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Airspace Design Criterions Affecting on the Flight Safety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공역설계기준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양한모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부) ;
  • 유광의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부)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The airspace has to be designed considering the flight safe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aircraft operators.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ICAO) published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for safe design of the airspace. Each contracting country must follow the ICAO standards in designing the airspace for the utilization of civil aviation. Normally each member establishes its own standards and national aviation law for the safe and efficient design of the airspace, regarding the ICAO standards. However, our government has not developed yet clear and detailed standards and regulation system for airspace design. This might lead to aviation accidents and disputes between operators of aviation system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ICAO standards and a legal problem related to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irspace design. Specifically this research analyzed the case of airspace design and operation of a domestic airpor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1) per the safety of civil aviation, it is very required to establish national regulation system to follow ICAO standards in designing airspace, (2)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separate procedure for civil aircraft in military air base, when the aerodrome is co-used by military and civil aircraft. If the same procedure for military aircraft is applied to civil aircraft,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what the design concept is, (3) and the differences from ICAO standards have to be publicly known.

공역은 항공기 운항의 기반으로서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공역은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되어져야 하며. 국제민간항공의 운송에 적합하여야 한다. 따라서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는 조약 체약국들에게 자국에 활당된 책임공역 내에 항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공역들을 지정하도록 의무화하였으며, 각각의 공역의 설계는 국제적 기준에 따라 자국의 법령과 기준을 정하고 이에 따라 자국에 할당 된 공역 내에서 공역을 설계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는 공역설계 기준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법령 체계나 적용 상에 많은 미비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공역설계기준의 제정과 적용이 불완전한 상태에서는 공역설계가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기준의 적용이 법률적 문제가 될 수 있는 동시에 항공기 사고 시에 배상책임의 소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공역설계기준의 적용에 따른 법적 문제와 국제적 기준의 특성을 고찰하고. 국내 공항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공역설계기준의 적용이 비행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기준을 적용하여 공역설계기준을 제정하여야 하며 이규정 내에 군 공항의 공역설계는 예외로 함을 명시하여야한다. 둘째, 군 비행장으로서 민간항공기가 이용하는 군 비행장에는 ICAO 기준에 따라 공역을 설계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ICAO의 기준에 따라 공역을 설계할 수 없어 군 절차를 이용 할 경우에는 해당 절차도면에 설계의 근거를 밝혀야 한다. 셋째, 위의 방안의 시행을 위한 준비기간 동안에는 항공정보간행물이나 민간항공기가 이용하는 군 비행장의 절차도면에 해당절차의 설계기준이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기준과 다른 절차임을 명시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항공법 건설교통부
  2. 항공정보간행물(AIP) 건설교통부
  3. 법률학사전 법률출판사
  4. 법학통론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5. 항공우주법학회 논문집 v.12 no.12 공항 및 공역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양한모;김병종
  6. 한국항공운항학회 논문집 v.9 no.1 한국의 항공로 설계의 적 근거에 관한 연구 양한모;신홍균
  7. 한국항공운항학회 논문집 v.6 no.1 항공운송을 위한 공역관리제도의 효율성 증진에 관한 연구 양한모;신홍균
  8. 국제법 개정2판 유병화
  9. Airspace Management Handbook - Guidelines FAA
  10. Airspace Management Handbook - Metrics FAA
  11. Air Traffic Control(7110.65M) FAA
  12. Civil Utilization of Area Navigation(RNAV) Departure Procedures(FAA Order 8260. 44A) FAA
  13. Flight Procedures and Airspace(FAA Order 826019C) FAA
  14. National Airspace Redesign Strategic Management Plan FAA
  15. Terminal Instrument Procedures(FAA Order 8260.3B) FAA
  16. Aircraft Operation(Doc8168-OPS/611) ICAO
  17. Annex2(Rules of the Air) ICAO
  18. Annex11(Air Traffic Services) ICAO
  19. Air Traffic Service Planning Manual (Doc 9426-AN/924) I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