 통계청(2002). <2000년도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통계청
  16. Calasanti T. M and Zajicek, A. M.(1993), 'A Socialist-Feminist Approach to Aging: Embracing Diversity,' Joumal of Aging Studies 7: 117-131 https://doi.org/10.1016/0890-4065(93)90029-J
  17. Calasanti, T. M.(1996), 'Incorporating Diversity: Meaning, Levels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heory,' The GerontoIogist 36(2): 147-156 https://doi.org/10.1093/geront/36.2.147
  18. Dervarics, C.(1999), 'The Coming Age of Older Women' Population Today 27(2): 1-2
  19. Gibson, D.(1996), 'Broken Down By Age and Gender,' Gender and Society 10(4): 433-448 https://doi.org/10.1177/089124396010004005
  20. Kim, Cheong-Seok and Ka-Oak Rhee(2000), 'Correspondence between Actual Coresidence and Desire for Coresidence among the Elderly in Korea,' Hallym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2(1): 36-48 https://doi.org/10.2190/HA2.1.d
  21. McMullin, J. A.(2000), 'Diversity and the State of Sociological Aging Theory,' The Gerontologist 40(5): 517-530 https://doi.org/10.1093/geront/40.5.517
  22. Pampel, F.(1998). Aging, Social Inequality and Public Poticy. CO, Boulder: Pine Forge Press. 김정석. 김영순 공역. 2000. '노년 불평등과 복지정책'서울: 나눔의 집
  23. Stuckelberger, A.(1997), 'Men and Women Age Differently,' WorId Health 4: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