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nalysis of Hierarchical Mobile IPv6 depending on the paging size

페이징 영역크기에 따른 계층적 이동 IPv6 의 성능분석

  • 정계갑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컴퓨터통신연구실) ;
  • 이상욱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컴퓨터통신연구실) ;
  • 김준년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컴퓨터통신연구실)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With increasing use of a personal mobile computer. the Mobile IPv6 is one of the main protocols that support mobility and complies with IPv6 specification. Similar to the mobile IPv6, the mobile IPv6 also has limitations on fast moving condition. The Hierarchical Mobile IPv6 is a solution that overcomes these limitations. The Hierarchical Mobile IPv6 is a micro mobility protocol that supports fast mobile IP handover and reduces signaling overhead with Mobility Anchor Point(MAP). But until now no paging method is applied to the Hierarchical Mobile IPv6 to reduce unnecessary signaling overhead and power consumption of mobile nodes. So, the paging mechanism for the Hierarchical Mobile IPv6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mechanism is implemented by making use of the destination option header and extension function and the last location algorithm. The results show that the Hierarchical Mobile IPv6 with the paging ability reduces the traffic of mobile networks by removing unnecessary binding update packet generated whenever handover takes place. Also, the larger the paging size is. the less the number of BU(Binding Update) massage generated.

계층적 이동 IPv6는 MAP(Mobility Anchor Point)을 통해 이동 IPv6를 계층적으로 확장시킨 개념의 마이크로 망 지원의 프로토콜로 이동 IPv6에 비해 빠른 이동성과 이동 노드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여주지만 네트워크망에서 동작하는 활동상태 노드와 비활동상태 노드를 구분하여 망의 부하와 노드의 전력낭비 문제를 해결해 주는 페이징 기법이 적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이동 IPv6에 페이징을 적용하는 방법 제안하였다. 기존 IPv6에서 사용되는 패킷 해더의 목적지 옵션과 제어 메시지의 확장을 통해서 계층적 이동 IPv6에 페이징을 적용하였으며 비활동 상태의 이동 노드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최종 지역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페이징이 적용되지 않은 계층적 이동 IPv6보다 비활동 상태인 이동 노드의 핸드오프 시 불필요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제거함으로써 이동 IPv6 전체 망의 트래픽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페이징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마이크로 망의 바이딩 업데이트 메시지가 더욱 감소하여 망의 신호 트래픽이 감소함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 Perkins, 'IP Mobility Support for IPv4' IETF RFC 3344
  2. David B. Johnson, Charles Perkins 'Mobility Support in IPv6' May 2002
  3. A.G. Valko, 'Cellular IP: A New Approach to Internet to Internet Host Mobility,' ACM Computer Communication Review, January 1999
  4. R. Ramjee, et. al, 'HAWAII: A Domain-based Approach for Supporting Mobility in Wide-area Wireless Network,' ICNP '99
  5. Claude Castelluccia 'Hierarchical MIPv6 mobility management' July 2002
  6. Z. D. Shelby, D. Gatzounas, A. T. Campbell, and C-Y. Wan, Cellular IPv6, draft-shelby-seamoby-cellularipv6-00, Work in Progress, November 2000
  7. B.Sarikaya 'Mobile IPv6 Regional Paging' November 2000
  8. Tsuguo Kato, Hideaki Ono 'A Study on Mobile IPv6 Based Mobility Management Architecture' FUJITSU Sci.Tech. J.37.1, pp.65-71(June 2001)
  9. R. Ramjee, L.Li 'IP paging Service for Mobile Hosts', 2001 ACM SIGMOBILE
  10. B. Sarikaya, Xiaofeng Xu, Vinod Kumar Choyi, Andrew Krywaniuk 'Mobile IPv6 Hierarchical paging' September 2001
  11. Javier Gomez, Xiaowei Zhang 'P-MIP: paging in Mobile IP'. 2001
  12. Charles Perkins "Route Optimization in Mobile IP' September 2001
  13. Alper Yegin 'Micromobility Problem Statement' June 2002
  14. OMNET++ 2.2 http://whale.hit.bme.hu/omnetpp/
  15. Simulation of Mobile IPv6 http://www-tkn.ee.tu-ber lin. de/research/mobileip/index.html
  16. Choi Hoon, N. Moayeri, 'A Fast Handoff Scheme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CDMA 2000 System' IEEE GLOBECOM '01, Volume 3 Page 1747-1753 2001
  17. Rajeev Koodli.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September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