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Materialism and Clothing Attitud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물질주의성향과 의복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김용숙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전공)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aterialism and clothing attitude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researcher were used and the research periods were from Feb. 20 to Mar. 19, 2003. 429 Korean and 405 Chinese students's data was used f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done. Korean students pursuited happiness more than utility and accomplishment, but Chinese students pursuited accomplishment more than happiness and practicalit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happiness pursuit, the utility pursuit, and the accomplishment pursuit. The group size of the utility pursuit and the happiness pursuit among Korean students and the utility pursuit and the accomplishment pursuit among Chinese students were larger. Korean students preferred fashionability, psychological dependence, sexual attraction of clothing more, but Chinese preferred conformity more. Utility and accomplishment of materialism, and fashionability and conformity of clothing were strong variables which discriminated Korean students from Chinese students, and total discriminating power was 77.1%.

Keywords

References

  1. 양평섭 (2001). 중국의 WTO 가입과 국내 섬유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 패션지오, 340, pp. 205-207
  2. http://www.goodl.or.kr
  3. Ward. S. & Weckman, D. (1971). Family and media influences on adolescent learning.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14(1), pp. 415-427 https://doi.org/10.1177/000276427101400315
  4. Belk, R. W. (1984). Three scales measure constructs related to materialism: Reliability. validity. and relationships to measures of happi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pp. 291-297
  5. Richins. M. L. & Dawson. S. (1992). A consumer values orientation for materialism and its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12), pp. 303-316
  6. Csikszentmihalyi. M. & Rochberg-Halton. E. (1978). Reflections on materialism. Univ. of Chicago Magazine, 70(3), pp. 6-15
  7. 박철 (1993). 청소년의 광고수용과 물질주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4(가을), pp. 45-63
  8. 성영신 (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 유형. 한국사회심리학회. 1(1). pp. 69-82
  9. 엄희섭 (1986). 사회변동과 가치관. 서울: 정음사. pp. 54-74
  10. 김형길, 김정희 (1994), 소비자의 물질주의성향과 측정에 관한 연구, 제주대 논문집. 39. pp. 375-396
  11. Belk. R. W. & Zhou. N. (1987). Learning to want thing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4. pp, 478-481
  12. 송인숙 (1991). 물질주의에 대한 고찰. 성신여대 생활과학연구논집. 11, pp. 91-104
  13. 이옥희 (1998), 물질주의와 준거집단 및 사회계층이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18
  14. 김선영, 최선형 (2000), 신세대 여성의 과시적 의복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 50(7). pp. 141-153
  15. 어패럴뉴스 (2002. 5. 20). 급물살 타는 의류업체 중국진출: 한류 열풍과 월드컵 분위기 고조
  16. 삼성패션연구소 (2001).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한국 패션산업의 대응전략. 서울: 삼성패션연구소
  17. 어패럴뉴스 (2002. 5. 27.), 급물살 타는 의류업체 중국 진출: WTO 가입 . 올림픽이 계기
  18. 자료검색일 2002. 4. 자료출처 http://www.mofat.go.kr
  19. 신한레뷰 (1993), 16(2). pp. 14-23
  20. 박재홍 (1996). 한국 신세대의 세대경험과 의식구조현대사회. 14(1). pp. 24-43
  21. Tapscott. D. (1998). Growing up digital: Net generation New York: McGraw-Hill Co. Inc.
  22. 宋志勇 (1999). 當代 靑年의 心態에 對한 分析. 西江社會科學. 8期. pp. 88-92
  23. 李志 (1998). 城市獨生子女大生人格特徵 調査硏究, 靑年硏究. 9期. pp. 13-16
  24. 김설화 (2002). 중국의 ‘한류'현상과 그 수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삼성패션연구소 (2001). 한류열풍과 중국패션시장. 서울 : 삼성패션연구소. p. 1
  26.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ub. Co.. p. 145
  27. 강혜원, 김은미 (1988). 의류학 전공 여대생의 의복에 대한 태도와 사회심리학적 요인과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집, 2, pp. 1-10
  28. 박혜선 (1995). 의복태도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6). pp. 968-983
  29. 김경희, 정성지 (2000), 중 고등학생들의 의복동조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3), pp. 401-411
  30. 고애란, 진병호, 심정은 (2000).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4). pp. 475-486
  31. 劉國聯, 김용숙 (2002), 중국 대학생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태도 및 구매행동. 복식. 52(2), pp. 15-30
  32. 박혜선, 김화순 (1998), 의복태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2), pp. 279-289
  33. 黃志堅 (1998). 當代靑年生活方式에 對한 調査評估. 中國靑年政治學院學報(京), 4, pp. 1-8
  34. 徐玲 (2000), 中國大城市白領靑年女性購買行爲硏究. 西北結織工學院學報, 3, p. 6
  35. 王堯花, 楊淸(1997), 獨生子女大學生의 心態特點 및 調節에 對한 分析. 廣西大學學報. 增刊, pp. 88-91
  36. 손희정, 김효숙 (2000). 중국 여대생의 의복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학회지, 2(3), pp. 85-93
  37. 이옥희, 김용숙. 劉國聯 (2002). 중국 여대생의 의복관여 수준에 따른 소비자 꽉성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205-215
  38. 이옥희 (1998), 물질주의와 준거집단 및 사회계층이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pp. 66-68
  39. 김영모 (1982), 한국사회계층연구. 서울. 일조각, pp. 329-331
  40. http://www.kores.or.kr(대한광업진흥공사)
  41. 매일경제 국제부 (2001), 차이나 쇼크. 서울- 매일경제 신문사, p. 112
  42. 中國靑少年硏究中心, 中國靑少年基金會 (2001), 中國城市獨生子女人格發展課題組, 中國靑少年城市獨生子女人格發展槪況. (http://www.nmk.edu.cn)
  43. Yau, O. (1988), Chinese cultural values: Their dimentions and marketing im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2(5). pp. 4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