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dal Flat Aspects of Yellow Sea Area and Conservation for Migratory Birds

서해안 갯벌 현황과 철새에 대한 보전 방안

  • 이시완 (에코텍 환경생태연구소) ;
  • 제종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 ;
  • 이한수 (에코텍 환경생태연구소)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tidal flat area of south and west coast consists of 2.4% of total land area of Korea. About 83% of tidal flat is located at the west coast, and the remaining tidal flat is located at the south coast. This tidal flat is also divided for administrative regions which are Gyeonggi Province(35.1%), Chungnam Province(12.7%) Jeonbuk Province(4.7%), Jeonnam Province(44.0%) and Gyeongnam Province(3.5%). The tidal flat of west coast of Kore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opover site for shorebirds on the East Asia-Australia Flyway. The tidal flat is used for feeding and resting place by migratory shorebirds. Generally, waterbirds including migratory shorebirds are considered as key species to show the superiority of wetland. By the criteria of Lamsar Convention in the basis of waterbird, at least 14 coastal wetlands in Korea have to be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s. The factors to affect the distribution of shorebirds at the certain tidal flat are closely related with 1) the distribution of benthic invertebrates, potential prey of shorebirds 2) the availability of roosting site 3) the size of tidal flat 4) the intensity of human disturbance. In this paper, we summarized the regional status of tidal flat of Korea and its conservation methods related with migratory waterbirds.

우리나라 서$.$남해안에 분포한 갯벌은 국토 면적의 약 2.4%에 해당된다. 전체 갯벌 면적의 약 83%인 1,980 $\textrm{km}^2$가 서해안에 분포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남해안에 산재되어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5.1%, 충남 12.7%. 전북 4.7%, 전남 44.0% 경남 3.5%로 갯벌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서해안 갯벌은 세계 5대 갯벌로 잘 알려져 있다. 서해안 갯벌은 동아시아주∼호주 간의 이동경로를 갖고 있는 도요$.$물떼새류인 철새들에게 먹이와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중간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철새는 습지의 가치를 나타내는 뛰어난 지표생물로 국제적으로 지정되어 보호되어 왔다. 이러한 철새를 기준으로 볼 때 한국 연안습지는 적어도 14곳 이상이 람사보호지역 습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철새가 연안습지인 갯벌에 도래하거나 분포하는 요인은 1) 잠재적 먹이인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 2) 휴식공간의 확보. 3) 일일취식량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갯벌 및 4) 인위적인 간섭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에따라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에 대한지역별 현황에 대한 개요와 이 갯벌에 도래하는 철새들에 대한 도래 원인 파악 및 이들을 보전. 관리하여 나아갈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 자료는 서해안 갯벌과 이곳을 이용하는 철새들을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토대가 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문화재단 (2000) 경기만의 갯벌. 기전문화예술총서 6. 347쪽
  2. 농업진흥공사(1999) 한국의 간척
  3. 이기섭 (2000) 한국의 서해안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실태와 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1쪽
  4. 이시완(2000) 서해안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섭금류의 취식생태 및 식이물과의 상호관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1쪽
  5. 이시완, 이한수, 유정칠, 제종길, Colin Levings, 백운기(2002)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의 분포요인 및 보전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34-45
  6. 이정연(1995) 서해안의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섭금류의 생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쪽
  7. 제종길(1998) 자연보전 기능으로서의 생태관광. 제3회 자연포룸. 한국유네스코, 47-60쪽
  8. 한국해양연구소(1998) 갯벌의 효율적 이용과 보전을 위한 연구. 보고서, 312쪽
  9. 한국해양연구소(1999) 갯벌의 효율적 이용과 보전을 위한 연구(3차년도). 보고서, 839쪽
  10. 해양수산부(1998) 우리나라의 갯벌. 28쪽
  11. 환경부(1997) 전국 겨울철 조류 통시센서스. 163쪽
  12. 환경부(1998) 서해안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봄, 가을 조사. 120쪽
  13. 환경부(1999)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173쪽
  14.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200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187쪽
  15. 환경부(2001)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282쪽
  16.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2002)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314쪽
  17.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2003)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382쪽
  18. Colwell, M.A. and S.L. Landrum(1993) Nonrandom shorebird distribution and fine-scale variation in prey abundance. Condor, 95: 94-103 https://doi.org/10.2307/1369390
  19. Davis, T.J.(1994) The ramsar convention manual. Ramsar Convention Bureau Gland, 207pp
  20. Howes, J.(1988) What is migration? In Migrtory birds -A survival publication-. Gould League of Victoria Inc. (ed. Harris H. & A. Reid), 28pp
  21. Klein, M.L.(1993) Waterbird behavioral responses to human disturbances. Wildl. Soc. Bull., 21: 31-39
  22. Lee, S-W, Y-S Kwon, J-G Je and J-C Yoo(1999) Benthic animals of Kanghwa Island and Gut Analysis of some Waterbirds. Kor. J. Orni., 6(2): 71-86
  23. Rodger, J.A., Jr. and Henry T.S.(1997) Buffer zone disturbances to protect foraging and loafing waterbirds from human dis-turbance in Florida. Wildl. Soc. Bull., 25(1): 139-145
  24. Wilson, J.R. and Barter, M.A. (1998) Identification of potentially important staging area for 'Long Jump' migrant waders in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during northward migration. Stilt, 32: 16-27
  25. Zwarts, L.(1988) Numbers and distribution of coastal waders in Guinea-Bissau. Ardea, 76: 4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