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Digestive Tract in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자주복(Takifugu rubripes)의 소화관 발달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Anatomical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were used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tract during ontogenesis in tiger puffer, Taklyugu rubripes. Before hatching, the digestive tract was located between yolk sac and notochord of embryo. Newly hatched larvae had a straight tubular digestive tract. The larval mouth opened at 2 days after hatching (DAH). At 4 DAH, sphincters separated the digestive tract into the esophagus, anterior intestine, mid-intestine and rectum, and the anus was opened. At 5 DAH, the larval intestine bent between the anterior and intermediate parts and mucous cells developed in the esophageal epithelium. At this time yolk sac was absorbed completely. At 6 DAM, the digestive tract was differentiated into the U type with expansion of the anterior intestine toward the head of the larvae. At 10 DAH, the expanding anterior intestine became wider and a elliptical. At 15 DAH, the anterior intestine was divided into two portions by invagination of dorsal epithelium and the mid-intestine was convoluted dorsally. At 21 DAM, the frontal portion of the anterior intestine formed a differentiated expansion sac. At 24 DAH, the second convolution was observed in the anterior part of the posterior intestine. At 30 DAH the expansion sac was extended longitudinally and the digestive tract took on the form seen in adult fish.

이 연구는 자주복의 개체발생 단계에 따른 소화관 외부형태의 변화와 소화관의 발달 양상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부화 직전 수정란의 소화관은 난황낭과 배체의 척추 사이에 위치하였고, 형태는 거의 직선상 이었다. 입은 부화 후 2일째, 항문은 부화 후 4일째 열렸다. 부화 후 4일째 소화관은 식도, 전장, 중장 그리고 직장으로 구분이 되었고, 전장과 중장이 괄약근에 의해 구분되었다. 부화 후 5일째 자어는 전장과 중장 사이가 배측으로 굴곡되었고, 식도상피에 점액세포가 분포하였다. 이 시기에 난황은 대부분 흡수되었다 부화 후 6일째 자어의 소화관은 전장이 두부 쪽으로 팽창하면서 U자형으로 분화하였다. 부화 후 10일 째에 팽창한 전장은 더욱 커져서 구형을 형성하였다. 부화 후 15일째 전장의 배측 부위 중간에서 함입되기 시작하여 전장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졌다. 부화 후 21일째 전장의 앞부분이 팽창낭으로 분화하였다. 부화 후 24일째에 후장의 앞부분이 배측으로 다시 회전하였다. 부화 후 30일째 팽창낭은 두부 쪽과 항문 쪽으로 길게 신장되어 어미의 소화관 형태로 발달하였다.

Keywords