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rdinate Transformation of the Cadastral Maps with Different Surveying Origins for Utilization in GIS

GIS 활용을 위한 기타원점 좌표계 지적자료의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오산시를 대상으로 -

  • 이권한 (국토연구원 GIS연구센터) ;
  • 서관호 (국토연구원 GIS연구센터) ;
  • 정해철 (국토연구원 GIS연구센터)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generating a continuous map by coordinates transformation between cadastral maps with different surveying origins.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is useful in various fields of GI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at Osan-Si, Kyonggi Province in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In this study, three control point zone, large, medium, and small zone were to!;ted. For each control point, the currently us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 data at the surveyed time. About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we tested Helmert, Affine, and Polynomial methods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among 2-dimensional coordinate transformations. These three transformation method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variation of transformed parcel shape and agreement with neighboring areas. A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Affine transformation in large zone is the most appropriate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fer Osan-Si.

본 연구는 기타원점좌표체계의 지적자료를 통일원점좌표계로 변환하여 연속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GIS 분야에서 지적자료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오산시를 대상으로 관련기관의 협조를 받아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연구에서는 좌표변환에 활용되는 기준점 영역을 대 영역, 중 영역, 소 영역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최초 기타 원점 측량당시의 기준점 성과와 현재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기준점성과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연구에서 사용한 좌표변환 방법은 2차원 투영변환 중 대표적인 등각사상변환, 부등각사상변환, 다항식변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변환 전·후의 필지 모양 및 형태변화를 측정하고, 최종적으로는 좌표계 통일후 인접지역에 대한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가장 적정한 좌표변환 방안을 설정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대 영역의 부등각사상변환이 모양 및 형태변화와 이격거리에 있어 가장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