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Site Index by Species in Gyungi and Chungcheong Provinces Using a Digital Forest Site Map

경기ㆍ충청지역의 수치 산림입지도를 이용한 주요 수종의 산림생산력 추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ite index equations by main species grown in Gyu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using environmental factors obtained from a digital forest site map. For this, 28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gressed on site index by species. Four to five environmental factors by specie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best site index equations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greater than 0.91). For these site index equations, three evaluation statistics, mean difference,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 and standard error of difference, were applied to the data set. Site index equations by species relationships developed in this study effectively estimate forest productivity in the study area. However, the site index equation of Larix leptolepis showed a larger than expected bias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measured site index. The reason is not clear in this situation, but might be because of the small sample set. It will be necessary, therefore, to conduct more studies to determine the exact reason.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ite index equations with a few environment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species well suited to given site conditions. Site index equations for other species should be developed to establish a rational policy about the selection of best species for site conditions.

본 연구는 수치 산림입지도에서 추출한 28개 입지환경 인자를 사용하여 경기ㆍ충청지역의 몇 가지 주요 수종에 대한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수종별로 4∼5개의 변수에 의하여 개발된 수종별 최적 지위지수 추정식은 결정계수가 0.91 이상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에 대하여 연구 대상지에서 수집한 수종별 독립자료에 근거하여 모형의 평균 편의, 정도, 표준오차 등의 3가지 평가통계량을 계산한 후 그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으로부터 얻어진 추정치와 실제 지위지수의 평균편의는 낙엽송의 경우 1.82 m로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의 평가통계량은 낮은 것으로 판명되어 실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경기ㆍ충청지역의 지위지수 추정식은 사용된 변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결정계수는 상당히 높았으며, 조사된 실측치와 비교하여 검증한 결과 그 정도(精度)가 비교적 높았다. 따라서 몇 가지의 환경인자 만으로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종별 지위지수를 추정할 수 있어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러한 정보는 앞으로 입지조건에 따른 적지적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앞으로 입지조건에 따른 적지적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종 외에 다른 주요 수종에 대한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는 작업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호, 정진현, 김영걸, 이원규, 1996: 수치지형해석에 의한 온대북부림의 적지적수도 작성. 산림과학논문집, 54, 94-103.
  2. 강영호, 정진현, 김영걸, 박재욱, 1997:수치지형해석에 의한 온대중부림의 적지적수도 작성. 한국임학회지, 86(2), 241-250.
  3. 김규현 등 19인, 1988: 입지환경인자에 의한 지위지수에 관한 연구. 엄업연구원 연구보고, 36, 22-43.
  4. 김동춘, 1966: 일본잎갈나무임분의 수확과 생장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연구보고서, No.13.
  5. 김동춘, 이흥균, 1967:잣나무 임분의 수확과 생장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서, 12, 1-12.
  6. 김동춘, 이진규, 정석근, 1968: 중요수종에 대한 입목간재적표 조제. 임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99-129.
  7. 김동춘, 1973: 다변량해석법을 이용한 임분재적표조제. 한국임학회지 제19호. 시험연구보고서, 248-255.
  8. 김동춘, 이진규, 1974: 다변량 해석법에 의한 임분재적표 조제. 임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12-29.
  9. 김태훈, 이충화, 구교상, 정진현, 1991: 토양형별 주요수종의 생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2, 91-106.
  10. 마상규, 1974: 환경인자의 계량화에 의한 잣나무림수확량추정과 임목생장에 관한연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서, 21호 별책.
  11. 박남창, 정창기, 최재채, 신현철, 권영한, 조병훈, 강진택, 정영관, 김철수, 2001: 구실잣밤나무의 생장패턴 및 입지환경인자에 관한 연구. 산림과학논문집, 64, 1-13.
  12. 산림청, 2001: 산림입지조사요령, 91pp.
  13. 신만용, 윤종화, 차두송, 1996: 평균비 추정량에 의한 낙엽송 입목 재적식의 지역 보정. 한국임학회지, 85(1), 56-65.
  14. 윤종화, 윤주형, 마상규, 강대헌, 박재순, 1974: 임지생산력 계량화연구. 임업시험장.
  15. 정인구, 1981: 수량화에 의한 우리나라 삼림토양의 형태학적 및 이화학적 성질과 잣나무 및 낙엽송의 생장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53, 1-26.
  16. 鄭鎭炫, 具敎常, 李忠和, 1994:韓國の森土壤分類および褐色森林土壤群の性質と林木生長. 日本土 壤肥料學曾誌,5, 483-492.
  17. Arbatzis, A.A., and H.E. Burkhart, 1992: An evaluation of sampling methods and model forms for estimating height-diameter relationships in loblolly pine plantations. Forest Science, 38(1),192−198.
  18. Avery, T. E., and H. E. Burkhaet, 1983: Forest measurements. McGraw-Hill Book Co. 331pp.
  19. Belsley, D.A., E. Kuh, and R.E. Welsch, 1980: Regression diagnost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292pp.
  20. Judge, G.G., R.C. Hill, W.E. Griffiths, H. Lutkepohl, and T. Lee, 1988: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1024pp.
  21. Meyer H.A., 1947: The structure and growth of rirgin beech-birch maple hemlock forest in Northern Pennsylvania J. Agr Res, 12p.
  22. Myers, R.H., 1986: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s. Duxbury Press, 359pp.
  23. Neter, J., W. Wassermann, and M.H. Kutner, 1985: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 IRWIN, 1127pp.
  24. Shin, M.Y., 1990: The Use of Ridge Regression for Yield Prediction Models with Multicollinearity. J. of Korean Forest Society, 79(3), 260−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