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use Analysis on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for the Cheongdocheon

청도천의 건천화 원인분석

  • 이상호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
  • 박종표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정민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조효섭 (일신하이텍 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Cheongdocheon has the reaches under reduction of stream flow. We analysed the cause of the reduction.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for agricultural water use. We also compared the discharge measurements with the results from the continuous simulation of watershed runoff The satellite image was a tool to find some reaches of stream flow reduction under doubt. Agricultural reservoirs block up the stream and water does not flow over the reservoirs except by storm. They also discharge water through diversion channels and the water diverted does not flow through the natural stream. Farmers directly take water from the stream by weirs. The infiltration gallery of water below the stream ground makes the reach dryness perfect in Kamakchon. These are causes of the stream flow reduction. The discharge measurements are less than the simulation results of watershed runoff, and we guess that the reaches investigated have dried. We found the reaches of stream flow reduction that were under doubt from some KOMPSAT satellite images with the resolution of 6.6 m. Then, we confirmed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by a field investigation. All the above reaches have infiltration galleries of water below the stream ground. The research results are a case study on the cause analysis on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One can obtain the KOMPSAT image for a low price and can get prior information to find the doubtful reach of stream flow reduction.

청도천의 건천화 구간에 내하여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서 이수시설물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고, 유량측정 결과와 유역 유출 연속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여러 건천구간을 쉽게 구분하기 위한 시도로서 위성영상도 이용하였다. 농업용 저수지는 평상시 유출을 차단하고 있다. 그리고 용수로에 물을 공급하여 하천수량을 감소시킨다. 보를 이용한 하천수 취수도 건천화의 원인이다. 특히 까막촌 집수암거는 수백 m의 하천구간을 완전히 마르게 하는 원인이다. 측정된 유량은, 수문순환의 변형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 연속모의 결과보다 작았고 이로부터 건천화가 진행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해상도 6.6 m의 KOMPSAT 영상으로 여러 곳의 건천화 의심구간을 실내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현장답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이들 구간에는 모두 집수암거가 설치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는 전원하천의 건천화 원인분석 사례로 참고될 수 있다. 가격이 저렴한 KOMPSAT 영상은 건천화 의심구간 파악을 위한 사전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최현, 홍순현, 이종철 (2002). 'KOMPSAT를 이용한 유역 매개변수 추출결정'. Symposium on Geospatial Theory, Processing and Applications, pp.1-5
  2. 건설교통부 (1995). 국제수문계발계획(IHP) 연구보고서
  3. 경상남도 (1994). 청도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4. 농어촌진흥공사 (1998). 밀양시 광역수맥 조사보고서
  5. 인하대학교 (2003). 지속가능한 하천수 개발기술 최종보고서
  6. Tabios III, G., Obeysekersa, J.T. and Salas, J.D. (1986). Hydrology and water resource program. Colorado State University, Colorado

Cited by

  1.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Hydrology and Water Quality in Small Rural Streams for Stream Depletion Investigation vol.55, pp.6, 2013, https://doi.org/10.5389/KSAE.2013.55.6.177
  2. Integrated Approach for Watershed Management in an Urban Area vol.39, pp.2, 200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