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 유주한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진연희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장혜원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이동우 (원예연구소) ;
  • 윤희빈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 이귀용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 이철희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aekwoon. The flora of Mt. Baekwoon was surveyed from October, 2000 to August, 2001.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Mt. Baekwoon were summarized as 468 taxa; 90 families, 272 genera, 411 species, 1 subspecies 49 varieties and 7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ry Service were nine species; Lilium distichum, Gastrodia elata, Viola diamantica, Hylomecon hylomeconoides, Aristolochia contorta, Asarum maculatum, Rodgersia podophyllu, Viola albida, Scopolia japonica and Scrophularia koraiensis. And the endemic plants were nineteen species; Asarum maculatum, Melandryum seoulense, Clematis trichotoma,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Hylomecon hylomeconoides, Chrysosplenium barbatum,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Robus hongnoensis, Vicia venosa var. cuspidata, Tilia taquetii, Viola seoulensis, Viola diamantica, Ajuga spectubilis, Scrophularia koraiensis, Weigela subsessilis, Adenophora remotiflora, Cirsium setidens, Saussurea macrolepis and Saussurea seoulensis.

본 연구는 백운산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기간은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충북 백운산(1,087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0과 273속 411종 1아종 49변종 7품종 등 총 46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대상지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을 조사한 결과 천마. 말나리, 금강제비꽃, 매미꽃. 도깨비부채, 쥐방울덩굴, 개족도리, 태백제비꽃, 미치광이풀. 토현삼 등 총 10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 특산식물은 개족도리. 가는장구채, 할미밀망, 진범, 매미꽃, 흰털괭이눈, 조팝나무, 가시딸기, 광릉갈퀴, 뽕잎피나무, 서울제비꽃, 금강제비꽃, 자란초, 토현삼,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분취 등 19종류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한국잡초학회지 22(3): 207-226
  2. 강상준, 김홍은, 이창석(1991) 망개나무림의 분포, 구조 및 유지기작- 한국생태학회지 14(1): 25-38
  3. 고경식, 전의식(2003) 한국의 야생식물, 일진사, 982쪽
  4. 고재기, 조영호(1998) 민주지산(충북 영동)의 식물상. J. Basic Sci , Res. Kyungsan Univ. 2(1): 59-89
  5. 국립공원관리공단(1998) 소백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35-111쪽
  6. 국립환경연구원(2003. 9)http://nier.go.kr:9000/alienplants/
  7. 기상청 (2003.9) http://kma.go.kr
  8. 김태욱, 전승훈, 강기호, 전정일(1993) 충청북도 괴산군 내 조령산, 백화산, 군자산의 식물상. 관악수목원 연구 보고. 13: 37-62
  9. 나정화(1999) 대곡수목원조성에 따른 비오톱구조분석. 한국정원학회지 17(4): 167-172
  10. 대전지방기상청(2003.9) http://daejeon.kma.go.kr/
  11. 백승언, 김홍은, 박승용(1988) 주흘산 식생 조사연구 충북대학교 농과연보. 6(1): 43-55
  12. 백원기 (2001) 한국특산식물의 현황과 보존. 산림유전자원에 관한 심포지엄논문집. 66-99쪽
  13. 산립청(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국립수목원,255쪽
  14. 유재은(1996) 속리산 삼림군락의 구조에 관한 연구 -중요치와 종다양성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자연기초논문집. 13: 80-91
  15. 이유미, 김성식(1997) 명지산의 식물상 및 희귀 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3): 366-386
  16. 이유미, 김성식, 조동팡, 정승선 (2002)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 104-123
  17.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8. 이창복(1983)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관악수목원연구보고 4: 71-113
  19. 이호준. 전영문, 김창호(1998) 월악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림의 종조성과 토양환경. 한국생태학회지 16(2): 169-180
  20. 이희선, 강미영(2001) 군자산 삼림군집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서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논총 15: 37-59
  21.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2: 69-83
  22. 정윤수, 선수철(1999) 조령산 자연휴양림지역의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건국자연과학연구지 10(1): 23-36
  23. 조현제, 이윤원, 이동섭, 홍성천(1991) 백화산의 삼림식생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0(1): 42-53
  24. 최송현, 조현서, 이경재(1997) 민주지산의 산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1): 111-125
  25. 환경부(1994) 특정 야생 식물 화보집. 환경처. 2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