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rvatory Effect of Sweet Persimmons, Mandarin Oranges and Apples Stored in the Ear-Infrared Radiated Chamber

원적외선 방사체 시설내에 저장한 단감, 감귤 및 사과의 선도유지효과

  • 정준호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조성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Such fruits as nut persimmons, mandarin oranges and apples stored in the far-infrared radiated chamber at 5$^{\circ}C$ under 90% of relative humidity had been maintained in the fresh state for longer times than the control stored only in the cold chamber. Fruits stored in the far-infrared radiated chamber showed lower values in weight loss rate, microbial colony count and decay ratio and higher ascorbic acid content than the control stored only in the told room through the storage period. We confirmed that fruits stored in the far-infrared radiated chamber under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showed least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through the storage period and the far-infrared radiated facilities could be a good storage system.

과일류(단감, 감귤, 사과)를 습도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방사체 저장고(5$^{\circ}C$의 온도와 90%의 상대습도)에 저장한 결과 과일류의 선도유지기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중량손실율은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저장한 과일류가 중량손실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습도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과일류를 저장함으로서 과일류의 수분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정기간동안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저장함으로써 ascorbic acid함량의 감소를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비율로 억제할 수 있었다. 총균수의 경우 과일류 시험구에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서 저장할수록 오염미생물의 총균수가 낮게 나타났다 표면색도의 경우, a값은 모든 시험구에서 감소하였으며 원적외전 방사체 시험구에 비하여 대조구 저장시료의 표면색도가 청색도를 증가시키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고, b값은 시료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없이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율은 수분 함유율이 높은 과일(감귤)일수록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부폐율을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 pH의 변화는 채소류를 저장하는 기간이 증가할수록 pH는 더 낮아겼고, 대조구에 비해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의 시험구의 pH는 변화율은 적었다. 따라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시설내에 단감, 감귤과 같은 과일류를 저온고습도상에서 저장할 경우, 과일류의 품질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갓 수확한 과일류의 선도유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저장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hung, Y.R., Benner, D.J., Steigerwalt, A.G., Kim, B.S., Kim, H.T. and Cho, K.Y. (1993) Enterobacter pyrinus sp. nov., an organism associated with brown leaf spot disease of pear trees. Int. J. Sys. Bacteriol., 43, 157-160 https://doi.org/10.1099/00207713-43-1-157
  2. Eckert, J.W and Ogawa, J.M. (1998) The chemical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s : deciduous fruits, berries, vegetables, and root/tuber crops. Annu. Rev. Phytopathol., 26, 433-469 https://doi.org/10.1146/annurev.py.26.090188.002245
  3. Wisniewski, M.E. and Wilson, C.L. (1992) Biological control postharvest disease of fruits and vegetables. Hort. Science, 27, 94-98
  4. 박무현 등 (1999) 농산물저장유통기술 핸드북. p.747-p.749 한국저장유통학과, 대구광역시, 송현종합문화사
  5. Sharples, R.O. and Johnson, D.S. (1987) Influence of agronomic and climatic factors on the response of apple fruit to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Hort. Science, 22, 763-766
  6. 정현식, 최종욱 (1999) CA저장중 후지 사과의 내부 기체농도에 의한 저장조건의 적합성 판단. 한국식품과학회지, 31, 1295-1299
  7. Smith, S., Geeson, J. and Stow, J. (1987) Production of modified atmospheres in decidous fruits by the use of film and coattings. Hort. Science, 22, 772-776
  8. 황용수, 김요한, 이재창 (1998) 수확 후 키토산 및 왁스처리와 에틸렌제거가 쓰가루 사과의 정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9, 579-582
  9. Park, V.S., Na, T.S., and Lee, K.M. (1997) Effects of $O_2$ and $CO_2$ treatments within polyehtylene film bags on the fruit quality of non-astringent 'Fuyu' persimmon fruits during storage. J. Kor. Soc. Hort. Sci., 38, 510-515
  10. Lee, Y.J., Lee, Y.M., Kwon, O.C., Jeong, S.J., Lee, Y.B., Cho, Y.S., Park Y.M., and Kim, T.C. (2000) Effects of fruit size and PE film area on skin blackening and flesh browing discoloration in MA storage of 'Fuyu' persimmon fruig. J. Kor. Soc. Hort. Sci., 41, 71-74
  11. Shin, I.S., Lee, S.K., and Park, Y.M. (1994) Factors involved in discoloration of non-astringent 'Fuyu' persimmon fruits. J. Kor. Soc. Hort. Sci., 35, 155-164
  12. Yang, Y.J., Choi, S.J., and Lee, C.J. (1999) Effect of exposure to elevated $CO_2$ atmosheres on fruit discoloration during cold storage of 'Fuyu' persimmon. J. Kor. Soc. Hort. Sci., 40, 352-354
  13. Park, Y.S. (1999) Changes in the incidence of fruit skin blackening, phenolic acids, and ethanol production of non-astringent 'Fuyu' permission fruits during CA and MAP storage. J. Kor. Soc. Hort. Sci., 40, 83-87
  14. Park, Y.M., Lee, S.K., and Lee, Y.J. (2000) CA and MA injuries of fruits under cold storage. J. of Working Group on Postharvest Horticulture, 9, 3-19
  15. 고정삼, 양영택, 송상철, 김성학, 김지용 (1997) 처리조건에 따른 조생온주밀감의 저종저장특성. 한국농화학회지, 40, 117-122
  16. 조정삼, 김민 (1996) 제주산 만감류 청견의 저온저장.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3, 15-21
  17. 고정삼, 양상호, 김성학 (1996) 제주산 홍진조생의 저종저장,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3, 105-111
  18. 윤창호 (1991) 제주산 온주밀감의 CA저장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34, 14-20
  19. 이종근, 김종옥, 백용혁 (1996) 세라믹스원론. 반도출반사
  20. Kim, S.H., Choi, H.Y. and Bae, W.T. (200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hysical and hygroscopical properties of autoclaved light weight concerte(ALC) with hwang-toh powder. Korean J. Architectural Institute, 18, 78-85
  21. Shin, Y.H. and Cho, S.H. (2001)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quality of apples and pears harvested in Gyeongnam, Korea. Korean J. Posthavest Sci. Technol. 8, 269-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